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6/19 13:38:02
Name Leeka
File #1 스크린샷_2023_06_19_오후_1.34.42.png (212.5 KB), Download : 81
File #2 스크린샷_2023_06_19_오후_1.34.50.png (203.7 KB), Download : 72
출처 딤토
Subject [기타] 2023년 기준 법적으로 대기업에 해당되는 48개 기업






- 재계서열이 지정되는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이 법적인 대기업으로.  공기업을 제외하고 매년 선정
- 2023년 기준 총 48개의 기업이 선정되며.  여기 순서가 공식적인 재계서열로 적용됨


여기 들어가면 '규제가 엄청 빡빡하기 때문에'  보통은 안들어가기 위해 안간힘을 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6/19 13:40
수정 아이콘
Sk 카카오 계열사 보소..
의문의남자
23/06/19 13:42
수정 아이콘
DB 는 반도체가 어마어마하게 떠서 좀 더오를꺼같은데
23/06/19 20:10
수정 아이콘
하이텍이 암만 벌어봐야 자산기준으로 천몇억 업하는 수준입니다.
DB그룹은 금융계열사 위주로 DB손보 하나가 한 해 당기순이익으로 증가시키는 자산만 몇천억
23/06/19 13:44
수정 아이콘
5대 대기업하면 롯데가 들어갔던걸로 기억하는데 하락세인가 보군요.
글로벌비즈니스센
23/06/19 14:02
수정 아이콘
유통은 이미 성숙산업이고 추가 동력 발굴도 지지부진하죠. 케미칼 같은 계열사도 있긴하지만 그것도 다른 대기업 계열사들이 소재나 배터리 같은 부문에서 기회를 잡은거에 비하면 더디고요.
OneCircleEast
23/06/19 13:47
수정 아이콘
스마일게이트가 없네요
박민하
23/06/19 14:25
수정 아이콘
비상장이기도 하고 ... 규모 자체도 중견급이지 않을까 하네요
23/06/19 15:04
수정 아이콘
스마일캐피탈인줄…
23/06/19 15:17
수정 아이콘
궁금해져서 찾아봤는데 21년 기준 자산총액 3조라 걍 중견정도일거 같습니다 크크
티타임
23/06/19 13:48
수정 아이콘
쿠팡은 동일인 말 많더니 그냥 쿠팡해버렸네요.
23/06/19 13:54
수정 아이콘
부산 대구... 광역시가 무색하게 대기업 0개....
무지개그네
23/06/19 13:56
수정 아이콘
서울공화국이 맞군요 서울서울서울서울
23/06/19 14:01
수정 아이콘
한화님 대전으로 이전좀
회색사과
23/06/19 14:08
수정 아이콘
Sk가 2위였군요? 현차나 엘지같은 제조업이 더 클 줄 알았더니..

총 임직원 숫자랑 임직원 연봉 sum도 궁금하네요.
저렇게 큰 회사들이 몇 명의 직원들을 고용하고 얼만큼의 급여를 주는지요 흐흐
23/06/19 14:14
수정 아이콘
DART에서 공시자료를 보면 임직원 평균급여 정도는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물론 모든 계열사가 다 공개되는것도 아니기는 합니다만..
회색사과
23/06/19 14:49
수정 아이콘
으흐흐 감사합니다. 언제나 게으름이 문제네요 크크
23/06/19 14:41
수정 아이콘
현,엘은 범현대 범엘지 이렇게 떨어져 나간 그룹들이 많죠
LG를 예로 들면 GS,LS,LX,LIG 등등
4대 기업은 안바뀔 것 같습니다.
회색사과
23/06/19 14:50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놓치고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카마인
23/06/19 14:17
수정 아이콘
농심도 없고 오뚜기도 없고
23/06/19 14:42
수정 아이콘
오뚜기는 대놓고 중견이고
농심도 대기업은 아닙니다.
글로벌비즈니스센
23/06/19 14:46
수정 아이콘
국내 식품 회사들이 일상에서 접하니 대단히 커보이지만 이런 걸 보면 괜히 수출 국가라 하는 게 아니죠.
건설안전기사
23/06/19 15:40
수정 아이콘
오뚜기는 본사가보면 중견인게 확 체감되긴 합니다 크크
작은대바구니만두
23/06/19 14:23
수정 아이콘
카카오 계열사 수 무엇 크크
한지현
23/06/19 14:32
수정 아이콘
하림이 의외네요 순위도 높네 사스가 치킨의 나라인가
글로벌비즈니스센
23/06/19 14:47
수정 아이콘
닭 정육의 수직계열화를 완성한데다가 저래뵈도 팬오션이라고 국내 벌크1위 선사까지 보유한 회사입니다.
김꼬마곰돌고양
23/06/19 14:35
수정 아이콘
왜 안 50인거죠
23/06/19 15:05
수정 아이콘
자산 10조 컷?
23/06/19 15:18
수정 아이콘
49위부턴 준대기업? 이런걸껍니다
23/06/19 15:20
수정 아이콘
숫자로 컷하는게 아니라 자산 10조가 기준이기 때문에..
개발괴발
23/06/19 14:37
수정 아이콘
게임은 넷마블 넥슨 컷이구뇨.
엔씨(4조)는 자산총액 기준으로 크래프톤(6.5조)에도 밀려서 이번에도 낙방..(대충 손치워봐 짤)
무냐고
23/06/19 14:40
수정 아이콘
쿠팡이 합류했군요
23/06/19 14:53
수정 아이콘
2년전에 대기업됐다고 자랑 많이 하더라구요...
카즈하
23/06/19 14:44
수정 아이콘
카카오 계열사 147 실화냐....
그렇구만
23/06/19 14:54
수정 아이콘
금융권이 생각보다 규모가 작나보네요 1금융 기업이 하나도 없네
23/06/19 14:57
수정 아이콘
금융업 보험업은 중소기업기본법상의 규모를 벗어나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이 아니어도 중견기업법령을 적용받지 아니하므로 대기업으로 간주된다.


