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6/09 15:30:34
Name 서귀포스포츠클럽
File #1 s0Gt213fjuoo933bfa.jpg (915.6 KB), Download : 154
출처 https://m.slrclub.com/v/hot_article/1256806?&page=32524
Subject [기타] 5년째 회계사 준비하고 있는 아들


어쩌다 저 지경까지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6/09 15:35
수정 아이콘
그냥 문과는 현재 답이 없습니다.

스카이든 서성한이든 문과생들은 전문직과 로스쿨만 쳐다보고 있습니다.

사기업 공채는 진작 멸망했고, 공기업 공채는 가뭄에 콩 나듯이 납니다.

그럼 혹자는 니들 수학과학 못해서 문과 간 거 아님? 받아들이셈 이러는데

스카이 서성한이 수학 못할리가 있겠습니까? 어딜 던져놔도 잘할 사람들인데 말이죠.
최적화
24/06/09 15:42
수정 아이콘
다 공감하는데 마지막은 좀 애매한거 같네요.
입시한지 좀 됐지만, 문과 선호가 낮아진 요즘에 문과를 택한 친구들은 대부분 수학을 피해서 문과로 간 사람이 많았습니다.
실제로 경제/통계 등 수학과 밀접한 학과 아니고서는 수학이라면 학을 떼는 친구들도 많구요.
티아라멘츠
24/06/09 15:42
수정 아이콘
못할 수 있습니다. 문과 수학 1등급은 이과 수학 3등급이다, 가 공공연히 돌아다니던 시절이 있었고 통합 이후 그게 빈말이 아니란걸 보여주는 중이라.

수학 잘하는 문과가 있을 수는 있지만 문과인데 스카이 서성한이라고 수학도 잘할거다 라는건 일단 절대 확실한 문장은 아닙니다.
24/06/09 15:44
수정 아이콘
요새 입시로는 못하는거 맞아요. 오죽하면 외고, 국제고 들어가는 아이들을 보고 수학못하니까 외고 , 국제고 간다는 말까지 나올 정돕니다.
갓기태
24/06/09 15:59
수정 아이콘
수능 과탐 1타였던 윤도영이 분석한 결과 수학 못하는거 맞아요

말씀하신내용이 부합하려면 통합으로 치던 6차 수능 마지막 85년생 정도는 되야
24/06/09 16:37
수정 아이콘
전 95 근처인데, 제가 보기에 갓기태님은 알못들은 모르니까 말만 쉽게 하는구나 밖에 안됩니다.
문과 서성한이면 교차로 해도 낮추면 어렵지 않고 취업도 너무 위를 안보면 어렵잖습니다.
24/06/09 18:09
수정 아이콘
대기업 못가면 중견기업 가면 안되나요? 아니면 7급해도 되지않나… 전문직만 바라보는 건 좀…
24/06/09 19:29
수정 아이콘
문이과의 현실과 본문은 아무 상관도 없습니다
24/06/09 19:34
수정 아이콘
수학 못할수 있죠

이게 무슨소리신지

현실을 전혀 모르시는거 같네요
루크레티아
24/06/09 15:36
수정 아이콘
일단 시험을 보고 있기는 한건지부터가 문제..
Mini Maggit
24/06/09 18:53
수정 아이콘
이거죠 1차는 붙었는지 어케압니까
서린언니
24/06/09 15:37
수정 아이콘
행정고시 재수해서 떨어지고 하늘나라 간 친구 생각나네요 서울대였는데... 에휴
우주전쟁
24/06/09 15:40
수정 아이콘
제 딸도 문과(상경계)라 남의 일이 아니네요. 이제 3학년 되면서부터는 학회활동도 열심히 하고 이것저것 부지런히 뛰는 것 같긴한데 이게 좋은 결과로 이어져야 할 텐데 말이죠...;;
진아린롱
24/06/09 15:42
수정 아이콘
슬프네요.. 그냥 슬픈일입니다 뭐가 어찌됐건 한발짝 나와서 다시 어머니와 함께 일상을 누릴수있길 기원합니다.
24/06/09 15:43
수정 아이콘
개별 케이스는 사정모르면 말을 아껴야 되니 저 본문의 가족이 확실히 저렇다라곤 말 안하겠지만,
일반론으로 보면 저런경우 10에 9는 백수간판대신 고시생 간판을 달고있는것 뿐이죠.
아서스
24/06/09 15:45
수정 아이콘
제 아는 친한 동생이 회계사 준비하다 계속 물먹고,

세무사로 돌려서 다시 몰빵쳤는데, 1차 합격은 어떻게 넘는 것 같은데 몇년째 2차의 벽을 계속 못 넘고 있습니다.

