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3/26 20:19:57
Name Croove
출처 지식인사이드 채널
Subject [기타] 아주대 병원 정경원 권역외상 센터장 인터뷰
요약
1. 중증외상센터(드라마) 이후 니가 항문이냐? 질문 많이 받는데
: 맥락은 비슷한데 난 항문은 아니다(혈관외과 출신이다)

2. 사고가 심하게 나면 의식이 있었더라도 "제발!" 119부터 신고해라
(거의 대부분 보험부터 부르다 의식을 잃으신다고)

3. 경기남부(아주대) 제외한 나머지 병원의 현실은 참혹하다

4. 바퀴2개인거 안탐

5. 노인들 골반,대퇴골(화장실 등에서 넘어져서 발생) 골절은 노인들 에게는 아주 위험하다
: 예방이 필요하고 다치셨으면 빨리 119 불러라

1편


2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3/26 20:37
수정 아이콘
이분이 .. 이국종교수님이 목숨을 줄만큼 고마워하는 하나밖에없는 제자이자 동료이자 그렇다고 알고있습니다..

심지어 교수님 책 골든아워 첫장에 "정경원에게" 라고 박혀있어요
25/03/26 20:41
수정 아이콘
제 지인분도 애가 크게 아프셨는데 소아 중환자실 받아주는곳이 경기에서 아주대뿐 이었다더라구여. 경기권에서 큰 역할 해주는듯
25/03/26 21:15
수정 아이콘
외상센터와 응급센터는 물리적으로 완전히 다른 곳입니다.
25/03/26 21:17
수정 아이콘
그냥 아주대 나온김에 칭찬 해보고 싶었습니다
25/03/26 21:20
수정 아이콘
칭찬은 들어야 머땅한 곳이기는 하나 그만큼 주변에서 바라는 것도 많고 부담도 많아서... 그냥 전국 수십개 권역응급의료센터 중 하나로만 취급해줬으면 좋겠습니다. 
25/03/27 07:34
수정 아이콘
마네님도 응급의로 기억하는데… 이기회를 빌어 수고하신다는 말씀 전하고 싶네요. 
25/03/27 08:59
수정 아이콘
반갑습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어쩌다보니 전공의도 경기서남권역센터 중 한 군데에서 수료하고, 전문의 따고 첫 직장으로 원댓글에서 언급된 또다른 경기서남권역센터를 선택하고.. 지금은 서울에 세팅된 지 얼마 안된 권역센터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일할 때 정말 빡세지만 쉴 땐 전화조차 거들떠보지 않아도 되는 라이프스타일 때문에 선택한건데 그건 정말 일부만 본거였고... 나이와 경력이 차고 권역센터의 역할이 더 커지고 지역사회나 각 유관기관 심지어는 병원 내에서도 응급의학과의 역할이 커져가니 듀티가 아닐 때에도 뭔가 할 일이 점차 많아지는게 만만치않기는 한데, 뭐 아직까진 재미로 합니다. 원래 은은한 똘끼가 있어서 남아있는 거 같기는 한데 언제까지 이러고 있을진 잘 모르겠네요.
25/03/27 09:15
수정 아이콘
똘끼.. 인정입니다. 
네파리안
25/03/26 20:49
수정 아이콘
자전거도 안된다는 말인가
25/03/27 09:11
수정 아이콘
네 영상에선 자전거도 안탄다고 합니다
네파리안
25/03/27 09:25
수정 아이콘
아 그쵸 오토바이는 안타는게 맞는거 같은데 자전거는 타도 되는거 아닐까 해서
근데 한강에서 클릿슈즈로 타시는 분들 자전거채로 날라가는거 몇번 보긴해서 위험성은 알고있었지만
의사선생님이 안탈정도라니 슬프군요.
25/03/27 09:38
수정 아이콘
의사도 자전거 많이 탑니다.
안전장비 하시고 속도 잘 지키시고 타시면 되죠.
25/03/26 20:54
수정 아이콘
거동이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저희 할머니도 대퇴골 골절로 치료 후에도 예전처럼 자유롭게 걷지 못하게 되는 순간부터 급격하게 의욕과 기력, 식욕을 잃으시더라고요...
25/03/26 22:44
수정 아이콘
그쵸 노인분들 다쳐서 누우시는 순간부터 전반적인 건강이 안좋아지시더군요
병리학적자세
25/03/26 22:54
수정 아이콘
걷고 못 걷고의 차이가 1차적으로 크고
앉고 못 앉고의 차이가 또 크게 납니다.
일단 앉는자세가 힘들어지는 순간부터는
