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7/09 18:32:01
Name 만찐두빵
출처 http://www.gameple.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6417
Subject [유머] [시선 3.0] 중국 게임은 과대평가되고 있다
http://www.gameple.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6417

간단하게 요약하면 호요버스를 제외하고 보면 전반적으로 중국 게임들이 부진하고 있다라는 논지의 기사입니다.

그리고 중국게임이 불공정무역으로 굉장히 이득을 보고 있다 이런 이야기도 있고요.

개인적으론 너무 서브컬쳐 위주로만 시장을 분석한게 아닌가 싶네요.

배그 모바일, 왕자영요 등등 다른 장르의 중국 모바일 게임들 잘나가는거 많은데.. 디아 이모탈도 사실상 중국게임이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이군
23/07/09 18:37
수정 아이콘
아예 틀린 말은 아니라고 보지만...(워낙 호요버스가 잘나감)

문제가 한국과는 그래도 넘사벽이라는거....
문문문무
23/07/09 18:38
수정 아이콘
그야 당연히 중국쪽 게임인재들은 죄다 호요버스를 1지망으로 가고있으니까...
붕삼 붕타 원신 삼대장 세계 그누구도 못따라잡고있는게 현실인데
문문문무
23/07/09 18: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근데 그건있어요 얘네 기본적으로 스토리랑 연출(액션제외)이 확실히 싱겁긴합니다.
막 못만든다 수준은 절대 아닌데 뭔가 맛이없어요 비주얼자체는 진짜 씹덕원탑인데
그걸로 과몰입포인트를 만들어내는 기술이 좀 약해요

결국 한국 씹덕겜 선봉장인 니케,블아가 화려한 3D그래픽없이도 그렇게 잘나갈수 있었던것도
경우에따라서는 일본쪽 유명각본가 섭외해가면서까지 연출을 신경쓴게 크죠
만찐두빵
23/07/09 18:49
수정 아이콘
확실히 중국게임들 스토리가 구리긴합니다. 전반적으로 자기들만 아는 소리하면서 세계관 줄줄 늘어놓는데 (이건 붕타도 그렇더군요) 방지턱 제대로임
문문문무
23/07/09 19:03
수정 아이콘
22222222
사실 막상 각잡고 읽어보면 세계관 자체는 방대하게 잘 만들었는데
이걸 친화적으로 유저가 관심을 가지게끔 만드는걸 못해요
그전까진 배워가는입장이니까~ 이생각했었는데 아닙니다 아직까지도 이정도면
확실히 그쪽역량이 부족한것같아요 그 틈새를 일본은 기존 IP로, 한국은 좋은 연출로 잘 파고들었습니다.
EurobeatMIX
23/07/09 19:28
수정 아이콘
나라 특징 같기도 합니다 양국 사극만 비교해봐도 비유랑 말돌리기를 얼마나 꼬는지가 달라서
23/07/09 23:17
수정 아이콘
하지만 한국게임은 스토리가 없는걸요...
사바나
23/07/10 11:15
수정 아이콘
??? : 과금이 곧 스토리입니다
23/07/10 16:42
수정 아이콘
크크크.. 세븐나이츠, 제2의나라 아르케랜드 등등 진짜 스토리 보고 쌍욕할 맘도 안생기는... 이딴게.. 스토리?
물론 가테, 니케, 블아 같은 잘만든 겜도 있지만 진짜 출시되는 겜중에 극 일부...
류지나
23/07/09 19:05
수정 아이콘
호요버스 게임 중에서는 붕3를 그런 면에서 제일 고평가합니다. 아예 자체 단편 애니까지 제작할 정도라.
23/07/09 19:33
수정 아이콘
붕3 낙원 파트는 진짜 안해본 사람은 모르죠...ㅠㅠ
No.99 AaronJudge
23/07/09 19:33
수정 아이콘
블아가 캐릭터성 진짜 대박이에요
티타임
23/07/09 19:48
수정 아이콘
성공작으로 언급되는 니케,블아 중 니케는 안해봐서 모르겠는데 블아는 정말 감탄했습니다.

