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1/19 21:54:25
Name 꿀깅이
File #1 s0FC41f77gucpcldh.jpg (796.1 KB), Download : 67
출처 http://m.slrclub.com/v/hot_article/1107979
Subject [기타] 요즘 고지서 받고 난리라는 그것


지역난방 가격이 엄청 올랐다고 덜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항정살
23/01/19 21:55
수정 아이콘
38프로 상승!!!
꽃이나까잡숴
23/01/19 21:57
수정 아이콘
완전 조짐 ㅠㅠㅠㅠ 3자리 보다가 5 크리 터졌어용 관리비
어케 20만원가까이 오를수가 있는지 ㅠㅠㅠㅠ
꿀깅이
23/01/19 21:58
수정 아이콘
다들 그런듯요ㅠ
23/01/19 21:59
수정 아이콘
진짜 개깜놀랐습니다
처음보는 가격임..
메가톤맨
23/01/19 22:00
수정 아이콘
다른 건 모르겠고 지역난방은 화력(?) 조절 안되나요? 어디가 춥다 그러면 다 같이 틀어버리니...분명 조절하는 방법이 있었는데...
23/01/19 22:26
수정 아이콘
싱크대 밑이나 아파트 벽 쪽에 배관밸브 있을거예요
반만 트시면 됩니다
23/01/19 22:54
수정 아이콘
지역난방 집마다 각각 따로예요. 보일러랑 비슷한 온도 조절기가 있습니다.
OilStone
23/01/19 23:16
수정 아이콘
조절은 되는데 그거 줄인다고 해서 돈 적게 내는 게 아니던데...
우울한구름
23/01/20 10:47
수정 아이콘
생각하시는건 중앙난방일겁니다.
23/01/19 22:01
수정 아이콘
집이 남향이면 그나마 괜찮을 겁니다
마감은 지키자
23/01/19 22:02
수정 아이콘
헐, 저희 집도 각오해야겠네요…
지금 찾아보니 다행히 선방했네요.
하지만 다음 달은 어떨지..
RapidSilver
23/01/19 22:04
수정 아이콘
가스비 고지서 보고 깜짝놀랐습니다. 자취원룸인데...
23/01/19 22:08
수정 아이콘
저희집도 엄청 나왔더라구요. 진짜 추울 때만 잠깐 틀고 껐는데 ㅠㅠ
겨울愛
23/01/19 22:50
수정 아이콘
유투브에서 본건데. 추울때 잠깐 틀고 끄는 방식이 온도 올리는데 열이 많이 필요해서 오히려 난방비가 더 나온다더군요. 차라리 최저 난방 온도로 맞춰 놓는게 난방비가 덜 나온다길래 올해 그렇게 해봤는데 체감상으로는 확실히 작년보다는 가스비가 덜 나오는거 같네요
23/01/19 22:55
수정 아이콘
헐.....말씀 감사합니다.... ㅠㅠ
덴드로븀
23/01/19 23:25
수정 아이콘
전원 OFF 말고, 외출모드로 두고 써야합니다.
난방도 실내온도/온돌온도 모드가 있다면 온돌모드로 집에 최적화된 온도에 맞춰서 쓰는게 좋구요
23/01/19 23:54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나름 현명하게 쓴다고 뿌듯해하고 있었는데 바보가 된 기분이군요
고오스
23/01/20 08:15
수정 아이콘
윗분들 말씀대로 가장 에너지가 소모 많이 될때가 온도를 급격하게 바꿀 때죠

그래서 on/off가 사용 시간대비 에너지를 많이 먹고, 최저온도로 꾸준히 켜 놓는게 시간대비 에너지를 덜 먹습니다 ㅠㅠ
23/01/20 09:36
수정 아이콘
고지서 받고 놀라던 마음이 잊혀지질 않네요.. 추운 날엔 적당히 켜두겠습니다.. 감사합니다 ㅠㅠ
열혈둥이
23/01/19 22:09
수정 아이콘
가스비 40나와서 미친줄알았는데
알고 보니 계량기가 진짜 미쳤더라구요

하필이면 이타이밍에 이래서 하필이면 넘어갈뻔
우리아들뭐하니
23/01/19 22:11
수정 아이콘
이런 상황인데 다음주 한파..
