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10/08 15:58:34
Name STEAM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56/0000069649?sid=004
Subject [게임] 게임 별 유저 평균 IQ 조사 결과, 1위는 ‘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56/0000069649?sid=004

롤 오공 발더스게이트 순이고 꼴찌는 피파
원문이 궁금해집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10/08 16:00
수정 아이콘
진짜 영국에서 할법한 조사네요 크크
주인없는사냥개
24/10/08 16:06
수정 아이콘
흠 조사군에 유희왕 마스터듀얼이 없었나보군요
앗차차 애초에 게임이 아닌가?
이선화
24/10/08 16:13
수정 아이콘
게임인지 아닌지 듀얼로 결정하죠
덴드로븀
24/10/08 16:15
수정 아이콘
https://www.whichbingo.co.uk/news/which-gamers-are-the-smartest/
가장 똑똑한 비디오 게임 플레이어 베이스는 누구인지 알아내기 위해 WhichBingo는 1,002명의 게이머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심리학자 팀과 협력하여 지능 테스트를 실시했습니다.

원격 IQ 테스트는 언어적 의사소통, 수학, 논리, 시각적 추론의 4개 영역에서 참가자의 인지 능력을 평가했습니다.

원문인것 같네요
24/10/08 16:19
수정 아이콘
롤은 어떤 형태로든 즐기려면 지능 필요한 게임같긴 합니다. 목표가 승리든 상대/우리팀을 빡치게 만드는거든 크크
그냥적어봄
24/10/08 16:19
수정 아이콘
두뇌의 많은 부분이 자극되고 여러 분비물들이 뿜뿜할만한 게임이긴 해요. 침팬지 같이 구는 팀원들도 지딴에는 최선의 판단을 도출해낸거겠죠 지딴에는..
굿럭감사
24/10/08 16:19
수정 아이콘
평균 IQ가 높은 플랫폼은 114.1을 기록한 PC로, 그 아래로 111.0의 PS, 105.9의 Xbox, 103.4의 닌텐도 스위치가 뒤이었다. 모바일 게임의 경우 평균 점수는 99.9였다.
바카스
24/10/08 17:14
수정 아이콘
따지고보면 유아들 접근 가능한 나이 역순이네요
이민들레
24/10/08 16:53
수정 아이콘
평균 아이큐 89 피파..
24/10/08 16:54
수정 아이콘
협곡정치에서 승리하려면 의사소통 논리 시각능력이 중요하긴 하죠
샤르미에티미
24/10/08 16:57
수정 아이콘
iq 테스트는 길러지는 면도 큽니다. 천재로 태어나서 그냥 막 살아도 iq 160 넘고 이런 건 힘듭니다. 기본 지식이나 추론 능력 같은 건 기른 상태여야 합니다. 그런 면에서 단순한 게임으로는 향상되기가 어렵고 복잡할 수록 길러지기 좋죠. 복잡하다는 건 어렵다는 개념이 아니고 다양한 상황 대처와 예측 능력과 정보를 받아들이는 게임들입니다. 예를 들어 다크소울류 게임이 어렵다고 해서 복잡한 건 아니듯이요. 그리고 경쟁 게임일 수록, 팀 게임일 수록 다양하게 길러질 수 있어서 실제 플레이 하는 사람들의 평균 IQ 자체가 원래 높았다기보다는 높아졌다고 보는 편이 맞을 것 같네요.
24/10/08 17:03
수정 아이콘
요즘에는 게임 잘하기 위해선 분석력, 통찰력, 판단력 등 지능 수치를 굉장히 많이 요구한다고 생각합니다. 그걸 구현하기 위한 조작 능력, 피지컬까지 지능적 측면을 가지고 있다고 보면 더욱.

그래서 저는 게임 할 때, 즐거움과 쾌락 외에는 시간낭비 측면만 있다고 생각하진 않아요.
무냐고
24/10/08 17:21
수정 아이콘
일러로 있는 야-요는 그렇게 높을것 같지 않은 친구들인데요 크크
메가트롤
24/10/08 17:49
수정 아이콘
과학자/수학자인데 롤 최고 지성입니다
이른취침
24/10/08 21:25
수정 아이콘
이과 형제...
24/10/08 17:29
수정 아이콘
역시 정치게임
24/10/08 18:01
수정 아이콘
평균 아이큐일테니 아이언 브론즈들도 생각보다 똑똑한 사람이라는 뜻이 되겠네요 크크크
라투니
24/10/08 18:31
수정 아이콘
머리로는 알아도 손이 안따라주는...
distant.lo
24/10/08 19:01
수정 아이콘
같은 과 동생이 롤 하는 걸 봤는데 (아이언 없을 때) 왜 브론즈인 줄 알겠더군요 탑인데 가진 스킬이 뭔지 상대와 상성이 어떤지 정글은 어딨는지 그런거 전혀 고려 안 하고 1렙부터 그냥 서서 맞다이 합니다 그럴거면 평타 쎈 캐릭이라도 고르던가... 수능은 대충 0.1프로 가까울 거에요
24/10/08 18:43
수정 아이콘
통계보니 pc로 게임할수록 똑똑한데 pc하는 사람들이 제일 많이 하는게 롤일테니 뭐 그런거 아닌가 싶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경쟁게임이기 때문에 좀 투미한 사람은 시도할 생각조차 하지 않을테니 그 영향도 있겠지요.
24/10/08 19:21
수정 아이콘
휴 롤은 안하고 발더스게이트3는 명예 2회차 중인데 다행(?) 입니다
소금물
24/10/08 19:24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이게 영국 연구지..

