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6/27 09:21:36
Name Myoi Mina
File #1 7186165141_486616_6c9c8100962ed0dc7bfb8b473f830c3f.jpg (542.3 KB), Download : 246
출처 펨코
Subject [유머] 무한도전으로 보는 스마트폰 없던 16년전 서울 모습


진짜 세상 변하는 속도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6/27 09:23
수정 아이콘
미세먼지는 옛날에도 있었죠 예보를 안했을 뿐
스위치 메이커
24/06/27 09:23
수정 아이콘
미세먼지 예보를 안 했던 것...
김삼관
24/06/27 09:24
수정 아이콘
무료로 나눠주는 얇은 신문 있었죠 그 안에 만화같은 재미있는 것도 있었고.. 머리 위 선반에 두고 내리는 사람들거 주워서 읽기도하고 그게 쓰레기라며 말이 나오기도하고 크크.. 이게 추억이 되네요
유료도로당
24/06/27 09:25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경험때문에 숭례문 방화 시점을 기억하고있어서 (08년 초) 16년 전이면 이미 사고후일텐데... 싶었더니 07년 방송분이라 17년 전이네요. 크크
금방 지나온것 같아도 꽤 긴 시간이긴 하죠. 저 동굴모양 지하철역은 아마 5호선 신금호역일거에요.
시무룩
24/06/27 09:26
수정 아이콘
동굴 모양은 신금호역일까요? 신기했던 기억이 있는데 없어져서 아쉽습니다 크크
카케티르
24/06/27 09:26
수정 아이콘
저 역은 충무로역이군요 저렇게 꾸민건
네모필라
24/06/27 09:27
수정 아이콘
아 저런 역이 있었죠 어딘지 잊었지만 제가 갈 일이 없어서 못보는건줄 알았는데 철거됐군요
유료도로당
24/06/27 09:29
수정 아이콘
인공암반모양을 내는 구조물이 가연성재질이라, 화재시 유독가스가 나온다는 문제때문에 철거했다고 하네요.
네모필라
24/06/27 09:58
수정 아이콘
아쉽네요 그때 참 신기하고 좋았었는데
노노리리
24/06/27 11:04
수정 아이콘
충무로 역으로 기억합니다.
마카롱
24/06/27 09:29
수정 아이콘
신문 구독 안 하던 사람도 대중교통 탈 때는 가판대에서 한 부씩 사던 시절
24/06/27 09:32
수정 아이콘
미세먼지는 예전이 더많았을거같은데...흐흐
덴드로븀
24/06/27 09:32
수정 아이콘
https://namu.wiki/w/%EC%84%9C%EC%9A%B8%20%EA%B5%AC%EA%B2%BD%20%EC%84%A0%EC%B0%A9%EC%88%9C%20%ED%95%9C%20%EB%AA%85
[서울 구경 선착순 한 명]

미세먼지 없음 -> 그땐 초미세먼지 조사도 안함
<서울 PM10 기준>
2008년 : 55㎍/㎥
2018년 : 40㎍/㎥
2022년 : 33㎍/㎥

무선이어폰거의없음 -> 저땐 무선이어폰이 아니라 전화용도로 사용하는 한쪽짜리 블루투스 헤드셋 정도만 쓰던 시대
Far Niente
24/06/27 09:54
수정 아이콘
밖에 나가면 흰 와이셔츠가 누렇게 되던 옛날은 다 잊고 미세먼지가 최근에 생겼다고들.. 허허
덴드로븀
24/06/27 09:57
수정 아이콘
DPF 따위 없이 까만 매연 그대로 뱉어내는 디젤 트럭/버스가 도시 한복판을 다니고,
손님 가득찬 PC방/식당에서 모두다 담배를 뻑뻑 피워대던 시절...
기무라탈리야
24/06/27 09:58
수정 아이콘
어허! 블루투스라뇨
핸.즈.프.리!
카페알파
24/06/27 10: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지방 중소도시 기준으로 언젠가부터 한국 특유의 맑은 가을하늘 보기가 확실히 힘들어진 느낌은 듭니다. 1980년~90년대의 가을하늘은 어디서 표현한 대로 '물이 뚝뚝 듣는 듯한' 하늘을 볼 기회가 꽤 있었던 것 같은데요, 요새는 아니거든요. 비가 와서 대기가 씻겨도 그 때 하늘과는 조금 다른 것 같습니다. 단순히 추억보정만은 아닌 것 같고요.