얼마전에 또 1차쳤고, 아직 결과는 안나왔지만 잘 본 것 같다고 하는데, 또 내년에 유예 2차에서 떨어지면 진짜 세상 살기 싫을 것 같다고 털어놓더군요.

청춘에 절반을 올인떄렸는데, 한 끝 차이로 결과가 좋지 않을때, 그 자신감 넘치고 활기찬 친구가 이렇게까지 무너지는걸 보면 안타깝기 그지없습니다.

전문직 시험은 진짜 초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이에요.
의견제출통지서
24/06/09 16:13
수정 아이콘
제 친구가 세무사를 7년만에 결국 붙고는 1년만에 개업해서 바로 자리잡았습니다.
말이 7년이지 30대를 온전히 다 보낸셈이에요.
처자식 없었으면 세상등졌을거 같았는데, 붙자마자 다 회복되더군요. 정신적이든 물질적이든.
24/06/09 15:50
수정 아이콘
회계사 준비를 제대로 하는 사람에게 수학을 못 한다고 하긴 애매하죠
최적화
24/06/09 15:56
수정 아이콘
이게 요즘 현실을 보여주는게, 수학 싫어서 문과로 간 친구들이 결국은 수학을 잘해야 취업이 되는 상황입니다.
취업을 위해서는 수학적 능력을 요구하는 시험을 준비하거나,
이과쪽 전공을 복전하는 경우가 엄청 많아요.
24/06/09 15: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맞습니다
문과에서 살아남으려면 진짜 극소수를 제외하곤 수학적 센스가 필수죠 크크
9급 왜가냐고 묻는 사람이 많은데
수학 못 하는 문과가 9급 이상의 직장 가지기가 진짜 힘듭니다.
24/06/09 16:35
수정 아이콘
교차지원한 입장으론 이런 댓글 보면 현실을 모른다 싶어요. 모르니까 말은 쉽죠.
구급킹
24/06/09 15: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까딱하면 저렇게 될뻔해서 남일같지 않네요. 저는 20대에는 그냥 피씨방+ 술먹고 놀면서 지내다가 회계사 준비 깔짝 해보고 안되겠다 싶어 공무원 많이 뽑을때 어떻게 합격해서 사는데.. 주변에 전문직 준비한다고 20대부터 30중반까지도 도서관틀어박혀있는 친구들이 꽤나 있습니다. 열심히 하는데 안되면 참 보기 힘듭니다.
핑크솔져
24/06/09 16:00
수정 아이콘
고시늪에 빠지면 진짜 빠져나오기 너무 어려워요.
larrabee
24/06/09 16:02
수정 아이콘
해당 추격60분 영상 안보셨다면 한번쯤 보는걸 추천드립니다 지금 청년문제에 꽤나 진지하게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tZYhQqm1vM
24/06/09 16:04
수정 아이콘
저건 문과고 할게없고 안타깝고 그 이상의 문제가 있는거죠 얼굴을 왜 안보고 삽니까 어머님 말대로 뭘하든 건강하게 살아야지..

저렇게 수년을 세상과 단절하고 살면 시험에 붙는다고 잘적응하고 살지도 의문이네요.
산다는건
24/06/09 16:05
수정 아이콘
제 인생같네요. 전 스타에 빠져서 낮, 저녁에 스타보고 밤새 스타하고..고시생 타이틀 걸고 33까지 폐인생활했다죠.
그럐도 저 친구는 2차본다니 공부라도 하는거 같아 다행이네요.
24/06/09 16:06
수정 아이콘
Cpa 1차 붙은 사람도 문과의 현실이라는 소리 듣는다는 게 참 어지럽네요
최적화
24/06/09 16:25
수정 아이콘
사회초년생 시기라 주변 친구, 동기들 이야기를 많이 듣는데 취업 시장이 기형적입니다.
상위권 대학 친구들은 거의 전문직을 노리는데 그 중 CPA가 가장 인기가 많습니다.
리스크가 큰 전문직 시험에 엄청 많은 인원이 쏠리는 게 평범한 일은 아니라, 문과의 현실 소리가 나오지 않나 싶습니다.