한국에서 이정도 캐릭터성의 씹덕겜이 나올줄이야. 캐릭터디자인은 딱히 제 취향은 아닌데 캐릭터의 내면과 그걸 표현하는 컨텐츠가 대박이더군요.
RapidSilver
23/07/09 18:39
수정 아이콘
사실 배그모바일과 왕자영요도 중국게임의 승리(?)라고 봐야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크크
돈 벌어들인걸로만 보면 승리는 맞지만 알맹이가...
아케이드
23/07/09 18:41
수정 아이콘
호요버스 빼면 별거 없는건 맞는데 그 호요버스가 나머지 전 세계를 상대로 맞장 뜰 정도로 강해서;;;
라멜로
23/07/09 18:41
수정 아이콘
중국 게임계도 20년도 즈음 해서부터 탄압을 많이 받은 걸로 아는데
그게 단순히 야한 일러스트나 해골을 못 내게 하는 것만은 아니였겠죠
23/07/09 18:42
수정 아이콘
폴란드 게임, CDPR빼면 별거 없어
23/07/09 18:43
수정 아이콘
한국은 리니지라이크만 만들고 있으니.... 게이머들이 바보도 아니고 누구보다 잘알죠.
서브컬쳐로 나온 것들은 게임성은 나름 괜찮지만 bm이 죄다 엉망이구요.
그나마 니케나 몰루는 인정이지만 나머지는 사실 과금할 이유가 별로없는 1년짜리 게임들이라 그렇습니다.
시린비
23/07/09 18:43
수정 아이콘
한국게임, 몰랑..
여튼 뭐 중국 판호 어쩌구 짜증나는 건 사실이죠... 공정하게 하자..
23/07/09 18:44
수정 아이콘
루리웹에선 반반으로 나뉘어서 키배 엄청나던데
전체 다 읽어보면 글로벌 시장 기준에서는 최근 추세 정확하게 바라본 분석이라고 생각합니다.

서브컬처 위주인 이유는 그밖의 영역에선 아예 중국 게임을 논할 건덕지도 없어서 그럴걸요. 그런데 그 서브컬처조차도 저번에 올라온 센서타워 자료 보면 중국 신작들 성적 글로벌에서 줄줄이 안좋습니다. 농담 아니고 진짜 기사내용대로 림버스 컴퍼니 선에서 정리되고 있어요.
말씀하신 배그 모바일은 애초에 한국 IP고 크래프톤이 텐센트랑 돈 나눠먹고 있고
왕자영요도 세계 진출하려고 요 몇년동안 텐센트가 돈 거하게 퍼부었는데 글로벌은 거하게 망했습니다.
아이스베어
23/07/09 18:44
수정 아이콘
애초에 중국에 자체 서비스가 불가하니까... 배그든 디아든 중국쪽 회사에 제작 시키고 퍼블리싱도 맡기는 거죠.
중국 시장은 어마어마하게 큰데 거기서 저작권 싸움이라도 하려면 중국 회사랑 협업해야하고요.
중국이 다른 국가들 모바일 시장처럼 공정하게 판호를 똑같이 내줬다면 아예 달라졌을 거라고 봅니다.
23/07/09 18:51
수정 아이콘
아 이것도 엄청 크죠. 배그 디아가 중국 모바일 기술력이 막 엄청 뛰어나서 거기서 만들고 대박낸게 아니란 거.
해외 개발게임은 아예 중국 장사를 못하게 막다 보니 어쩔수 없이 개발 맡기고 지원하는 방식으로 한 거라...
만찐두빵
23/07/09 18:55
수정 아이콘
확실히 판호발급 안해주는게 영향이 크긴 하네요
海納百川
23/07/09 18:44
수정 아이콘
엘지엔솔 중국시장 제외 글로벌 점유율 1위 이런 기사와 비슷한거라고 봐야 하나.....
왕립해군
23/07/09 18:47
수정 아이콘
이건 기준에 따라 다르죠. 한탕 해먹고 도망가는 기준으론 잘하고 있죠
여덟글자뭘로하지
23/07/09 18:49
수정 아이콘
지금 잘 나가는 중국 게임들은 젤다라던가 페르소나라던가, 원작이 뭔가 뚜렷하게 있는 걸 잘 모바일화 시킨 케이스라고 보여지긴 하죠.
왕자영요도 결국 롤의 모바일화고 ( 회사를 산 것 과는 별개로 ), 배그모바일도 배그고, 디아는 디아죠.

좋은 아이피를 활용해서 모바일 게임화를 잘 시킨다 라면 맞는거 같은데 중국 게임이라고 하면 기적의 검 같은게 먼저 떠올라서.. 그리고 판호로 제약 걸고 그 동안 성장한것도 사실이긴 하고요.

