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4/20 11:16:54
Name 김삼관
출처 해당유튜브
Subject [유머] 명품 브랜드 대해적시대가 열렸답니다


에르메스 버킨백 환상 X까라며 관세폭탄 맞은 중국이 명품브랜드 공장을 다 까발리고 직구해서 자기들에게 직접 돈을 보내는 방식으로 명품인데 명품아닌 제품이 마구 시장에 풀리고 있다고 합니다.

시계 갤러리에서 예전에 짝퉁 시계를 사야한다고 짝퉁 롤렉스 차고 롤렉스CEO만나면 CEO가 환하게 웃으며 고맙다고 할 거라는 명문장이 떠오르네요 영상에 파텍필립이 돌아다니는(…)

저도 해적판 하나 구해볼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azellnu
25/04/20 11:23
수정 아이콘
그런말이 있죠
같은 공장에서
낮에만들면 진짜
밤에만들면 짜가
김삼관
25/04/20 11:26
수정 아이콘
시중에 풀려있는 짝퉁이 진짜였다니 라는 댓글이 가장 인상적이었습니다 크크 
MissNothing
25/04/20 11:24
수정 아이콘
이미 명품 아닌 공산품들은 알리에선 알음알음 있는 것 같던데
자기 공장에서 찍어내는걸 포장 안하고 봉다리로 담아서 싸게파는...
김삼관
25/04/20 11:48
수정 아이콘
허허..
25/04/20 12:39
수정 아이콘
아내가 맥세이프 링 2만원 가량에 샀는데 (듣보 브랜드) 알리에서 3천원에 배송비 1300원이더군요.... 자잘한 소품들은 진짜 국내 쇼핑몰에선 사기 싫어지더라고요.
김삼관
25/04/20 12:57
수정 아이콘
셀렉트샵 같은 경우 진짜 가격차이가 심하죠..
허저비
25/04/20 11:36
수정 아이콘
지금인가?
김삼관
25/04/20 11:46
수정 아이콘
에르메스 지갑 하나 사서 평생..
건강하세요
25/04/20 11:39
수정 아이콘
미러급이라해서 사실상 진품과 같은 짝퉁을 알음알음 떼와서 파는게 있긴 했죠.
원가가 공개되면서 그동안 미러급 짝퉁 팔던 분들이 얼마나 많은 이익을 취하셨을지 감도 안옵니다... 형사처벌 감수하고 하신거겠지만요 크크크
김삼관
25/04/20 11:47
수정 아이콘
미러급 짝퉁도 비싸게 받았나보군요?
김삼관
25/04/20 11:48
수정 아이콘
하긴 나이키 몇 천원이면 만든다니.. 짝퉁 오만원에 팔아도 남는게 얼마야 
건강하세요
25/04/20 14:14
수정 아이콘
https://youtu.be/Rvpe-rVs1Vo
여기보면 에르메스 가방(짝퉁)은 4년 전 기준 1300만원에 팔았다네요 크크크
김삼관
25/04/20 15:21
수정 아이콘
;;;헐..
시린비
25/04/20 11:52
수정 아이콘
이런거 알고 사는것도 능력이겠지만 원래 안원했어서 다행
루크레티아
25/04/20 11:56
수정 아이콘
에르메스가 입에 거품 물고 자기들은 아니라고 하겠지만 중국발 영상 보면 이게 아닌 거 맞나 싶을 정도니..
양현종
25/04/20 13:14
수정 아이콘
에르메스가 중국에서 생산 안하는 것은 맞지 않나요?
중국에서 맘먹고 짝퉁 만드려면 비슷한 퀄로 만드는건 일도 아닐것 같구요.
25/04/20 11:57
수정 아이콘
베트남가면 미러급을 십만원대에 팔고있습니다.
심지어 퀄도 좋아서 어른들도 많이들 사시죠.
환경미화
25/04/20 12:00
수정 아이콘
어디서 사는겁니까~~~
김삼관
25/04/20 12:37
수정 아이콘
저도 알고싶네요 크크
25/04/20 12:04
수정 아이콘
제조원가랑 총비용은 다르긴 하죠만 알빠노
25/04/20 12:16
수정 아이콘
그래서 어딥니꽈~~~~~
김삼관
25/04/20 12:37
수정 아이콘
그러게말입니다 허허 중국 틱톡에 링크가 돌아다닐듯하네요 
25/04/20 13:00
수정 아이콘
비스무리한 판매자한테 채팅 걸면 1분 안에 답 옵니다
서린언니
25/04/20 12:19
수정 아이콘
일본 방송에서도 나왔는데 한국에도 솜씨좋은(?) 짝퉁 장인들이 계시더라구요
하루에 한개씩 만드는데 명동 업자들이 준짝퉁으로 꽤 비싸게 팔고있었습니다
15만엔 짜리면 8~10만엔 선으로... 근데 꽤 잘팔렸다고
김삼관
25/04/20 12:31
수정 아이콘
영상에선 그냥 준짝퉁이 아니라 진짜 제품이라 더 난리가 났겠군요
기술적트레이더
25/04/20 12:20
수정 아이콘
저도 롤렉스같은거 짭이라도 좋으니 한번 차보고 싶네요 크크
김삼관
25/04/20 12:58
수정 아이콘
크크크 
모링가
25/04/20 12:23
수정 아이콘
원재료에 공수비용만 산정하는거라 다른 비용은 제하고서 합리적이라고 주장하는게 짝퉁시장의 논리긴 하지요
wersdfhr
25/04/20 12:23
수정 아이콘
솔직히 롤렉스 짭은 솔깃하긴 하네요
성야무인
25/04/20 12:27
수정 아이콘
현재 코치나 마이클 코어스 같은 중저가

