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6/07 13:01:52
Name 北海道
File #1 0607125425373180.jpg (1.29 MB), Download : 131
File #2 0607125729439236.jpg (193.9 KB), Download : 125
출처 https://m.bboom.naver.com/board/get?boardNo=9&postNo=4134664
Subject [유머] 솔직히 초중고 현장에서 필요없다는 직책.jpg




요즘 학생회도 유명무실한가요? 나름 힘 있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6/07 13:02
수정 아이콘
저희때 전교회장이 졸부여서 매달 전교생한테 햄버거 돌렸는데..
갤럭시S24
24/06/07 13:05
수정 아이콘
거지여서 얻어먹으신게 아니라면 졸부란 표현은 심하지 않나요?
24/06/07 13:09
수정 아이콘
명사
갑자기 부자가 된 사람.

인데 문제가 있는건가요;;
제발존중좀
24/06/07 13:13
수정 아이콘
보통 낮춰부르는 표현으로 인식하는게 보통인걸 인지하고 계실 수준이 되시다면,
이미 얻어먹고 쓰시기에 적당한 표현은 아니신거같아요.

님은 그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가난하신거같으니 상대적으로 거지시네요 하면서

거지
명사
가난한 사람

인데 문제가 있는건가요? 라고 누군가 쓰면 기분나빠하겠죠?
24/06/07 16:31
수정 아이콘
거지는 사전적으로 '가난한 사람'이라는 뜻이 아니기 때문에 맞지 않는 예고, 애초에 '상대적으로 거지'라는 표현 자체도 어폐가 있습니다.
제발존중좀
24/06/07 17:03
수정 아이콘
네. 사전적인 의미를 제대로 가져와서 쓰더라도 저렇게 말해선 안된다는건 그대로긴합니다.
카마인
24/06/07 13:14
수정 아이콘
졸라 부자?!
평온한 냐옹이
24/06/07 13:36
수정 아이콘
갑자기 부자면
갑부
카즈하
24/06/07 13:38
수정 아이콘
호랑이가 부자면

범부



범부여...
바카스
24/06/07 13:42
수정 아이콘
두 분 동창 모임이십니까. 덜덜
척척석사
24/06/07 14:08
수정 아이콘
그 단어의 안 좋은 뉘앙스를 몰라서 그렇게 말씀하신 거다
뉘앙스도 잘 알고 있고 얻어도 먹었지만 내가 알빠노 하고 비하 박으신 거다

둘 중 뭐라도 좀 이상하네요 크크
24/06/07 13:05
수정 아이콘
훌륭한 반장을 나누는 기준은
야자 때 데리버거를 사주냐 빅맥을 사주냐였죠.
대충 부의 재분배도 하고.. 보통은 있는 집 애들이 하더라는..
티오 플라토
24/06/07 13:05
수정 아이콘
도입 의도가 불측했더라도 (학도병 징집시 중대장 같은 역할?) 민주주의 연습에는 좋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교육청 차원에서 학생회의 권한과 의무를 보장해 주면 좋겠네요.
레드빠돌이
24/06/07 13:05
수정 아이콘
투표제도를 제대로 경험해주는 좋은 제도인데요...
언급되는 부정적인 경험이 학생회장 투표에만 적용되는게 아니죠
키작은나무
24/06/07 13:06
수정 아이콘
저때도 별 일은 안했는데.. 나중에 들어보니 부모님이 학교에 기부를 왕창하셨었더라구요
그런거없어
24/06/07 13:08
수정 아이콘
투표한번 해보는거죠
김연아
24/06/07 13:08
수정 아이콘
교육적으로 좋은데요?

직접 투표 경험을 함
선거운동 경험을 함
공약은 공약일 뿐인 걸 깨우침
극초반에 지켜지는 공약도 있음
종종 금권(? )선거의 위력도 배울 수 있음...
24/06/07 13:10
수정 아이콘
최소 저희 아이의 경우 (초등학생)

1. 선거 포스터에 강력한 가이드라인 있음 (구입 불가, 학교에서 주는 가이드 라인대로 안하면 사용 못함)
2. 선거 운동 방식과 시간이 나름 디테일하게 정해져 있음
3. 공약의 경우 사전에 담당 선생님과 논의하여 학교에서 학기중에 실현 가능한 것만 낼수 있음.
4. 당선 후 공약을 지키기 위해 학생회 활동을 함 (각 반 반/부반장(이름은 다른 것 같고...) 들이 모여서 회의를 하면서 업무를 분담하여 진행)