다만, 서울의 경우는, 2000년 초반이던가(가을은 아니었던 것으로 기억함), 제가 얼마간 서울에 있었던 적이 있는데, 지하철로 매일 다니던 지상선로를 지나는데, 어느 날 갑자기 쨍한 햇빛이 들어오길래, 뭐지? 여기 이랬었나? 했었는데, 생각해보니 그 전날 비가 왔었더군요. 비에 먼지가 씻겨 나가서 햇빛이 비쳤던 겁니다. 그래서 서울에 매연이 좀 있기는 있구나 했었습니다.(근데, 그 당시에도 서울이나 광역시 등 대도시는 자동차 매연 등으로 공기가 안 좋다는 이야기들은 했었죠.)
덴드로븀
24/06/27 10:43
수정 아이콘
보통 우리나라에서 가을 하늘이 유난히 맑게 보이는 이유는 [공기 중 습도] 가 낮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가을이라는 계절 자체도 점점 더 날짜수가 줄어들고 있구요.

결국 80~90년대와 현재를 비교했을때 가을 하늘에 대한 느낌은
추억보정과 미세먼지 때문이라기보단 그냥 [기후 변화]로 인한것일 가능성이 훨씬 높겠죠.
카페알파
24/06/27 11:15
수정 아이콘
덴드로븀님 말씀에도 일리는 있지만, 그렇더라도 말씀대로라면 짧은 기간이나마 우연히라도 그런 맑은 하늘이 보이는 날이 있어야 하는데, 솔직히 최근에는 그런 가을하늘을 본 적이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24/06/27 11:06
수정 아이콘
예전엔 할게없어서 밤하늘이나 일반 하늘 많이 봣지만
지금은 핸드폰 보느라 정신없는데 하늘 가끔봐서그래요
24/06/27 17:15
수정 아이콘
저도 여기 공감. 올해만 해도 서울 중심지에서도 파란하늘 수 십 번은 봤습니다.
기무라탈리야
24/06/27 09:34
수정 아이콘
사실 : 16년 아니고 17년 전이다. (2007년 방송분)
덴드로븀
24/06/27 09:35
수정 아이콘
2007년 짜장면값 : 3,400원 수준
2024년 짜장면값 : 7,200원 수준

2007년 엔비디아 주가 : 0.8 달러 수준 (현재 액분 후 기준)
2024년 엔비디아 주가 : 120달러 수준
평온한 냐옹이
24/06/27 09:43
수정 아이콘
엔비디아랑 비교하면 뭐든 덜오른 느낌이긴 하겠네요
Lord Be Goja
24/06/27 09:51
수정 아이콘
10년내 상승율이 비트코인보다 높죠
유료도로당
24/06/27 11:01
수정 아이콘
의아해서 찾아보니 2012년까지 거의 똥값이던 비트코인이 2013년부터 엄청 올라서, 2014년 여름에 비트코인이 생각보다 비쌌네요 크크 (당시 가격 약 백만원쯤) "12년내 상승율"로 비교하면 비트코인이 말도 안되게 이기겠네요.
Lord Be Goja
24/06/27 12: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14년에 거래소 하나 터지는 바람에 폭락하고 나서 30만원정도로 한동안 유지되긴했는데 그기준으로 하면 비트코인 9천만원으로 잡을때 300배오르긴했죠 그러면 엔비디아랑 비슷한 단위..
14년고점에 물린사람이 원금 회복하는데는 40개월의 존버가(물가 상승율만 잡아도 17년3월정도??!) 필요했던..!
유료도로당
24/06/27 13:05
수정 아이콘
제가 16년에 처음 사서, 주변에는 꽤 일찍 시작한걸로 알려져있는데....크크크 14년 이럴땐 정말 잘 모르는 고대적 얘기같네요
몽키매직
24/06/27 09:46
수정 아이콘
코로나 이후로 인플레 가속 붙어서... 코로나 이전에는 2배되는데 20+@ 년 걸렸는데, 최근 자료 보면 15년 이내에 2배 찍을 기세...
무도사
24/06/27 09:36
수정 아이콘
사진에 나온 청담대교는 2008년 시점이면 이미 지어지고도 남은 시점인데 아마도 자료화면을 예전걸로 활용한 것 같습니다
DownTeamisDown
24/06/27 10:07
수정 아이콘
미세먼지는... 예전이 더 심했죠.
물론 그때는 제대로 조사도 안했을 시절이라...
일반상대성이론
24/06/27 10:20
수정 아이콘
흰손수건이 금방 까매지는 수준이었는데… 크크 미세먼지는 진짜 미화가 심하긴 하네요
산밑의왕
24/06/27 10:27
수정 아이콘
90년대 뉴스화면만 봐도 크크
아우구스투스
24/06/27 10:15
수정 아이콘
근데 저때 기준으로 보면 16년전이 무려 92년이니까 체감상 변화는 더 크긴 할거에요.
롯데가 우승했을겁니다.
물리만세
24/06/27 19:53
수정 아이콘
아니.
그럼 16이 두 번이나 도랐...!!!