명품 브랜드는 베트남이나 말레이시아쪽으로

옮겨진 상태라

그쪽 짝퉁 퀄도 상당할 겁니다.
산밑의왕
25/04/20 12:28
수정 아이콘
롤렉스 코리아 as 건 보면 굳이 정품사야 하는 생각도..크크
그냥적어봄
25/04/20 12:31
수정 아이콘
이런거 비싸게 사주는게 맞냐 틀리냐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명품으로 불릴 자격이 없다는데는 이젠 이견이 없을거 같습니다
김삼관
25/04/20 12:33
수정 아이콘
이제 정말 사치품이자 허영값 외엔 없다는 게 관세전쟁때매 대놓고 공장의 반란(?)이 나와버렸네요 
쵸젠뇽밍
25/04/20 12:37
수정 아이콘
공항 화물 쪽에서 일하는데, 이 쪽으로 일하는 사람들은 명품을 안 갖고 다닙니다. 버려지는 가짜가 하도 많아서, 버려지는 거 몰래 빼다가 갖고 다니다보다 싶거든요. '명품'의 이미지가 '주워다 사용하는 물건'의 이미지입니다.
매일매일 잡아내는 가짜의 양이 수십개고, 안잡히고 통과되는 양은 그 몇 배에서 수십배일테고, 인천공항만 그런거고 다른 곳으로 들어오는 것들도 있을텐데 그게 다 국내에서 소비되는 것들이란 말이죠. 전문가들도 구분 못하는 가짜가 이렇게나 많이 돌아다니는데 어떻게 비싼 돈을 주고 구입할 수 있는지 개인적으론 궁금합니다.
아밀다
25/04/20 12:43
수정 아이콘
롤렉스 회장 배때지 말고 중국 시계 장인들의 눈물을 닦아줘야죠. 시계에 대한 열정도 후자가 훨씬 강하고
강문계
25/04/20 13:06
수정 아이콘
자업자득이죠
누가 중국에 공장 지으라고 협박함?
그러면서 판매가는 공장 옮기기 전보다 더 올리는 중
미드웨이
25/04/20 13:41
수정 아이콘
에르메스는 중국에 공장을 지은적이 없어요. 중국생산 안하기로 유명한 기업인데.
물론 에르메스가 거짓말했을수도 있겠지만 그보단 중국인이 거짓말했을 가능성이 더 높죠.
마작에진심인남자
25/04/20 13:12
수정 아이콘
진짜 짭은 없는거죠? 그럼 진짜 짭은 어디서 파나요?
Lightninbolt
25/04/20 13:24
수정 아이콘
뭐 다 알고있는 사실 아니었나요 크크
미드웨이
25/04/20 13:40
수정 아이콘
다알고있는 사실이 아닌데요. 에르메스는 중국생산을 안하는 기업입니다. 중국인의 일방적 주장이라고 보면 됩니다.
그 닉네임
25/04/20 13:33
수정 아이콘
아이돌 연애와 관련된 명언 있잖아요? 초밥 요리사가 방금 똥 싸고 왔습니다라고 말하면 안되는 것처럼
명품도 원가가 말도 안되게 낮은건 알지만, 어렴풋이 아는거랑 저렇게 대놓고 드러나는건 다르죠.