뭐 이렇게 하더군요.
내년엔아마독수리
24/06/07 13:10
수정 아이콘
성적은 거의 최하위권이고 학급 내 역학적 위치도 중하위권이던 친구가 고3때 갑자기 반장을 하고 싶다고 나서서 애들이 몰표 줘서 반장 시켜준 기억이 있네요. 그때도 딱히 하는 일은 없고 심부름꾼 수준이었지만 본인이 행복해 보여서 좋긴 했습니다
안군시대
24/06/07 13:10
수정 아이콘
저 논리라면 국회의원이나 지방의원도 대체 왜 필요하냐는 얘기가 나올수 있죠.
어릴때부터 대의민주주의를 체험하게 해주는 것 만으로도 가치가 있다 봅니다.
김아무개
24/06/07 13:12
수정 아이콘
반장은 심부름 시켜야 하고 나름 하는거 많은데...!!
20060828
24/06/07 13:13
수정 아이콘
직책은 필요없다고 생각할 순 있으나 과정 자체가 민주주의 교육입니다. 
떡국떡
24/06/07 13:14
수정 아이콘
권한이 없으니까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학생회에게 예산 몇천만원이든 쥐어주고 학생이 뭐라도 하라고 하면 이렇제 않을거에요
예산이 있어야 뭐라도 하지 그게 아니면 고작 한다는게 스마일 캠페인이나 자원봉사하러다니기 밖에 없겠지요
누굴 반장 전교회장으로 뽑든 학생들이 느끼기에 학교가 달라지는게 하나도 없으니
선거로 누굴 뽑든 상관없구나 라는걸 학습시키는게 아닐까요. 진지하게 이렇게 생각합니다
카마인
24/06/07 13:16
수정 아이콘
직책을 없앨 게 아니라 직책에 맞는 권한을 더 줘야한다 가 맞겠군요 오홍
표팔이
24/06/07 13:18
수정 아이콘
호그와트에도 기숙사 반장이랑 전교회장 있는거 보면 딱히 특이한 풍습은 아닌것같습니다만...
Sensatez
24/06/07 22:06
수정 아이콘
걔넨 임명직이긴 해요
24/06/07 13:18
수정 아이콘
권한에서 권위가 나오는데 교사조차 권한이 없는 상황에서 학생회에 권한이 생길리 없죠.
수리검
24/06/07 13:19
수정 아이콘
본인이 잘 써먹으면 권한이야 많죠 ..

저 같은 경우 고교 1학년때 반장 겸 부회장이였는데
부반장이였던 애랑 이야기를 하다
각자 원하던 애랑 짝을 할 기회를 만들자! 로 의기투합하고 작전개시

우선 제가 학생회에 가서
현행 남녀를 분리해서 좌석을 배치하는 건 어쩌고저쩌고 하니 ..
블라블라

1학년 쫄짜가 영향력이 있는 것도 아니고
주임 선생님 성향도 좀 보수적이라 먹힐 리가 없지만
애초에 여기서 뭘 이룰 생각이 아니였으니 중요한 건 아니고

반에 돌아와서 학급 회의때
부반장이 학생회 회의에서 이런 안건이 있었다 하며 운을 떼면
제가 열심히 바람잡아가며 의견을 몰아가고 룰을 유리하게 정하고 ..

뭐 그밖에도 환경미화 아이디어 시찰 명목으로
야자시간에 외출도 하고
나간김에 공금으로 밥도 먹고 ..

쓰다보니 애들 이런거 시키면 안되겠네요
애들 못된 것만 배우겠어요
24/06/07 13: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엄연히 민주주의, 정치, 자치 같은 개념을 학생 때부터 경험하고 교육하는거죠.

근데 한국에서는 좀 극단적으로 단편화해서 이야기하면
민주주의란 다수결이고
정치란 니편내편 갈라놓고 선거 때 내편 뽑아서 이겨야하는 것이며
자치란 재건축 재개발 때 저 민주주의외 정치의 축소판이 이루어지는 것일 뿐이죠.
학생들 교육은 성적 올리는 것이 지상과제고, 그나마 공교육은 스펙증명수단에 사교육을 방해하지 않아야 하는 것이고요.
실제로는 단순히 그것들에 그칠 내용들이 아닌데도요.