근데 전혀 신뢰가 가지가 않는군요. 의사 변호사도 평균 아이큐가 120이 안될거 같은데요 크크. 다들 좋은 소리만 해서 120이 쉬워보이지만, 100이 평균이고 사람 중 절반은 두자리 아이큐인데요. 나이를 거짓으로 입력했는데 그거때문에 저렇게 나온건 아닐까요.
그 닉네임
24/10/08 20:09
수정 아이콘
검은 신화 오공이 상위권인거 보면...
문화권 차이때문에 저렇게 갈리는걸수도
다레니안
24/10/08 20:42
수정 아이콘
저는 포켓몬일줄..... 포켓몬 천개도 넘는데 기술이며 진화며 어디 출신(?)인지 다 외우는 어린 애들 대단하더라구요. 크크
롤 챔프도 170개 남짓인데...
손꾸랔
24/10/08 21:23
수정 아이콘
펨코 구경 가봤더니 롤은 몰라도 피파는 대체로 공감하는 분위기로
엄준식
24/10/08 22:44
수정 아이콘
동아시아인 비중이 높아서 그런게 아닐까요
24/10/09 09:04
수정 아이콘
한국이 가장 많이해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6784 [기타] RTX 5080이 역대급 원가절감이 되는 이유 [12] Heretic9110 24/10/13 9110
506783 [기타] 나폴리 맛피아의 씨유 밤티라미수컵 근황 [23] 카루오스11049 24/10/13 11049
506782 [유머] 흑인이 꿀잠자는 소음 [3] DogSound-_-*9422 24/10/13 9422
506779 [서브컬쳐] 히로인이 지금 볼일 보러가는게 중요하지 않은 이유 [8] 된장까스10928 24/10/13 10928
506778 [기타] 미인이랑 뽀뽀하는 건 어떤 느낌일까 [12] 묻고 더블로 가!15395 24/10/13 15395
506777 [기타] 노벨상 전화 [2] 퀀텀리프10228 24/10/13 10228
506776 [기타] 국립대 교수는 왕인가? [41] a-ha15736 24/10/13 15736
506775 [서브컬쳐] 제가 엠팍을 재밌어 하는 이유 [26] 럭키비키잖앙12663 24/10/12 12663
506774 [서브컬쳐] 이세돌 신규 굿즈 총정리 [40] 묻고 더블로 가!10711 24/10/12 10711
506773 [기타] [사흘] 1차 예고편 박신양X이민기 [8] 그10번8656 24/10/12 8656
506772 [기타] 물리학 교과서에 도입될지도 모르는 물리엔진 인공지능.mp4 [11] 아서스10245 24/10/12 10245
506771 [기타] 악마의 미소로 알려진 삼풍백화점 절도 당시 영상 발굴 [18] Myoi Mina 12924 24/10/12 12924
506770 [동물&귀욤] 의외로 정보가 안 알려진 물고기.jpg [11] Thirsha10046 24/10/12 10046
506769 [유머] 흑백요리사 먹어보고 싶은 음식 이상형 월드컵 순위 [16] 두드리짱9889 24/10/12 9889
506768 [유머] 최근 컴백한 블랙핑크 제니 유트브 댓글 근황 jpg. [2] Myoi Mina 9394 24/10/12 9394
506767 [기타] 소리소문없이 빠르게 내리막을 탄 제품군 [12] Lord Be Goja12057 24/10/12 12057
506766 [기타] 러시아인이 한국인들한테 말하는 러시아의 실상 [45] 독서상품권12188 24/10/12 12188
506765 [유머] AI업계 전설 일리야 수츠케버가 창업한 기업가치 6조7천억원짜리 회사 [4] 깃털달린뱀9797 24/10/12 9797
506764 [기타] 흑백요리사 최대 맥거핀 [12] 퍼블레인10798 24/10/12 10798
506763 [게임] 철권 [11] STEAM6531 24/10/12 6531
506762 [유머] 현대전의 주력으로 떠오른 병종 [31] 인간흑인대머리남캐11505 24/10/12 11505
506761 [게임] 와우 리테일 갤러리에서 화제인 사건.jpg [70] Thirsha11671 24/10/12 11671
506760 [스타1] 내일 결혼하는 프로게이머.mp4 [12] insane9580 24/10/12 958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