25/04/20 13:34
수정 아이콘
사실 저런 물건들을 짭이라고 봐야하는지도 의문이죠
25/04/20 13:58
수정 아이콘
근데 정작 가방이나 시계나 중국 말고
자국 생산이면 원가 절약으로 퀄리티 더 떨어질듯..
25/04/20 14:14
수정 아이콘
낮에 정품 만들고 밤에 해적판 만들다는 뻘소리를 몇년전부터 들어서 그런가 감흥이 덜하네요.
그래도 살 사람은 사겠죠.
옥동이
25/04/20 14:44
수정 아이콘
근데 머 롤렉스 차도 내가 진짜라고 이천만원 주고산 시계를 차는것과 짝퉁 차는게 마음가짐 행동거지에서 차이나던데요.. 아 저는 명품 주기적으로 사는 사람은 아닙니다..짝퉁시계 차봤는데 마음이 불편해서 안차고 어디 구석에 박아놨어요.. 2천주고 샀다면 그랬을까 싶기도하고 크크
우상향
25/04/20 15:18
수정 아이콘
정청이 그렇게 짭이나 사 모으더니 현지 사정을 잘 알고 있었던 모양이네요.
25/04/20 15:18
수정 아이콘
진퉁 만드는 사람이랑 저런 급 짭퉁 만드는 사람이 같은 사람, 공장이 같은 공장 이라 사실상 퀄리티 똑같죠..
Diadochi
25/04/20 15:44
수정 아이콘
나이키 중 일부 제품은 같은 공장 같은 사람이 만든건 기본이고 오히려 짝퉁이 진퉁보다 내구도가 높다죠
이쯤 되면 이걸 짝퉁으로 봐야할지도 의문입니다
25/04/20 16:05
수정 아이콘
에르메스는 다른 명품과 달리 중국에서 안만들고 이탈리아 장인이 만든다는 말을 들었는데 헛소리였나 보군요. 저에게 그 말한 사람들은 그 이야기를 하면서 자부심이 넘치던데. 이러면 중국에서 안 만드는 명품은 없나요?
김삼관
25/04/20 16:26
수정 아이콘
저도 그렇게 알고있었는데 주장과 반대로 중국이 거짓말을 할 수 있다고도 하니..크크 그냥 짝퉁공장일지도 모르겠네요 
앙겔루스 노부스
25/04/21 00:42
수정 아이콘
솔까 이탈리아 장인이래봐야 중국 기술자보다 나을게 뭔가 싶기도 합니다. 이미 중국이 세계에서 뭐든 제일 잘 맨드는 나라 된지가 언젠데.
영양만점치킨
25/04/20 16:24
수정 아이콘
저게 사실이라도 에르메스는 급이 높군요 크크 근데 연구비, 마케팅비 같은걸 쏙 빼고 얘기하는것도 좀 그렇네요.
25/04/21 02:44
수정 아이콘
당연히 그거 감안하고도 비싸니까 까이는거죠
쵸젠뇽밍
25/04/20 18:28
수정 아이콘
핵심은 메이커를 원가만으로 평가하는게 맞냐가 아닙니다. 그건 중요한 게 아니예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구분할 수 없는 싼 물건이 대량으로 풀린다는 거죠.