초중고 학생회는 그냥 딱 현실대로 가는거죠.
그렇게커서 그 현실을 반복할 거고요.
닉네임바꿔야지
24/06/07 13:20
수정 아이콘
결국 감투라는 게 쓸 수 있는 돈이랑 부릴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되느냐 이건데...
오드폘
24/06/07 13:20
수정 아이콘
민주주의의 기본인 선거란 무엇인가에 대해 배우는거죠 뭐 크크
머리굵어지면 금권선거 하는거보면서 이게 정치구나 까지 배우면 완벽!
24/06/07 13:24
수정 아이콘
학생회장 공약이 교복폐지&두발자유화가 매번 나왔지만 단 한번도 실행 된적 없음...
꿈꾸는사나이
24/06/07 13:25
수정 아이콘
요즘 전교회장은 나름 많이 합니다
학교 규칙 제정에 발언권도 있고
24/06/07 13:26
수정 아이콘
저희학교는 특이하게 전교 회장은 선거로 뽑는 선출직이고 부회장은 학교 3대 공식부(방송부, 선도부, 도서부)회장 셋중에 한명이 겸임하는 임명직이어서 당시 도서부 회장을 맡고있었어서 가위바위보(...)에서 져서 학생회 부회장 했었는데요
우리 회장은 대입준비에 미쳐서 학회는 그다지 신경 안써서(그럴거면 왜 한건지) 업무가 저한테 다 몰렸는데 그런거치고는 바쁘지 않긴 했습니다. 선생님 지시하는거 따르거나(야자 감독 등) 서기랑 둘이 교내 순찰하면서 청소도구나 분필 같은 비치량 파악하고 예산 올리고 그정도? 가끔 행사있을때 현수막 제작 맡기고 검토하는정도? 그정도만 생각나네요
애초에 건의함도 맨날 텅텅 비어있고 밑에서 안건을 올려줘야할 각 반에서 안건도 아예 안올라옵니다 흐흐
애기찌와
24/06/07 13:31
수정 아이콘
와 춘추가 어떻게 되시는지 몰라도 정말 제대로된 학생회 활동을 하셨네요!! 멋지십니다.
고등학교 학생회장 2연임한(2학년, 3학년) 친구가 있었는데 여기저기 선생님들께 불려다니긴 했어도 뭔가 학생이 결정하고 뭔가 행동하는건 없었는데 뿌듯하셨겠어요!!
24/06/07 13:49
수정 아이콘
어... 00년대에 활동하긴 했는데 그냥 적당히 해야할 일 했다 정도로만 생각했습니다 임명직이라 그런가 공무원 느낌으로다가 흐흐흐
24/06/07 13:31
수정 아이콘
이건 학교에서도 하기 싫어합니다..특히 초등이런데서는 대체 왜 하는건지..이거 하나하나가 다 담당자 두고 업무예요.
근데 이게 교육청인가?선거관리위원회인가? 하여튼 그런데서 하게 만들었나?...
안하는 곳을 찾아볼 수가 없죠.
24/06/07 13:34
수정 아이콘
예전에도 별로 힘 없지 않았나??
24/06/07 13:34
수정 아이콘
그래도 보통 덕있고 행실 올바른애들이 되던데... 부잣집애가 돈써서 되는건 못봤음.
라이엇
24/06/07 13:35
수정 아이콘
없어져도 무방하죠. 졸업후 사회생활에 필요한 지식도 안가르키는 마당에.
24/06/07 13:36
수정 아이콘
권한은 없더라도 피선거권과 선거권을 체험한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는 필요하지 않나 싶네여
그냥적어봄
24/06/07 13:37
수정 아이콘
조그마한 의미라도 찾기엔 아무런..정말로 아무런 효능감을 느끼지 못하죠
이럴바엔 차라리 글로만 배우는게 나을 수 있을거 같아요 본문에 뿔난 사람들처럼 부작용을 걱정해야할 판이니까요
김유라
24/06/07 13:38
수정 아이콘
민주제의 핵심은 권력의 분리와 견제에서 출발한다고 보는데, 학교란 곳은 피라미드형 권력 구조에 가깝죠 크크
24/06/07 13:39
수정 아이콘
다행히 요즘은 학생자치 예산을 따로 빼놔서 학생회에서 의견 수렴해서 그 예산을 집행하고 있습니다. 물론 소소한 수준이긴 합니다만. 저 역시 민주사회 일원이 되기위한 연습 차원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한때잘나간직장인
24/06/07 13:43
수정 아이콘
부모님이 좋은 경험이라고 강제로 출마시켜서
전교생 앞에서 떨면서 연설문 읽고 반쯤 오줌 지리며 내려온 생애 최악 top 5에 들 만한 경험을 안겨주었지요

