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12/25 15:32:12
Name 궤변
File #1 IMG_0574.jpeg (1.71 MB), Download : 39
출처 애객
Subject [유머] 쓰레기 분리수거의 진실.jpg


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Your Star
23/12/25 15:36
수정 아이콘
막상 시민들이 분리수거를 해도 저렇게 뭉쳐서 다시 또 분리하면 애초에 일상에서 분리수거를 하는 이유가?
쓰레기 분리 이거 진짜 좀 아 이거 실효성이 있나 궁금하긴 해요.
23/12/25 15:39
수정 아이콘
이게 지역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지방 끝단으로 갈 수 록 예산,인력이 부족하니 어쩔수가 없는거죠
그리고 경험상 일반쓰레기로 봉투에 묶어담는것보다
사전에 분류해두는게 수거시 섞일지라도 분류가 용이합니다.
설탕가루인형형
23/12/25 15:41
수정 아이콘
분리수거를 해도 기준미달이 많아서 어차피 선별이 필요하긴 합니다
닉넴길이제한8자
23/12/25 15:45
수정 아이콘
전에 수거하는거 봤을때

일반쓰레기랑 같이 가져가진 않던데....
한국화약주식회사
23/12/25 15:45
수정 아이콘
시 도마다 수거업체가 다르다 보니까...
진순스프70퍼
23/12/25 15:46
수정 아이콘
제가 관련업계에 계신 분에게 듣기론 분리수거 거의 의미없다고 들었는데(종이 유리 등 제외)
제가 들은 게 틀렸길 기대해봅니다...
23/12/25 15:51
수정 아이콘
수율이 높고 재활용 가치가 높은 품목
- 금속, 유리, 종이 등
또는 소각시 문제가 되는 것들
- 플라스틱, 비닐 등

사실상 재활용 가능하며 소각시설에 부담을
주는 물질들을 걸러내기 위한 일입니다.
승승장구
23/12/25 16:03
수정 아이콘
차라리 이렇게 소각할거 아닌거 심플하게 배출 유도하는게 훨씬 현실적일거 같은데
뭔가 대외적인 이유가 있는거겠죠?
23/12/25 16:21
수정 아이콘
사실 매우 단순하게 분류한거라
반드시 저렇게 된다곤 할 수 없습니다.
소각시 문제가 되는 것들도 결국 전처리,후처리 해서
대부분 소각하는 경우도 많구요

개인적으로 이상적인 방향이라면
도시광산업 같이 폐기물에서 자원을 회수하는 등
폐기물 분류로 이득을 업는 업체들이 많아져서
소비자 입장에서는 분류없이 버리고
중간업체들이 분류를 맡는건데
아직 기술,경제적 면에서 많이 부족한 것 같습니다.
돼지붕붕이
23/12/25 16:03
수정 아이콘
마구잡이로 처리하는곳은 고형연료 만드는 업체일겁니다.