금융/보험의 경우에는 별도 법을 따르기 때문에 위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별도 법을 따르는 이유는 업종 특성상 자산을 똑같이 매길수가 없어서..
그렇구만
23/06/19 14:59
수정 아이콘
오.. 역시 빠질리가 없는데 이유가 있군요 새롭게 알게됩니다!
한글날기념
23/06/19 14:56
수정 아이콘
근데 농협 포스코 꼬라지는 참...금호도 많이 말아먹었는데 아직도 26위인 게...
핸드레이크
23/06/19 15:04
수정 아이콘
저기서 아마 비상장은 부영이 유일하지않을지..
김꼬마곰돌고양
23/06/19 15:26
수정 아이콘
역시 비상장이니까 오너 마음대로 브랜드를 끌고 갈 수 있는거군요. 제발 사랑으로 좀 바꿔줘..
핸드레이크
23/06/19 20:30
수정 아이콘
죄송합니다 ..크크
회장님이 영..
포프의대모험
23/06/19 15:37
수정 아이콘
넥슨도 실질적으로는..
호랑이기운
23/06/19 16:16
수정 아이콘
안타깝게도 호반건설 장금상선도 비상장이죠
아스날
23/06/19 16:48
수정 아이콘
3~4개 정도 빼놓고 뭐하는 회사인지는 알겠네요..
리클라이너
23/06/19 17:21
수정 아이콘
부산 전멸.... 진짜 어떡하냐....
사신군
23/06/19 17:30
수정 아이콘
hmm이 가고나서 저기 기입되지않아서 다행인가
VictoryFood
23/06/19 20:14
수정 아이콘
SK 중에서 SKT와 SK에너지가 계열분리되면 순위가 어디까지 내려갈지 궁금하네요.
인간적으로 그건 분리해야지
23/06/19 20:14
수정 아이콘
공시대상기업집단(자산총액 5조 이상)만 해도 3종 공시의무, 총수일가 사익편취 금지 요런 규제들은 다 들어가기 때문에 사실상 5조가 규제선이라고 보심 됩니다. 공대기(5조)에서 상출(10조) 될 때 추가되는 규제가 상호/순환출자 금지, 국내계열사간 채무보증 금지, 금융보험사/공익법인 의결권 제한 정도인데 상호/순환출자는 어차피 사이즈 커지면 해소해야 하고 트렌드에서 벗어난 지 꽤 됐고 뒤의 두개는 그렇게 큰 영향은 아니라서..

공정거래법상 규제를 제외하고도 타법에서 준용하는 규제 혹은 혜택의 기준선들이 상출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보다 공대기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많아서 더욱 그렇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3227 [유머] GS건설 근황 [33] Avicii13103 23/07/20 13103
483078 [게임] 블리자드 새로운 루머 [141] 피죤투14405 23/07/17 14405
482969 [유머] 닭다리 두 개에 스파게티까지 있는 4,900원 도시락. [27] Myoi Mina 12609 23/07/14 12609
482952 [기타] 3년간 상위 시공사 1조원당 하자건수 [65] Leeka12813 23/07/14 12813
482897 [유머] 서울에도 있는 계곡 평상 [6] Avicii11875 23/07/13 11875
482776 [기타] 일런 머스크 팰려고 UFC 챔피언 2명 데려와서 훈련하는 주커버그.jpg [31]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9110 23/07/12 9110
482765 [기타] 비 오는 날은 물갈비죠. (feat.자이) [34] 돈테크만11429 23/07/11 11429
482700 [텍스트] 6년차 감리 시점에서 보는 현재 건설업의 문제점 [24] 졸업12224 23/07/10 12224
482555 [유머] 최근 3년간 시공능력 상위 건설사 10개사 하자건수 [60] 워렌버핏10827 23/07/08 10827
482551 [유머] 2018년에 완공된 자이 근황.jpg [51] 김유라12123 23/07/08 12123
482446 [유머] 대한민국 부동산계를 뒤흔들 환상의 콜라보 [31] 길갈11779 23/07/07 11779
482434 [기타]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가 더 이슈가 크게 된 이유 [97] Leeka14797 23/07/07 14797
482424 [유머] 순살 아파트는 가라! (2) [19] 리노11085 23/07/07 11085
482369 [기타] 국민대통합을 이뤄낸 아이돌그룹.jpg [47]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2560 23/07/06 12560
482316 [유머] 인천 검단아파트 설계·감리·시공 모두에서 부실…콘크리트 강도도 부족 [81] 졸업12483 23/07/05 12483
482315 [유머] 순살아파트의 최후.jpg [51] 핑크솔져13677 23/07/05 13677
481968 [유머] Musk vs Zuck 포스터 새 버전 [5] 우주전쟁6569 23/06/30 6569
481904 [유머] 최근 문제터진 아파트들 모여있다는곳... [38] 졸업15641 23/06/29 15641
481874 [기타] 다음은 순살 아파트 [42] 똥진국15097 23/06/28 15097
481862 [유머] 세기의 대결.... 일론머스크 근황 [33] 곰투가리12523 23/06/28 12523
481351 [기타] 2023년 기준 법적으로 대기업에 해당되는 48개 기업 [47] Leeka12167 23/06/19 12167
481092 [기타] ??? "철근 빠졌는데 안전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91] 아지매14732 23/06/15 14732
480861 [기타] 미국 PC OS에서 점유율 무섭게 올라가는 애플 [28] Heretic11385 23/06/10 1138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