마냥 온라인 여론처럼 한국 게임은 똥이고 중국 게임은 신이다 하긴 애매한 부분들이 있죠.
23/07/09 18:51
수정 아이콘
호요버스 넘사벽 이야기가 많지만 그래서 호요버스 빼면? 아니면 패키지 게임 비롯한 다른 시장은? 이라고 물었을 때 애매하긴 합니다.
물론 현 평가와 별개로 미래 전망이나 성장세는 더 올라갈 거라고 보긴 하지만, 현재의 기형적인 시장 형태가 언제까지 유지될지, 그리고 그런 형태가 과연 마냥 성장에 도움이 될지도 좀 의문이긴 하죠.
티타임
23/07/09 18:52
수정 아이콘
예로 드신 배그,디아,왕자영요 모두 서양이나 한국 게임을 사실상 모바일포팅한버전에 불과하잖아요. 돈이야 잘 벌겠지만 이걸 중국게임의 승리라 부르기는 애매하죠. 원신은 야숨 베낀건 맞지만 게임성은 분명히 많은 부분에서 다른데 앞의 배/디/왕 3형제는 게임성도 원본과 크게 다를게 없죠.
만찐두빵
23/07/09 18:56
수정 아이콘
매출 = 게임성이 아니니 확실히 저 게임들을 승리라고 보기 어렵긴 하겠네요. 전반적으로 중국 외에서 엄청 흥하고 있다고 보기도 어렵기도 하고요
23/07/09 18:54
수정 아이콘
호요버스를 왜 제외하고 보나요? 그건 중국겜이 아닌가?
티타임
23/07/09 18:59
수정 아이콘
현재 호요버스를 제외해도 중국겜이 한국겜을 압도적으로 앞선다라는 여론이 많아요. 그걸 반박하는 기사라고 보시면 됩니다. 약간 뒤로 갈수록 기사가 국뽕 느낌이 세지긴 하는데 앞부분은 맞는 말이라고 봅니다.
아따따뚜르겐
23/07/09 18:57
수정 아이콘
국뽕 기사 느낌이 강한듯, 최근에 블아 니케가 글로벌에 서브컬쳐로 먹히는 상황인데, 이거 좀 앞섰다고 우리나라 잘한다 이런 느낌.
류지나
23/07/09 19:01
수정 아이콘
호요버스를 빼면... 이 걸리긴 하지만 전체적인 논조에는 공감합니다.
시린비
23/07/09 19:02
수정 아이콘
중국 입장에선 내가 약하다고 니가 강해진건 아니다 한국...! 이라고 할수도 있으려나
여튼 게임판호도 그렇고 영화쪽도 그렇고 중국의 보호가 강력한건 사실같으니 좀 어떻게 안된다 싶기는 해요
23/07/09 19:15
수정 아이콘
왕자영요는 중국의 체급을 보여주는거지
게임으로는 그닥이라 생각합니다 크크
23/07/09 19:22
수정 아이콘
젤 잘나가는 회사 빼고 보면 괜찮습니다가 위안이 되나?
삼성 무선 사업부가 애플 빼면 1등이에요 우리 짱임 하는서랑 다를바가 없는데...
또 웃기는건 그 1등 회사 빼도 1등이라고 장담을 몬함..
메가트롤
23/07/09 19:30
수정 아이콘
한국 게임은 그냥 별 거 없다
블래스트 도저
23/07/09 19:32
수정 아이콘
요즘은 쏙 들어간 이야기긴 하지만 한때 일본게임도 닌텐도 빼면 별거 없다고 한 적이 있죠
No.99 AaronJudge
23/07/09 19:35
수정 아이콘
한국게임계도 좋은 게임 많이 내주면 좋겠네요

블루아카이브는 한국어성우 내주면..안될까요? ㅜㅜ
ioi(아이오아이)
23/07/09 19:37
수정 아이콘
중국 게임 시장이 무지막지하게 크고, 그 시장이 정부 주도적 갈라파고스인건 괘씸한 게 맞는데