문과 전문직 쏠림 현상
https://magazine.hankyung.com/job-joy/article/202403046644d
Karmotrine
24/06/09 16:09
수정 아이콘
이게 기승전 문과혐오로 가네 크크크크
24/06/09 17:14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문이과 나뉘기전에 전교 10등정도였던 입장에서 이렇게 문과가 무시받고 바보취급받는 현상이 이해가…
안전마진
24/06/09 16:17
수정 아이콘
회계가 수학하고 얼마나 관련있다고 진짜 수학부심 쩌네요 크크
여기 얘기만 들으면 기술사도 아니고 기사 자격증조차도 cpa보다 더 어려워 보이는데 현실은..
24/06/09 16:19
수정 아이콘
그냥 3번 떨어지면 못 보게 하는 게 나아요. 그럼 뭐라도 하면서 살겠죠. 3년이 길기는 하지만 어떻게 복구가 되는 시간이기도 하고...
짐바르도
24/06/09 16:26
수정 아이콘
문과 졸업, 유튜버
24/06/09 16:26
수정 아이콘
저 내용의 아들은 거의 폐인이 되어 있을거 같은데... 2차 붙는다 한들 세상에 나올까..
잠깐 회계 프로그래밍 맡은 적 았는데 회계는 논리던데...
24/06/09 16:28
수정 아이콘
회계는 논리인데 cpa시험은 그냥 통암기입니다..저런류시험이라는게 결국 툭치면 입에서 자동반사적으로 관련내용이 튀어나오게 만들때쯤 붙고 실무뛰면서 암기는 다날라가고 정수인 논리만 남죠. 논리로 시험합격은 무리입니다..
24/06/09 16:27
수정 아이콘
본문만보면 21년초 1차탈 22년초 또는 23년초 1차합, 방에 들어간지 1년이건데.. 왠지 22년초 1차합 후 2차탈 이후 유예도전을 위해 극단으로 달리는 느낌이네요.

전 좋다고봅니다. 1차합격한거보면 공부하다 놔버린것도 아니고 정상적으로 하다가 계속탈하니 극단으로 달리는 건데.. 어차피 못붙으면 제로인게임 후회없이 1년 해보는게 왜 추적60분까지 나올일인가요..
그냥적어봄
24/06/09 16:32
수정 아이콘
방에 틀어박히고 100kg대까지 살찌고..20대 초반을 저렇게 보내서 남일같진 않네요 전 군대 끌려가서 사람 만나고 살빠지고 했지요 결국 환경의 변화가 필요하긴 해보입니다만 다 안다는양 함부로 말할수는 없네요
파프리카
24/06/09 16:36
수정 아이콘
아드님이 아니라 어머님을 위해 합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24/06/09 16:38
수정 아이콘
저도...
MovingIsLiving
24/06/09 17:18
수정 아이콘
저도...
콘칩콘치즈
24/06/09 16:46
수정 아이콘
서울 중위권 대학 문과쪽 전공 재직중인데 매년 취업률 통계 50+는 나옵니다. 아주 높다고는 볼 수 없지만 너무 극단적으로 말씀하시는 분들이 계셔서요. 다 백수되는줄 아시는 분들도 계실것같아서...그정돈 아니에요. 
네모필라
24/06/09 17:22
수정 아이콘
원래 온라인에선 모 아니면 도밖에 없지않슴니까 크크크크
Capernaum
24/06/09 18:42
수정 아이콘
사실 그리고 문과 이과가 아니라

공대 그 나머지 일텐데...