폐흡인 가능성이 훨씬 높아져요.
설탕물
25/03/27 00:37
수정 아이콘
크크 요약해주시니 참 좋은데요. 저희 할머니도 화장실에서 넘어지신 후 대퇴골 골절? 이셨다 그 후에 못일어나셨어요... 몇 년 됐네요 이것도.
o o (175.223)
25/03/27 01:25
수정 아이콘
진짜 아흔 넘기시고도 건강하셨는데 골절 한번 터지고 순식간에 약해지시더라구요
앙겔루스 노부스
25/03/27 01:34
수정 아이콘
조부모 네분중 교통사고, 암으로 돌아가신 두분을 제외한 나머지 두 분은 모두 골절로 쓰러진후 요양원에서 돌아가셨습니다. 아빠도 추락사고로 돌아가시고 지금은 엄마만 남았는데, 마주칠때마다 넘어지지 마라 넘어지는거 조심하라고 노래를 합니다.
슬이아빠
25/03/27 04:47
수정 아이콘
알려주셔서 잘 봤습니다. 고맙습니다.
25/03/27 08:40
수정 아이콘
5번은 노인들 돌아가시는 정말 일반적인 테크트리입니다.
낙상->고관절 골절->거동불가->장기입원후 폐렴 등 합병증으로 사망
모리건 앤슬랜드
25/03/27 10:14
수정 아이콘
OS가 바이탈과인 이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3943 [기타] 엔비디아 사명 변경 예정 [22] 롤격발매기원7202 25/04/02 7202
513942 [기타] 미래를 배경으로 한 영화들 타임라인 [23] a-ha4687 25/04/02 4687
513941 [기타] 갑자기 이해가 가는 경영철학 [5] Lord Be Goja5680 25/04/02 5680
513940 [유머] 사기치다 딱걸린 챗gpt [16] 캬라5942 25/04/02 5942
513939 [게임] 이제는 슬슬 걱정이 되는 게임회사 [35] 쿨럭6129 25/04/02 6129
513938 [기타] 서로 첫사랑이었던 아버지와 어머니 [12] 전기쥐6030 25/04/02 6030
513937 [기타] 지코바 7일부터 모든 메뉴 가격 2천500원 인상 [20] 카루오스5693 25/04/02 5693
513936 [동물&귀욤] 웰시코기를 누가 이렇게 그리죠? [4] VictoryFood3600 25/04/02 3600
513935 [유머] 과거 시간여행 vs생존 난이도 불지옥 [15] 두드리짱4747 25/04/02 4747
513932 [유머] 어떤 글을 먼저 클릭하시겠습니까, 피지알러? [16] 닉언급금지4406 25/04/02 4406
513931 [방송] 공부머리는 유전이엿다는 카이스트출신 유투버.jpg [40] insane6989 25/04/02 6989
513930 [게임]  철권8 최선의 공격이 최선의 방어 [15] STEAM3152 25/04/02 3152
513929 [기타] 대륙에서 개발되었다는 새로운 스트리밍 수익모델 [6] Lord Be Goja4835 25/04/02 4835
513928 [LOL] 가렌 근황 [6] 김삼관4004 25/04/02 4004
513927 [유머] 친구가 차 사서 현타 온 겜돌이 [6] 길갈6691 25/04/02 6691
513926 [유머] 야마하의 큰그림.jpg [17] 캬라6070 25/04/02 6070
513924 [동물&귀욤] 시작하기 전 눈빛부터 우승이라는 걸 직감.mp4 [22] kapH5739 25/04/02 5739
513922 [게임] 세가의 결단을 지지합니다 [7] Cand4485 25/04/02 4485
513921 [유머] Chatgpt형님, 지브리 화풍 그림 그리시느라 고생 많으시죠? [27] 일신7097 25/04/02 7097
513920 [스포츠] 김은희 작가 작품에서 사람이 많이 죽는 이유 [23] INTJ6716 25/04/02 6716
513919 [기타] 내 나이 41살, 아버지에게 혼전 임신을 고백했다 [19] 카미트리아9696 25/04/02 9696
513918 [서브컬쳐] 죠죠의 기묘한 모험을 무료로 시청하세요 [2] 유머4533 25/04/02 4533
513917 [게임] 전직 개발자출신 스트리머 마비노기 모바일 평가 [16] 유머7590 25/04/02 759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