호요버스 빼고 한국 게임이 중국 게임보다 나은게 맞나요?
샤르미에티미
23/07/09 19:41
수정 아이콘
중국 게임 과대 평가하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하는데 한국 도박 게임 수준 보면 이게 낫다고 해봐야 의미가 있나... 하는 생각도 들고 어쨌든 공정한 판은 아니긴 하죠.
23/07/09 19:42
수정 아이콘
판호발급 안되니까 자기네 시장 개척할 시간 벌었고..그런 결과물이 저거라고 봅니다. 그냥 떡 하니 나오지 않죠.
No.99 AaronJudge
23/07/09 19:44
수정 아이콘
근데 보호무역은 다들 초창기엔 다 하긴 하기도 하고…크크크 물론 중국은 wto 가입이후에도 그랬다는게 차이긴 하지만요
태정태세비욘세
23/07/09 19:43
수정 아이콘
한국 게임 시장은 완전 끝난 느낌이라...
아 리니지라이크는 게임이라고 하긴 어렵고
다레니안
23/07/09 19:44
수정 아이콘
근데 사실 호요버스가 미친거 아닐까요.
어떻게 모바일게임이 업데이트 주기를 한번도 어기지 않고 딱딱 지킬 수가 있지...
미리 다 만들어두고 천천히 공개하는건가;;;
초현실
23/07/09 19:47
수정 아이콘
한국도 리니지 빼면 중국게임과 비교해도 과금 그렇게 안심하지 않나요
류지나
23/07/09 19:50
수정 아이콘
이제 과금 구조는 얼추 '정석 모델'이라는 게 생긴듯해서 비슷비슷한데 (브더2가 초반 입소문 안 좋게 난게 이 부분에서 잘못 측정했다가...) 이제는 게임 내적인 퀄리티로 승부해야 되는 세상이죠.
티타임
23/07/09 19:51
수정 아이콘
그래서 리니지만 있을때는 괜찮았는데 요즘은 리니지라이크라는 장르가 생길정도로 리니지가 증식해서 더이상 그렇게 말할수가 없죠.
23/07/09 19: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중국게임이 잘 나가는건 상관 없는데 좀 중뽕인지 뭔지 몰라도 중국 모바일 게임 놔두고 일본,한국 모바일 게임 한다고 개돼지호구 취급은 안 했으면 좋겠어요. 그런식이면 패키지 게임 유저 입장에서 보면 원신 같은 미호요 가챠 게임 하는 거도 호구임
No.99 AaronJudge
23/07/09 21:46
수정 아이콘
뭐 사실 그렇게 하면 한도끝도없죠…
고세구
23/07/09 19:56
수정 아이콘
기사가 중간까진 논조가 되게 침착했는데 그라데이션도아니고 갑자기 흥분한 느낌
우리는 하나의 빛
23/07/09 19:57
수정 아이콘
중국 게임이 과대평가받고있다고 해서 한국 게임이 과소평가받고있는 건 아닐텐데..?
소와소나무
23/07/09 20:00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결과도 결과지만 게임사들이 뭘 만들고 있냐도 중요하다고 보는데 블아나 니케 이후로 꽤 괜찮은 분위기로 가는 추세이지 않나? 싶긴 합니다. 예전에는 한국에서는 리니지나 만들겠지 싶었는데 요즘은 리니지도 만들고 저런것도 만드네? 싶거든요. 때깔도 곱게 나오는 편이고.
BlueTypoon
23/07/09 20:06
수정 아이콘
핀트 맞추기가 묘해서 그렇지 맞는 내용 같습니다.
20년도 전후로 쏟아지던 중국 게임은 한국 게임시장 위기론을 띄웠지만 그 후로 지금까지는 그때에 비해서 그렇게 중국 개발력이 대단한가 하면 여러 게임 보는 게이머면 거의 체감하긴 할 듯 싶어요. 지금와서 20년도 당시 중국 평가가 지금보니 그정도는 아니었다 라는건데 타워오브 판타지 등 쏟아지던 때 댓글들 떠올려보면 이젠 그 당시의 위협은 안느껴지죠. 제목이 어그로를 잘 끈듯...
MissNothing
23/07/09 20:20
수정 아이콘
호요버스가 모바일게임 기대치를 많이 올려치긴 했죠.
이정재
23/07/09 20:24
수정 아이콘
미호요는 오타쿠게임이 제일 가면 안되는길을 가는중이라...
사람되고싶다
23/07/09 20:43
수정 아이콘
근데 반대로 한국 게임이 그만큼 퀄리티가 높다고 볼 수 있나요? 특히 모바일로 들어가면 좀 안좋은 의미로 중국이랑 비슷해진 거 같은데.
여덟글자뭘로하지
23/07/10 12:16
수정 아이콘
퀄리티가 좋은 게임도 있고 아닌 게임도 있죠. 중국도 호요버스처럼 퀄리티가 좋은 것도 있고 아닌것도 있고요.