내가 싫다는데 왜 출마시키냐고...
집에 돈이 많은 것도 아니었잖아...
Karmotrine
24/06/07 13:44
수정 아이콘
애당초 선거제도에 대한 교육목적으로 만들었을 것 같은데...
24/06/07 13:45
수정 아이콘
저는 필요하다고봅니다.
초등학생때 반에서 회의한번 하고 반장들이랑 전교회장이 모여서 각반의 건의사항 취합해서 건의사항 들어줘서 몇십년 묵은 문제를 해결해준적 있습니다
24/06/07 13:46
수정 아이콘
아닌데요
요새 초등학교 학생회 활동 많이 합니다
라온하제
24/06/07 13:51
수정 아이콘
크크 요즘은 교복변경 교칙제정 자습실인테리어 등등하는거 엄청 많습니다
선플러
24/06/07 13:59
수정 아이콘
전교회장 출신입니다.
전교회장 출신이라는 말 한 마디는 할 수 있습니다. ;)
24/06/07 14:01
수정 아이콘
초딩때 고딩때 해봤는데 고딩은 확실히 권한이 생겨서 재밌었고 초등학교는 리얼소꿉놀이 정도는 됐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저것 잡일 많이했어요. 공약과 이행은 힘든 구조지만..
Mini Maggit
24/06/07 14:05
수정 아이콘
반장으로서 전교회장 강제전학 보냈는데 재밌었어요
재밌었으면 됐지
안군시대
24/06/07 14:24
수정 아이콘
탄핵 덜덜덜..
여명팔공팔
24/06/07 14:05
수정 아이콘
동네마다 다를수 있지만 요새 학생회/학운위는 일 많이 합니다.
살려야한다
24/06/07 14:05
수정 아이콘
세상이 얼마나 달라졌는지 모르고 라떼 이야기만 반복하는게 제일 큰 문제
이혜리
24/06/07 14:06
수정 아이콘
늘 삐딱하게 바라만 보면 이것만이 문제일까요?
뉴진스
24/06/07 14:10
수정 아이콘
물론 잘못된 경우도 있었고 문제가 있었긴 하지만 이런 글 쓴 사람들이 겪은 학교 생활은 현재 그렇지 않을 뿐더러 자신의 일부 경험으로 다 문제다 쓸모 없다 이러는 것이 참 웃기긴 하네요.
요즘 학교는 민주주의 경험을 시켜주기 위해 여러 방면에 회장단을 참여시키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학교 행사도 직접 맡아 해나가는 경우도 많구요. 좀 알고 뭐라고 하면 좋겠어요.
간옹손건미축
24/06/07 14:11
수정 아이콘
이 분 글은 더 이상 보기 싫어지네요
라방백
24/06/07 14:12
수정 아이콘
전형적인 해본적도 없이 뇌내망상으로 이럴거라고 헛소리들 하는건데 큰 관심 줄 필요가 있나 싶습니다
안군시대
24/06/07 14:25
수정 아이콘
뭐, 떡밥 던져주면 우리끼리 물고 뜯고 맛보고 즐기고 있으니...
맛난 고기 올라간 불판 펴줬다고 생각하죠. 크크크..
엑스밴드
24/06/07 14:14
수정 아이콘
뭐 지금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학교에 학생들 의견 전달하는 통로로 20년전에는 잘 쓰였습니다.
학생회장이 선생들한테 욕먹는 경우도 있지만 학교에서 공식적으로 답변 해준 경우도 많았습니다.
24/06/07 14:22
수정 아이콘
반장 역할이 차렷 선생님께 인사! 이거 하고 자습시간에 떠든 사람 적었던거 기억나네요. 
14년째도피중
24/06/07 14:25
수정 아이콘
댓글 모음이 최대 목적인데 무슨.
전 유머글도 아닌데 주제 던져놓고 소통할 생각 없는 사람은 비아냥을 감당해야한다 봅니다.

별개로 저희 지역은 학생회 애들 맨날 바쁩니다. 의외로 행사가 많아요. 요새 국비지원으로 여러 행사도 많은데 맨날 나가요. 자치위원회라고 나름 이것저것 하는데 교육적 목적은 분명 있다고 생각합니다.
Davi4ever
24/06/07 14:45
수정 아이콘
이 글을 보니 솔직히 어떤 게 유게에서 필요없는지는 알겠네요.
캐러거
24/06/07 15:05
수정 아이콘
역시 댓글이 많은데? 싶어서 작성자를 보면 참 한결같네요.
미드웨이
24/06/07 15:22
수정 아이콘
하는게 없으니까 없앨게아니라 하는게 없으니까 권한을 주는 방향으로 가야죠
24/06/07 17:10
수정 아이콘
제 기억엔 잘사는 집안보다는 인싸거나 모범생으로 유명한 애들이 했던거 같은데
24/06/07 17:45
수정 아이콘
이분 한동안 안보이더니 다시 또 활동하시나 보네요
유게에 뭐 이렇게 자꾸 갈등 유도글만 올려대는건지 참
24/06/07 18:44
수정 아이콘
정확히 알지도 못하지만, 자기 맘에 안들면 그냥 없애고 싶어하는 걸 수도...
승리하라
24/06/07 20:25
수정 아이콘
라떼타령 좀 그만했으면 하네요. 학생회 하는 일 많고 아이들 교육도 되고 지금 저런 사진같은 1~20년 전 방식의 선거운동도 못합니다. 뭘 좀 알면서 떠들어야지