그렇게 생각하니 엄청 오래됐군요.
24/06/27 10:19
수정 아이콘
첫짤 청담대교 개통이 1999년인데 당시 기준으로도 10년전 자료화면을 썼군요.
캐러거
24/06/27 10:31
수정 아이콘
아침마다 전철역앞에 메트로 등등해서 무가지 진짜 많았죠 별 내용은 없지만 다들 하나씩 집어가고
종점 근처가면 폐지모으시는 노인분들 열차선반위에 놓고내린 무가지들 모으시고 다 옛날이네요
서린언니
24/06/27 10:36
수정 아이콘
신문만큼 주간지도 많이 팔리던 시절이죠
esforce라는 프로게이머 잡지 재미있게 봤는데 크크
Light Delight
24/06/27 10:37
수정 아이콘
2007년은 지금이랑 딱히 많이 다르지 않았던 것 같은데 라고 생각하면 늙었다는 뜻이겠죠?..
덴드로븀
24/06/27 10:43
수정 아이콘
혼령이시여...
Light Delight
24/06/27 18:52
수정 아이콘
아니 크크 저는 아직 30대인데요..
No.99 AaronJudge
24/06/27 16:10
수정 아이콘
2007년….
24/06/27 10:45
수정 아이콘
숭례문 멀쩡함 ㅠㅠㅠㅠㅠㅠ
겟타 세인트 드래곤
24/06/27 10:45
수정 아이콘
저때 저는 블루투스 열심히 썼죠 플랜트로닉스에 바친돈이... ㅜㅠ
유료도로당
24/06/27 10:57
수정 아이콘
무선이어폰 거의 없음이라고 되어있는데... 2007년 기준으로 (당연히 기술은 있었지만) 제대로 상용화된 제품이 있긴 있었는지 모르겠네요. 아예 없음 아니었으려나요? 크크
덴드로븀
24/06/27 11: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namu.wiki/w/Apple%20Bluetooth%20Headset
[Apple Bluetooth Headset]
국내에는 당연히 판매하지 않았고 미국에서도 잠깐만 판매했기 때문에 몇몇 애플 매니아가 아니면 모르는 사람이 많다.
심지어 영문 위키백과에도 정보가 없다.

https://namu.wiki/w/LG%20TONE%2B%20%EC%8B%9C%EB%A6%AC%EC%A6%88/%EB%84%A5%EB%B0%B4%EB%93%9C%20%EC%9D%B4%EC%96%B4%ED%8F%B0#s-2.1
[HBS-700]
2010년 8월 출시

LG에서 낵밴드형이 나오기 시작한게 2010년이네요
터치터치
24/06/27 11:04
수정 아이콘
갈수록 세월이 빠르다곤 하지만

1990년과 2007년

2007년과 2024년을 비교하면

1990년과 2007년의 간극이 아득히 넓은 듯 합니다
덴드로븀
24/06/27 11:15
수정 아이콘
1956년 : 이승만 3대 대통령 임기 시작
1973년 : 석유 파동
1990년 : 걸프 전쟁
2007년 : 코스피 2000
2024년 : 코스피 2800
카바라스
24/06/27 11:32
수정 아이콘
애초에 07년은 이미 선진국 진입한지도 한참된 시기라 고도성장기,개발도상국시절과 궤를 달리하죠.
24/06/27 13:17
수정 아이콘
07년에 선진국은 아니지 않았나요?

중국 펌핑 신나게 하면서 선진국 들어갈까 말까 하는 시점으로 기억하는데...
24/06/27 15:00
수정 아이콘
07년이면 선진국 진입한지 한참 후죠.
선진국과 경제 규모는 별개이긴 하지만, GDP 순위도 2024년이나 2007년이나 같습니다.
터치터치
24/06/27 13:32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국한이라기 보단
지도에서 네비로
삐삐에서 스마트폰으로
도서관에서 인터넷 검색으로

이런 간극이 넓단 의미이긴 합니다

선진국이 아니라도 어차피 도입되었을 것들이라서요
24/06/27 11:22
수정 아이콘
충무로역 이제 동굴벽 아니에요???!!!!?!?!??!!?
가이브러시
24/06/27 13:15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이제 아닌가요!@#222
탑클라우드
24/06/27 11:34
수정 아이콘
세상은 급격히 변해가게 마련이죠. 어제와 오늘이 똑같은 것 같지만, 막상 연 단위로 시간이 지나고 보면 꽤나 변해있는...
저는 2019년에 베트남 온 후로 코로나 종식되기까지 한국에 가지 못하고 있다가 2022년에 다시 한국에 갔는데,
심지어 코로나 기간 중에도 서울의 도심과 판교역 일대는 꽤나 많이 변했더라구요.
라울리스타
24/06/27 12:29
수정 아이콘
패션, 디자인 등 유행에 민감한 국민 특성
도시 재정비가 필요한 곳은 건물 단위가 아니라 블럭 단위로 갈아엎음

이 두 가지가 급변하는 대한민국의 도시풍경이 해마다 변하는 이유라고 생각하는데요.