그들이 판매하는 '브랜드의 가치'가 하락하는 겁니다.
이민들레
25/04/20 19:43
수정 아이콘
명품이 그만큼 가치가 없다면 짭을 왜사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짭을 산다는 것 자체가 그만큼 브랜드 가치가 있다는걸 몸소증명해주는건가 싶은데.
김삼관
25/04/20 19:55
수정 아이콘
이민들레님께서 말씀하신 가치는 '브랜드로서의 헤리티지'를 포함한 가치를 말씀하시는 것이고
짝퉁과 동일 혹은 비슷한 퀄리티의 물건에 웃돈이 과도하게 붙었다는 의미로 가치가 없다고 표현하는 분들은 '기능적, 제작에 들어가는 품삯' 까지만 의미하는 가치로서 말씀하시는거라
어느쪽이던 맞는 말입니다. 다르게 그리고 조금 더 완곡하게 표현하자면 양쪽 다 일리가 있는 말인거죠.
명품은 그만큼의 가치가 있기도 하고, 사치품으로서는 과도하게 비용을 지불할만큼 가치가 없기도 한거지요.

그리고 말씀하신 ['짝퉁을 구매한다'라는 것 자체가 가치가 있다]는 말이 맞는거죠. 그정도의 효용은 준다는 말이니까요. 단지 제 값 주고 구매하기엔 너무 비싸다고 생각하거나 구매할 역량이 안되는거고...
forangel
25/04/20 20:4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에르메스 같이 메이드인 프랑스 제품들은 제품의 일부분은 중국같은 제3국에서 만들더라도 최종 완성본은 프랑스에서 만들텐데
뭔가 좀 이상하네요.
이탈리아나 프랑스내에서 명품 만드는 노동자들중에 중국인들이 많다는거면 모를까 중국에서 완성본을 만드는 명품 브랜드는 최근에 별로 없다고
알고 있는데 말이죠.
이탈리아쪽도 중국 노동자들 많아서 그런지 최근에 셀린느 같은 브랜드의 제품들은 메이드인 이탈리아에서 프랑스로 많이 바뀌고 있구요.

그리고 미국과 중국간의 관세 전쟁에 왜 명품이랑 상관없는 유럽의 명품들에 대해 중국이 저런 태클을 거는건지?
중국도 자꾸 적을 만드는군요..

덧붙혀서 미러급 짝퉁들이라도 정품이랑 100프로 똑같이 만드는건 아니라 목뒷탭,세탁탭 같이 아주 사소한 부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25시즌 제품에 24시즌이나 23시즌 세탁탭을 붙이는 식으로 말이죠.. 더 정교?한건 세탁탭의 세탁기호 모양이 다르거나 목뒷탭 영어 알파벳에
미세한 차이가 있다던지 식으로 숨은그림 찾기 같은 경우도 많구요.
로드바이크
25/04/21 11:23
수정 아이콘
정품과 같은 짭은 없습니다. 그건 확실해요.
사부작
25/04/21 19:48
수정 아이콘
왜 설계도 다 있는 가방을 중국보다 이탈리아가 더 잘 만들 거라고 생각합니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4597 [서브컬쳐] [스파6]류북이-빙고 ─ A.I. 노래 [2] 카페알파860 25/04/21 860
514596 [음식] 금속 공장에서 고기 구워먹는법 [12] Croove6292 25/04/21 6292
514595 [게임] 어떻게 신규 캐릭 이름이 재용 [6] 덴드로븀3352 25/04/21 3352
514594 [게임] 롤 격투게임 알파테스트? [5] 시린비2245 25/04/21 2245
514593 [스포츠] 야구 축구 갈드컵 예고 [21] 갓기태2846 25/04/21 2846
514591 [서브컬쳐] 흔한 마법 실패한 애니 오프닝 [5] 우스타3405 25/04/21 3405
514590 [서브컬쳐] ...그러나 오타쿠는 모든걸 빼앗겨도 세상을 구한다 [20] ramram4936 25/04/21 4936
514589 [유머] 사회복무요원 제도가 강제노역 비판 받으니 내놓은 대책. [34] 캬라6265 25/04/21 6265
514588 [유머] 일본에서 변화한 오타쿠 취급 [25] Myoi Mina 5940 25/04/21 5940
514587 [서브컬쳐] 백설공주가 남긴 거대한 족적 [80] 이호철6800 25/04/21 6800
514586 [서브컬쳐] ??? : 성진우 진짜 레전드다 [32] EnergyFlow6590 25/04/21 6590
514585 [유머] 참가에 의의가 있다... [27] a-ha6618 25/04/21 6618
514584 [게임] 고전 춫팬들이 가장 기대하던 게임 STEAM5756 25/04/21 5756
514583 [유머] 삼 대 장...JPG [13] 실제상황입니다10141 25/04/20 10141
514582 [게임] C&C 근황 [10] 된장까스7163 25/04/20 7163
514581 [기타] 중국집 시켜먹으면 낮은 확률로 당첨된다는 탕수육 서비스 쿠폰 [8] 묻고 더블로 가!8604 25/04/20 8604
514580 [LOL] 뉴 넥서스 버서커 [13] 카루오스6092 25/04/20 6092
514579 [유머] 심심해서 이마에 부항 뜬 여자 [1] Myoi Mina 6899 25/04/20 6899
514578 [기타] 아버지와 피씨방 밤샌 썰 [12] 밥과글6791 25/04/20 6791
514577 [게임] 슈로대 신작 슈퍼로봇대전 Y 참전작 [25] 코우사카 호노카3237 25/04/20 3237
514576 [서브컬쳐] 신데그레) 오구리 캡 3화 위닝라이브 (한글자막) [7] 김티모1917 25/04/20 1917
514575 [유머] 좋아하는 아이돌 보러 갔다가 대가리 깨진 팬.jpg [9] 유머7148 25/04/20 7148
514574 [기타] 1956년 미국의 어느 초등학교의 안전교육 현장 [15] 독서상품권5777 25/04/20 577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