그리고 선거에서 이겼다고 먹을거 사면 그 즉시 자격박탈입니다.
ArchiSHIN35
24/06/07 20:53
수정 아이콘
그럼 되보시던가. 애들 하고 싶어서 난린데
24/06/08 14:12
수정 아이콘
저희 학교는 자치법정이란 걸 세워서 학생회 자치법정 임원단(학급회장 부회장)이 삼권분립처럼 운용되곤 합니다. 학생회가 행정부역할을 하며 실제 학교축제나 체육대회등 여러행사에서 동원되고 고생하곤 합니다. 요새는 학생부종합전형이 주요 대입전형이고 최상위권에선 오히려 이런 공동체역량이 중요하다보니 활동을 알차게 하는게 중요합니다 그런점에서 학생회 학생들은 확실히 이런점에서 할말도많고 경험도 풍부하죠 교사가 아이들을 어떻게 대하고 주체성을 얼마나 심어주냐에 따라 분명 유효한 조직체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1218 [게임] 인기 그칠줄 모르는 포케로그 [13] 아드리아나4315 24/06/09 4315
501217 [기타] 외국인 2명이 한국어로 경주문화재 홍보하는 영상.mp4 [12] 아서스5383 24/06/09 5383
501215 [게임] 하데스 2 스샷 [11] 데갠3657 24/06/09 3657
501214 [방송] 양육비 반환 계약서의 법적효력에 대해 알아보자 [7] 무딜링호흡머신4418 24/06/09 4418
501213 [기타] 5년째 회계사 준비하고 있는 아들 [72] 서귀포스포츠클럽10059 24/06/09 10059
501212 [유머] (19금)예쁜 일본 누나가 알려주는 성인용 단어.jpg [27] 궤변8655 24/06/09 8655
501211 [기타] 프랑스 입국심사 근황 [15] 서귀포스포츠클럽6583 24/06/09 6583
501210 [유머] 대북 확성기 위력 확인 [16] Myoi Mina 6527 24/06/09 6527
501209 [유머] (스압)미국 대통령 조 바이든에 대한 재밌는 사실.jpg [13] Alcest4875 24/06/09 4875
501208 [유머] 어느 평화로운 아침 일본의 상점가에 나타난 것은 [8] 김삼관5191 24/06/09 5191
501207 [기타] 서울/대원 만화책 할인 [3] 고쿠2969 24/06/09 2969
501206 [음식] 볶음밥 만드는 영상 [13] Croove5245 24/06/09 5245
501205 [유머] GS25 점보 라면 신제품.jpg [14] VictoryFood7381 24/06/09 7381
501204 [유머] 논란의 커스텀 한복 [20] 길갈7883 24/06/09 7883
501203 [유머] 프랑스에 진출한 PGR인들 [10] 남행자5733 24/06/09 5733
501202 [기타] 지금 농심에서 하고 있는 이벤트... [23] 우주전쟁7394 24/06/09 7394
501201 [기타] 독일 기자가 우려하는 온라인 린치 문화.jpg [62] 北海道11413 24/06/09 11413
501200 [기타] 오늘의 알고리즘 팝송 [3] 문문문무4587 24/06/09 4587
501198 [유머] 중국집 볶음밥 찐 스펙.jpg [67] 김치찌개12277 24/06/09 12277
501197 [유머] 국밥집에서 빡치는 순간 8가지.jpg [37] 김치찌개8410 24/06/09 8410
501196 [유머] 운전자 97%가 틀리는 사거리 우회전 문제.jpg [55] 김치찌개7975 24/06/09 7975
501195 [유머] 아파트 이름 1위 기록 갱신함.jpg [32] 김치찌개9121 24/06/09 9121
501194 [유머] [세대별 반응] 9시 출근이면 몇시까지 출근해야 할까?.jpg [60] 김치찌개5856 24/06/09 585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