체크카드
23/01/19 22:11
수정 아이콘
도시가스 작년보다 30m3 덜썻는데 돈이 더나왔어요 크크크
유튜브 보고 온수온도 조절 안해 놨으면 조질뻔했습니다
이른취침
23/01/19 22:27
수정 아이콘
온수온도 조절하는 게 효과가 있나요?
체크카드
23/01/19 22:41
수정 아이콘
네 보일러 기본온수를 70도로 셋팅해놨었는데
45도로 낮췄거든요
온수 온도가 높으면 그만큼 가스 소비해서 가열하고 찬물로 희석해서 쓰는거라 낭비라고 봤습니다
대신 온수레버를 온수 쪽으로 더 돌리긴해야 합니다
이른취침
23/01/19 22:52
수정 아이콘
글쿤요. 정보 감사합니다.
덴드로븀
23/01/19 22:17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801630?sid=101
[LNG수입 1년새 30兆 폭증…난방비 2배 뛰고, 목욕탕은 줄폐업] 2023.01.19.
12만원 나오던 난방비가 25만원
LNG 수입가 반년새 64% 급등
2년여 前보다는 10배나 비싸져
韓, 선박 운송 탓 비용 더 들어
도시가스 요금 1년새 38% ↑

산업부는 최근 1년 새 도매요금을 MJ당 5.4667원 인상했다. 인상폭은 42.3%에 달한다.
[올해 도시가스 요금을 최소한 작년 수준 이상으로 올리겠다는 계획이다.]
23/01/19 22:21
수정 아이콘
벌써 고지되는 아파트들도 있나보군요. 과연 얼마가 나올지 두근두근...
오츠이치
23/01/19 22:21
수정 아이콘
도시가스 작년 동월에 비해 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제가 잘못 본 줄 알았어요.
취급주의
23/01/19 22:24
수정 아이콘
저도 가스비 2배된 거 보고 어지럽네요 어우
Excusez moi
23/01/19 22:27
수정 아이콘
16만원 나온게 이때문이었나...;
지난달에 많이 틀었나보다 하고 넘어갔었는데...그게 아니었군요;
23/01/19 22: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공동주택은 개별 난방/전기/수도 오르고 여기에 공동 난방/전기/수도비 올라서 따따블 입니다.
12월보다 10만원이나 더 나와서 36만원 나왔네요.
통큰아이
23/01/19 22:30
수정 아이콘
34만 나왔습니다 흑흑
푸틴사망
23/01/19 22:30
수정 아이콘
따듯하게 잠 잘수 있으면 더 내겠습니다
덴드로븀
23/01/19 22:51
수정 아이콘
푸틴 : 호오...정말?
아이군
23/01/19 22:30
수정 아이콘
드디어.... 올 것이 왔군..... 이런 느낌입니다.
지니팅커벨여행
23/01/19 22:33
수정 아이콘
오늘 깜짝 놀랐습니다.
지난 달보다 8만원이나 더 나오다니..
중앙난방식 너무 싫어요. 겨울인데 왜 덥고 건조해야 하는 건지 참..
마인드머슬커넥션
23/01/19 22:39
수정 아이콘
요소수의 나라
23/01/19 22:45
수정 아이콘
사용량100이내가 목표 ㅜㅜ
23/01/19 22:51
수정 아이콘
1.6배 어이가 없습니다.
마리아 호아키나
23/01/19 22:54
수정 아이콘
수년 전에 보일러 1등급으로 바꾸면 일정금액 지원받는 정책이 있었는데 바꾼 뒤로 난방비가 많이 세이브됐습니다.
만약 난방비 인상이 계속된다면 다시 필요한 정책인것 같습니다.
23/01/19 22:56
수정 아이콘
이거보고 관리비 봤는데 43만원 나왔네요 미쳤네 진짜
오우거
23/01/19 22:59
수정 아이콘
일단 푸틴을 죽여야 됩니까??