문과만큼 취업 안되는게 순수 과학 학과....
JOINTOBAN
24/06/09 16:46
수정 아이콘
한심...
24/06/09 16:50
수정 아이콘
Cpa합격까지 평균3.5넘어갈텐데 기간을 줄여서 답한다는 걸 고려하면 저게 그리 늦은 건 아닙니다.
생활방식은 좀 걱정되네요.
일면식
24/06/09 16:50
수정 아이콘
2차를 본다는 건 그래도 1차는 붙었다는 것이고, 공부를 전혀 안 하는 건 아닐 겁니다.
어머니 나이로 미루어 짐작했을 때, 30~34살 정도일 것 같은데 지금이라도 정신 차려서 회계사 2차를 1년 안에 붙으면 지금까지 어떻게 살았든 정상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겁니다.
이혜리
24/06/09 16:50
수정 아이콘
수학 잘하는거랑 아예 관련 없습니다.
물론 그 수학 잘하면 숫자 감각이라는 게 있어서 암기에 좀 더 도움이 될 뿐입니다.
그냥 무식하게 우직하게 왜?라는 단어없이 외우는게 제일 좋습니다.
청춘불패
24/06/09 16:51
수정 아이콘
이 영상 유튜브로 봤는데
방에 숨어버린 아들
뒷바라지 하느라 고생하는
어머니가 안타까웠네요
Polkadot
24/06/09 17:07
수정 아이콘
소위 회떨이라고 하는데 붙으면 어떻게든 복구가 되지만 못붙으면 수저물고 태어난거 아닌 이상 본인 및 본인 가족의 삶은 거기서 종료됩니다. 그리고 생각보다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어요.
24/06/09 17:14
수정 아이콘
요즘 취미로 수학 공부 하고 있는데 이런 댓글 보니까 신기하네요.
여러분, 취미로 수학 하세요 재밌습니다.
그거 머리 좋은 사람들만 할 수 있고 재밌는 거 아니냐구요?
우리가 뭐 손흥민만큼 축구 잘해서 공 차는거 좋아하는 거 아니잖아유?
24/06/09 17:24
수정 아이콘
수학공부 하시는데 이용하는 사이트 있으신가요?
독학하는 방법이나 루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4/06/09 17:43
수정 아이콘
저는 제 학창시절에는 없었던 수학인강계를 평정한 유명 강사가 있다길래
강의가 도대체 어떻길래 그 난세를 평정한건지 궁금해서, 유료로 수강하면서 강의 듣고 문제 풀어보고 하고 있습니다.
혼자서 하셔도 되고, 강의 활용하시려면 EBS에 괜찮은 무료강의가 많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20060828
24/06/09 19:11
수정 아이콘
취미로 하는게 진짜 수학의 즐거움입니다. 입시 경쟁에서는 절대 못 느끼죠.
24/06/09 20:25
수정 아이콘
네 그렇더라구요.
시간이나 성적에 대한 부담도 없고
딱 떨어지는 정답의 엄밀성, 어느 경로로 가도 모든 것이 맞아 떨어지는 아름다움은
다른 과목이나 학문에서 느낄 수 없는 큰 즐거움 입니다.
콩돌이
24/06/09 17:25
수정 아이콘
회계사 시험과목 중 제일 중요한 회계학과 세법은 수학과는 관련이 별로 없다고 생각하고 거의 암기과목에 가깝습니다. 그냥 숫자를 다룰 뿐이지...
다만 재무관리나 1차과목 중 하나인 경제학은 확실히 수학센스가 필요하긴 하죠.
일면식
24/06/09 17:29
수정 아이콘
회계사에 대해서는 1도 모르지만, 제가 하고 있는 쪽 일도
수학지식은 전~혀 쓸모가 없긴한데, 수학적사고를 잘 하는 사람과 그렇지 못 한 사람의 엄무능력 차이는 나이를 먹어갈수록 더 벌어지는것 같아요.
24/06/09 17:46
수정 아이콘
저도 수학의 힘이 그런 곳에 있다고 생각해요.
교과과정의 수학 지식을 실생활에 직접 활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해도
간접적으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데는 엄청나게 많이 활용되고
수학으로 발달시킨 사고력과 논리력이 인생 전반에 알게모르게 크게 작용한다고 생각합니다.
과장 조금 하면, 온 세상이 수학이니까요.
라방백
24/06/09 17:35
수정 아이콘
제가 수포자 전문 학원강사였던적이 있어서겠지만 어릴때 수학을 놔버리면 과학적사고와 논리적 연산에 어려움을 겪고 이는 나중에 전문화된 업무의 워크플로우를 이해하는데 영향을 준다고 생각했습니다. 물론 몸으로 익히면 누구나 익숙해 지지만 이해와 익숙함은 조금 다른 이야기니까요.
Capernaum
24/06/09 17:44
수정 아이콘
공무원 인기도 시들해진 요즘

서성한 중경외시 이상급 문과는 학원으로도 많이 가더군요

물론 일단 대기업 취준 해보고..
라라 안티포바
24/06/09 17:50
수정 아이콘
요즘은 서로 불편하게 태어나지 말자는 메타로..
No.99 AaronJudge
24/06/09 19:56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아마 그래서 0.6이 뜬 게 아닐까요
24/06/09 17:53
수정 아이콘
최근 취업시장에서 난리였던 개발자도 사실 수학 못해도 큰 지장없습니다. 저런 케이스인 분들이 진짜 많이 전향 하셨던걸로 기억해요
Capernaum
24/06/09 18:40
수정 아이콘
지금 개발자 시장 신입 티오 거의 없어서