처리과정에서 유리,금속은 걸러지고 비닐,플라스닉을 분쇄해서 시멘트공장이나 아스콘공장등에서 쓰이는 연료로 사용하죠.
23/12/25 16:35
수정 아이콘
일단 지역별 쓰레기는 주인이 다 따로 있습니다.
따라서 저 지역에서는 다 섞는다고 해서 다른 지역도 다 섞는다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그리고 예전에 이런 부분에 대해서 연구를 잠깐 발담궜었는데, 열분해를 할 때 섞여 들어가면 제일 문제가 되는게 페트병이었습니다.
그래서 요새 페트병은 또 따로 분리하는게 그런 트렌드라고 보고 있구요.
아쉽게도 플라스틱은 저정도 분리수거 수준에서는 아직 잘 안됩니다. 저기서 PE와 PP 까지는 분리되어야 재활용이 매우 잘될 수 있어요. 다만 위에서 얘기했던 것처럼 재활용은 규모의 경제가 필요한데 중소업체들이 많아서 기술 적용이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23/12/25 16:40
수정 아이콘
저런건 케바케가 좀 있다고 하긴 하더군요. 여튼 도움이 아예 안 될거라고까진 생각안하는데, 그게 얼마나 효용이 있을지는 참.
정책은 최대한 심플하게, 그리고 일관적으로 가야하는건데 쓰레기 분리수거는 둘다 해당 안되는것 같습니다.
하다못해 행정력써서 쥐잡듯이 단속하는 의지를 보이는것도 아니고, 국민한테 법령하나 던져놓고 내팽겨쳐두는거나 다름없는데
왜 그걸 짜증짜증내면서 열심히 따라야할지 모르겠네요. 걍 스트레스 안 받는 수준에서만 분리하고 내놓고 말지.
No.99 AaronJudge
23/12/25 19:26
수정 아이콘
양심 안 찔리는 수준에서만 하기로 했습니다 ㅜ
infinitefrontier
23/12/25 16:54
수정 아이콘
국민들 시간 빼앗기만 하고 이게 대체 뭔지...
옥동이
23/12/25 17:01
수정 아이콘
종량제 가격도 빠지네...
벌점받는사람바보
23/12/25 17:11
수정 아이콘
저희지역은 다 다른곳에서 가져가던대
안군시대
23/12/25 17:13
수정 아이콘
수거업체별로 다른거죠. 관리감독 등을 강화해야..
덴드로븀
23/12/25 18:55
수정 아이콘
결론 : 그래도 분리수거는 해야한다. 쓰레기 세금 더 내기 싫으면...
Jedi Woon
23/12/25 21:41
수정 아이콘
예전에 그앓실에서도 관련 에피소드가 나왔죠.
쓰레기나 분리수거 문제는 사람들 눈에서 멀어지면 잊혀지고, 중국의 쓰레기 수입 중단일 때 확 드러나죠.
앙겔루스 노부스
23/12/26 21:52
수정 아이콘
본문 자료 방송된지 꽤 지난건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2851 [방송] 대상에 공동이 어딨어 시청자가 바보야? [3] VictoryFood16202 23/12/30 16202
492850 [기타] 2024년 청룡의 해를 맞은 배라, GS25 근황 [7] 고쿠15304 23/12/30 15304
492849 [연예인] 연령별 일본여성들이 뽑은 워너비 얼굴 [16] 묻고 더블로 가!15793 23/12/30 15793
492848 [방송] 지구용사 벡터맨 야율베어 [8] 빛나는구름12549 23/12/30 12549
492847 [기타] 2023 대기업 인사팀 기준 대학 등급 점수표.jpg [38] Capernaum20210 23/12/30 20210
492846 [서브컬쳐] 인간과 AI버튜버의 트롤리 딜레마에 대한 토론 [6] 물맛이좋아요11787 23/12/30 11787
492845 [연예인] 2023 MBC 연애대상 수상자의 디시 마지막 글 [6] 주말15422 23/12/30 15422
492843 [유머] 아프리카 TV 공부방송 역대급미드.. [9] 주말18054 23/12/29 18054
492842 [기타] 훌쩍훌쩍 군 부사관 근황.jpg [78] 아서스21429 23/12/29 21429
492841 [유머] 미국의 징역형에 대해 알아보자 [2] 인간흑인대머리남캐15322 23/12/29 15322
492840 [연예인] 21살 박효신이 윤도현 노래를 뺏는 법.MP4 [2] 실제상황입니다9719 23/12/29 9719
492839 [유머] 온라인 일뽕 대처법 업데이트 [7] 짱구13168 23/12/29 13168
492838 [방송] 스카이캐슬 이후 키 35CM 컸다는 배우.JPG insane12577 23/12/29 12577
492837 [LOL] 페이커 10주년 영상을 본 쿠로 선수 반응.insta [9] 박민하12248 23/12/29 12248
492836 [기타] 공무원 봉급 근황 [37] 닉넴길이제한8자17197 23/12/29 17197
492835 [기타] 옛날 기계 화면과 전화망가지면 나는 소리 [13] 닉넴길이제한8자14249 23/12/29 14249
492834 [유머] 나이먹은거 체감하기 [17] 주말13308 23/12/29 13308
492833 [기타] 인서울 의대로 가기 위해 포기한 것... [38] 우주전쟁16062 23/12/29 16062
492832 [기타] PGR 회원님들의 필독서 [12] 물맛이좋아요11267 23/12/29 11267
492831 [텍스트] 근무 3일차인데 무단퇴사했어 [44] 주말14935 23/12/29 14935
492829 [연예인] 요즘 심각하다는 아이돌 대우 수준.jpg [17] Starlord16969 23/12/29 16969
492828 [기타] 2023년 마지막 불금... 퇴근 시간이 지났습니다. [28] 닭강정14414 23/12/29 14414
492827 [기타] 최근 미국 대선 여론조사 50개주 버전 [83] 아롱이다롱이15550 23/12/29 1555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