겟타 엠페러
23/01/19 23:13
수정 아이콘
전기세 7만원 가스비 대충 20만원 이거 참... 에휴...
23/01/19 23:15
수정 아이콘
저도 가스비 커리어 하이 찍었네요
23/01/19 23:23
수정 아이콘
전기도 올라, 가스도 올라, 등유난로꺼내쓸까? 하고보니 등유값도뭐 덜덜덜;;
스웨트
23/01/19 23:24
수정 아이콘
가스비만 34만원 나왔습니다…
SlamMarine
23/01/19 23:26
수정 아이콘
한국도 많이 올랐군요... 프라하 살고 있는데, 여긴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입니다.
전기세가 22년 상반기에만 60%상승하고, 물가도 22년말 기준 15%가 상승했네요, 1월달부터 집주인이 월세도 15%를 올린다고 하네요.
수도세/전기세/난방기가 감당이 안되는 수준이네요. 근대 정작 여기애들은 그냥 그렇게 받아들이는듯 해서...것참
덴드로븀
23/01/19 23:29
수정 아이콘
유럽 생각하면 한국은 진짜 아무것도 아닌 수준이긴 하죠...
고오스
23/01/20 08:17
수정 아이콘
히잌... 고생이 많으십니다 ㅠ
23/01/19 23:44
수정 아이콘
똑바로 서라 푸틴...
시무룩
23/01/19 23:54
수정 아이콘
그나마 저는 혼자 살고 추위에 강해서 망정이지 아기 있는 집들은 큰일이네요...
R.Oswalt
23/01/20 00:04
수정 아이콘
가스 안 켜고 전기장판 난방텐트로 버티고 있습니다. 후리스 상시 착용 중...
SG워너비
23/01/20 00:22
수정 아이콘
아 이래서 친구들이 오늘 관리비로 난리났었군요
피우피우
23/01/20 00:43
수정 아이콘
평소보다 좀 많이 쓰긴 했는데 2배 가까이 뛰어서 깜짝놀랐습니다.. 많이 쓴 건 맞긴한데 다들 오르셨군요.
아리아스타크
23/01/20 01:04
수정 아이콘
애들 씻을때 물장난 금지시키고 5분안에 씻겨내보내고 있어서인지 4인식구 12만원으로 선방했습니다..
콩순이
23/01/20 01:21
수정 아이콘
49평대 관리비 가스비 포함 60만원이 넘네요. 주복이라 관리비 원래도 30~40만원인데...전기비 오르고 가스비 21만워 나왔어요 하하..
나 무서워
23/01/20 01:28
수정 아이콘
pc방 전기세도 50%나 더 나왔습니다
kissandcry
23/01/20 01:34
수정 아이콘
전기요금은 정부에서 그렇게 인상 못하게 압박하면서 가스요금은 말도 안 되게 올랐나보네요. 민영업체들이라서 터치 못하는 게 이해가는데 아무리 그래도 좀 심하게 올랐네요; 옛날에 정부에서 치킨값 못 올리게 한 기억도 있는데 가스요금에 대해서는 아예 간섭을 못 하는 건지..
아구스티너헬
23/01/20 09:21
수정 아이콘
수입 가스 가격이 올라서 오른거라 정부가 터치하려면 세금 꼴아박아야 가능할 겁니다.
페스티
23/01/20 02:17
수정 아이콘
12월 대비 10배 나왔네요
회전목마
23/01/20 05:04
수정 아이콘
글보고 조회하니 전달이나 작년동월 대비 2배 이상이네요
까딱하다 10만원 넘을뻔….
소시민
23/01/20 05:4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커리어 하이네요.
전년 동월 대비 2배 상승, 전월 대비 12배 상승...

우리 아파트 전체 평균 부과된 난방비도 전년 동월대비 30%이상 올랐네요.