애매하게 뛰어들면 힘들듯요
Far Niente
24/06/09 18:11
수정 아이콘
첫댓의 중요성.. 이게 문이과 얘기가 나올 일인가?
설사왕
24/06/09 20:15
수정 아이콘
1차 합격을 하긴 한 걸까요?
아무리 공부에 열중한다 해도 같은 집에 사는 어머니가 자식 얼굴을 1년동안 못 본다는게 말이 되나 싶습니다.
24/06/09 20:25
수정 아이콘
어머니는 단 하나의 의심도 없이 서포트중인데
아들이 기대에 부응 했으면 하네요.
24/06/09 20:35
수정 아이콘
저도 저 정도는 아니지만 시험 준비하면서 많이 힘들었던적이 있어서… 너무 마음이 아프네요 
같이 사는 어머니와도 얼굴을 안보고 산다면, 과연 공부에 집중할 수 있을만한 멘탈이 유지가 될지 걱정됩니다
Chasingthegoals
24/06/09 21:19
수정 아이콘
소통이 단절됐는데 1차 합격했는지부터 깜깜이라 어머님이 제일 안타깝네요.
24/06/09 23:11
수정 아이콘
첫댓글이 다 망쳤네요
애플프리터
24/06/10 01:29
수정 아이콘
아들이 악마를 때려잡으면서 유튜브 보고 있을 확률은? 그게 아니면 곧 붙을텐데...
24/06/10 16:22
수정 아이콘
그냥 이제 문과를 없애야 하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문이과 나눌 의미가 있나..저 고딩때 가장 후회되는게 문과간거였고, 딱히 취직문제 때문은 아니고 그냥 문과과목이 상대적으로 더 좋아서 간거였어요. 근데 가장 아쉬운게 수학 과학을 더 심화되서 못배운다는거였는데..수학은 심화까지 무조건 기본으로 가고 선택 과목에서 과학 사회과학, 역사, 언어 등으로 좀 나눠서 선택가능하게 바꾸면 좋을듯..
거기로가볼까
24/06/10 18:08
수정 아이콘
CPA 합격자 평균수험기간이 3년~3년반이라 SKY에서도 4년 넘어서 붙는 사람들 꽤 있죠. 일단 붙으면 장땡이라. 몇유있지는 모르겠지만 좋은 결과 있으면 좋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1338 [기타] 익숙한 피지알러분들 많으실 것 같은 직장 언어... [139] 우주전쟁10249 24/06/11 10249
501330 [기타] 2024년 미스코리아 글로벌 진선미 [34] 아롱이다롱이8524 24/06/11 8524
501321 [기타] 요즘 밤양갱 근황 [35] 카루오스7468 24/06/11 7468
501320 [기타] 오늘 심기가 매우 불편하신 일론 머스크 형님 [9] 우주전쟁6014 24/06/11 6014
501317 [기타] 우리은행서 100억 원 규모 대출금 횡령 사고 발생 [25] Leeka6734 24/06/11 6734
501310 [기타] 남편에 대한 신뢰가 차갑게 식어버린 아내.jpg [40] 北海道12804 24/06/11 12804
501307 [기타] 2024 로스쿨별 변호사 시험 합격률 [32] Capernaum8752 24/06/10 8752
501302 [기타] 이번 홍콩반점 영상에서 가장 신경쓰이는 점 [43] 퍼블레인9524 24/06/10 9524
501300 [기타] 홍콩반점 전국매장에 합산 9천만원 투자하는 백종원 [38] 정공법8748 24/06/10 8748
501299 [기타] ??? : 카이막 세균수 기준 부적합 백종원의 책임은 없나? [14] 카루오스6636 24/06/10 6636
501297 [기타] 당근에서 자동차 팔아보기 [23] 톰슨가젤연탄구이6736 24/06/10 6736
501296 [기타]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의 현역병사...jpg [20] 어금니와사랑니7273 24/06/10 7273
501293 [기타] 몽골인이 시체 위치 기억하는 법 [9] 퍼블레인6090 24/06/10 6090
501292 [기타] 현재 전국 날씨 [7] TheZone5004 24/06/10 5004
501290 [기타] 의외로 그렇게 어렵지많은 않다는 것 [25] 우주전쟁6115 24/06/10 6115
501278 [기타] 실시간 로고 바뀐 애팸코리아 근황 [91] Lord Be Goja8438 24/06/10 8438
501266 [기타] 카이스트 전자전기공학 99년생 최연소 교수 [32] VictoryFood6865 24/06/10 6865
501261 [기타] 요즘 문신업계에서 팔고있다는 부적 [32] 모르면서아는척함7117 24/06/10 7117
501258 [기타] CG인 줄 알았던 커피 광고 [9] 빼사스4113 24/06/10 4113
501256 [기타] 어느 국내ai 연구소가 지원받은 장비 [19] Lord Be Goja6418 24/06/10 6418
501255 [기타] 굳이 그렇게 까지 해가면서 영화 이해하기 싫습니다... [29] 우주전쟁6938 24/06/10 6938
501251 [기타] 세계의 군사충돌 근황 [52] Lord Be Goja7178 24/06/10 7178
501246 [기타] 러시아 사람들의 마음의 고향(?)... [22] 우주전쟁4951 24/06/10 495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