저성장, 고령화 시대가 되면서 점차 그 속도가 완만하게 느려지고 있음 또한 부정할 수 없는 것 같습니다...흐흐
Dark Swarm
24/06/27 14:45
수정 아이콘
미세먼지 없음은 좀...
기도비닉
24/06/27 14:46
수정 아이콘
저기서 3~4년 더 거슬러 올라가면

지상 지하철역 승강장에서 흡연 가능(창동역 등)
무궁화호 객실 사이 연결부에서 흡연 가능
심지어 대학교 건물 내 구석 창가에서 흡연 가능
술집 피씨방 당구장 노래방 어디서든 흡연 가능

지금의 시선에선 야만적이지만 그땐 그러려니 했죠
손꾸랔
24/06/27 16:46
수정 아이콘
그 시점 일본 독일 등은 기차에 흡연 객실도 있었죠. 한국이 금연 전환도 빠른 나라였다는
Jedi Woon
24/06/27 15:04
수정 아이콘
지내는 동안에는 변하는 과정을 보니까 크게 체감을 못하는데 한참 뒤에 사진이나 영상을 보면 이만큼 변했구나 라는게 느껴지죠.
저때와 비교해서 가장 많이 변한건 여의도 인 것 같아요.
엘든링
24/06/27 16:56
수정 아이콘
딱 중딩때인데 있어보이는 척 하려고 맨날 신문 받아서 읽던 기억 나네요
이정재
24/06/27 16:58
수정 아이콘
뭘 노리는지 보이네요
24/06/27 21:28
수정 아이콘
틀린 정보가 너무 많아서 어지럽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92374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33717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536352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924036
502140 [유머] "혹시 다음 권 있나요" [5] 길갈1529 24/06/30 1529
502137 [유머] 연령별 대한민국 남성들의 취미.jpg [15] 김치찌개2881 24/06/29 2881
502136 [유머] 알츠하이머 그림테스트.jpg [13] 김치찌개2246 24/06/29 2246
502135 [유머] 본인이 선호하는 서브웨이 빵 종류는?.jpg [10] 김치찌개1461 24/06/29 1461
502134 [유머] 다음중 가장 탐나는 것은?.JPG [10] 김치찌개1206 24/06/29 1206
502133 [유머] 2024 워터밤 서울 라인업.jpg [14] 김치찌개2030 24/06/29 2030
502132 [유머] 신기한 스타크래프트 용량 [2] Myoi Mina 1555 24/06/29 1555
502129 [유머] 미쳐버린 아이슬란드 물가 [13] 산밑의왕3570 24/06/29 3570
502128 [유머] 미국에서 결혼적령기 남녀가 이성을 만날 때 거르는 요소들 [22] EnergyFlow3894 24/06/29 3894
502126 [유머] 아재들은 모르는 요즘 고무동력기 근황 [23] 인간흑인대머리남캐5872 24/06/29 5872
502120 [유머] Ai는 이해못하는 리뷰 [11] 주말4090 24/06/29 4090
502119 [유머] 일본인은 이해못하는 일본어 간판.ai [8] 유리한3272 24/06/29 3272
502115 [유머] 이 정도 되면 귀신을 믿겠다는 과학자 [27] 무딜링호흡머신6577 24/06/29 6577
502114 [유머] 일본인은 이해못하는 일본어 간판 [4] 인간흑인대머리남캐4318 24/06/29 4318
502111 [유머] MBTI 별 기도문 [22] 무딜링호흡머신3643 24/06/29 3643
502108 [유머] 너덜트 신규영상 철물점 : 게스트 - 김의성 Croove3204 24/06/29 3204
502103 [유머] 밑에 야구글(?) 올라왔으니 180키로의 커브 영상을 [10] 김삼관7194 24/06/29 7194
502102 [유머] 롯데투수 김원중 분석글 [17] 녀름의끝7535 24/06/29 7535
502101 [유머] 피지알러 여러분들을 위한 야구장 의자 [1] Means4209 24/06/29 420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