따마유시
23/01/20 07:16
수정 아이콘
서울있다가 직장때문에 김해에서 이번겨울보냈는데 노난방 온리온수로 전기매트만쓰고도 따뜻하게 보냈네요.남쪽은 남쪽이군요.흐흐
퀀텀리프
23/01/20 07:55
수정 아이콘
스노우볼이 한국까지 온겁니까 ?
23/01/20 08:06
수정 아이콘
30평대 관리비 48만원 나왔네요
23/01/20 08:18
수정 아이콘
작년 동월 기준 가스비 2배 올랐네요..
24만원
23/01/20 09:18
수정 아이콘
12월 작년대비 20% 정도 올랐군요.. 아낀다고 18도 맞춰놓고 내복입고 살았는데
푸른피
23/01/20 10:25
수정 아이콘
도시가스도 해당되는건가요?
23/01/20 11:19
수정 아이콘
18년부터 21년까지 겨울기간에도 에지간해선 5만원대로 끊었는데 저번달에 처음으로 8만원이 넘었네요 무섭..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75876 [기타] 직장 거지배틀 대회 [39] 꿀깅이14194 23/03/17 14194
475875 [기타] 대전시 선정 추천여행지, 선호기념품, 선호음식 [29] 꿀깅이8983 23/03/17 8983
475717 [기타] 폭력 교사의 상징과도 같은 존재 [21] 닉넴길이제한8자13310 23/03/14 13310
475608 [기타] 몰카 피해망상이 또...twt [46] 톰슨가젤연탄구이11627 23/03/13 11627
475329 [기타] 회사생활 극혐 이유 1위는 무엇일까?? [17] Lord Be Goja8606 23/03/09 8606
475239 [기타] 절대 특정인 관련 영화가 아니라는 영화... [19] 우주전쟁9078 23/03/08 9078
475235 [기타] 적벽은 불타고 있는가? (feat. KBS) [130] 15376 23/03/08 15376
475136 [기타] 상간남 아이 낳고 사망한 사건 근황 [64] 톰슨가젤연탄구이14348 23/03/06 14348
474536 [기타] (초스압, 26mb) 슈카월드 - 대한민국 정부에서 발행했던 미친 경제상품 [29] 렌야12721 23/02/25 12721
474473 [기타] 일본 해안가에서 발견된 정체모를 물건... [56] 우주전쟁13628 23/02/24 13628
474412 [기타] 고대 인류사의 큰 미스터리 가운데 하나... [47] 우주전쟁11638 23/02/23 11638
474177 [기타] 38억년 전 금성, 지구, 화성... [34] 우주전쟁9896 23/02/20 9896
474065 [기타] 요즘 수상할정도로 중국 컨텐츠에 많이 있다는 [41] 퍼블레인12986 23/02/18 12986
473727 [기타] 하하 회원님,ai 기술을 활용해서 돈버는데 고도의 코딩공부는 필요 없답니다 [17] Lord Be Goja9680 23/02/14 9680
473461 [기타] (후방주의) 고작 지금까지의 실사 느낌으로 만족하셨습니까 HyuMeon? [65] 묻고 더블로 가!17045 23/02/10 17045
473361 [기타] 일본 회전초밥집 민폐고딩 근황 [30] Myoi Mina 12384 23/02/09 12384
472975 [기타] 아버지를 실수로 다리미로 지져버림 [15] insane10815 23/02/03 10815
472776 [기타] (약간후방) AI 실사체 현황 [54] 묻고 더블로 가!37281 23/01/31 37281
472676 [기타] 귀신이 있다고 믿어야하는 이유 [26] 퍼블레인10500 23/01/29 10500
472479 [기타] 작년 10월 입주했다는 검단 신축아파트 근황 [71] Myoi Mina 16900 23/01/27 16900
472230 [기타] 백종원이 시장 리모델링 반대하는 상인을 설득한 방법 [30] 아롱이다롱이13539 23/01/23 13539
471972 [기타] 스피또 복권 대국민 사기극 폭로.jpg [23] Pika4814525 23/01/20 14525
471962 [기타] 요즘 고지서 받고 난리라는 그것 [69] 꿀깅이16808 23/01/19 1680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