게임회사들이 국영기업이 아닐진대, 어찌 한국게임, 중국게임으로 딱 나눠서 볼 수 있겠습니까. 데이브 더 다이버도 한국게임이고 리니지도 한국게임이고, 요즘 꽤 잘 나가는 림버스 컴퍼니도 한국게임 이니까요.
23/07/09 20:47
수정 아이콘
모바일 시장 다 잡아먹을 줄 알았는데 니케,블루아카가 생각보다도 더 흥행하면서 체면치레는 한 느낌입니다.
23/07/09 21:39
수정 아이콘
불공정게임 안하고 중국이 판호 안 내주면 우리도 수입 안해야죠.
닉네임바꿔야지
23/07/09 21:57
수정 아이콘
듣고 보니 결국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중국겜은 몇개 없기도 하네요.
다람쥐룰루
23/07/09 22:41
수정 아이콘
중국에 최상위 개발인력이 호요버스한테 많이 빨려서 중국게임중에 한동안 고퀄게임이 잘 안나오더라구요 특히 3d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5387 [유머] 배그 대회에서 박격포에 전멸한 중국 [20] Myoi Mina 10808 23/08/21 10808
485315 [유머] 공포 그 자체인 중국 PC방 [7] Myoi Mina 10517 23/08/20 10517
485163 [유머] 뼛속 깊이 새겨진 한국인의 음주 DNA [15] 우주전쟁11410 23/08/18 11410
485142 [유머] 중국에서 새로 생겼다는 직업 [7] Avicii9575 23/08/17 9575
485129 [유머] 중국이 부동산 사태를 해결하는 방법 [20] 맥스훼인10512 23/08/17 10512
485111 [유머] 중국 당국이 주식하락에 대처하는 방법 [22] 맥스훼인12185 23/08/17 12185
485105 [유머] 기업명을 바꿀 수 밖에 없었던 회사 [21] Myoi Mina 11479 23/08/17 11479
485043 [유머] 중국집 신뢰도 lv.999 [31] roqur10775 23/08/16 10775
484443 [유머] 하나의 중국을 지지하는 한국 방송사 [9] 된장까스10467 23/08/07 10467
483645 [유머] 고대부터 전해져오는 중국요리의 효능 [12] 된장까스9833 23/07/27 9833
483523 [유머] 6.25 전사자 유해 인도 거부하는 중국 [63] 짱구12401 23/07/25 12401
483382 [유머] 챗GPT로 7분만에 게임개발 했다며 회사차린 어느 외국대학교 [21] 보리야밥먹자11270 23/07/22 11270
483373 [유머] 가성비 프랑스 여행 [45] 된장까스11849 23/07/22 11849
482617 [유머] [시선 3.0] 중국 게임은 과대평가되고 있다 [62] 만찐두빵10791 23/07/09 10791
482535 [유머] 논문 초록 어떻게 써야할지 모르겠으면 훈민정음을 참고하라.jpg [17] VictoryFood10861 23/07/08 10861
482170 [유머] 의외로 현실성 넘치는 권법 영화 [14] roqur8889 23/07/03 8889
481989 [유머] 중국에 판다 다큐 찍으러 간 한국 PD들 [18] 닭강정9327 23/06/30 9327
481664 [유머] 인기투표를 장난으로 한 유저들의 최후.JPG [25] Myoi Mina 14744 23/06/25 14744
480582 [유머] 중국이 국뽕 한 사발 들이키고 국뽕으로 만든 영화 작품 [16] 길갈11407 23/06/05 11407
480551 [유머] (슈카월드) 씁쓸하게 하나가 된 동북아시아 [39] 김유라14870 23/06/04 14870
480006 [유머] 중국의 와이프 운전연수 영상 [10] Croove13064 23/05/25 13064
479992 [유머] 중국 다녀온 뒤로 시진핑 뽕 맞은거 같은 마크롱 [47] Myoi Mina 14083 23/05/25 14083
479686 [유머] 중국 스파이 음식점 사실이었네요 [24] 떡국떡13547 23/05/20 1354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