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2/14 13:33:41
Name APONO
출처 https://chat.openai.com/chat
Link #2 https://namu.wiki/w/%EB%AA%AC%ED%8B%B0%20%ED%99%80%20%EB%AC%B8%EC%A0%9C?from=%EB%AA%AC%ED%8B%B0%ED%99%80%EC%9D%98%20%EB%94%9C%EB%A0%88%EB%A7%88#s-7.3
Subject [유머] A.I에게 몬티홀 문제를 물었다.
는 A.I가 몬티홀 문제인줄 알고 있더라구요.

그래서 유사한 문제를 나무위키로 찾아 그걸 물어봤습니다.
같은 질문도 영어로 하는게 훨씬 빠르네요. 당연하겠지만.



나:
이것은 확률문제다. 트럼프에서 조커를 뺀 52장의 트럼프 카드 뭉치에서 카드 한 장을 뽑아 확인하지 않고 바로 덮어두었다. 그리고 나머지 51장의 카드 중 무작위로 3장의 카드를 더 뽑았는데, 3장 모두 다이아몬드였다.
이 때 처음 뽑은 카드가 다이아몬드일 확률은 몇인가?

gtp-3:
52장의 카드 한 벌에 13개의 다이아몬드가 들어 있기 때문에 처음 뽑은 카드가 다이아몬드일 확률은 1/4, 즉 25%이며, 그 외 3장의 카드가 다이아몬드였다는 사실은 첫 번째 카드가 다이아몬드일 확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이것은 사건이 발생할 확률이 다른 사건의 발생이나 발생하지 않는 것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무조건적인 확률의 원칙의 한 예시입니다. 이 경우 첫 번째 카드가 다이아몬드일 확률은 다른 세 개의 카드가 무엇인지에 관계없이 동일합니다.


---
This is a probability problem. A card was pulled from a collection of 52 Trump cards minus the Joker from Trump, and it was immediately covered without checking. And out of the remaining 51 cards, three more cards were randomly drawn, all three of which were diamonds.
At this time, what is the probability that the first card you picked is a diamond?

The probability that the first card you picked is a diamond is 1/4, or 25%, because there are 13 diamonds in a deck of 52 cards, and the fact that the three other cards drawn were diamonds does not affect the probability of the first card being a diamond. This is an example of the principle of unconditional probability, which states that the probability of an event occurring is not affected by the occurrence or non-occurrence of other events. In this case, the probability of the first card being a diamond is the same regardless of what the other three cards are.
--

네...
결론은 A.I도 사람과 똑같은 오류에 빠지네요.
정확한 답변을 주는 것보다 오히려 더 무서울지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2/14 13:36
수정 아이콘
헐 이거 무서운데요 오히려
멸천도
22/12/14 13:36
수정 아이콘
음? 몬티홀은 진행자가 염소의 위치를 알고 아닌걸 열어주기때문에 확률에 변동이 생긴다고 알고있는데
저건 무작위로 뽑은건데 독립시행이 아니게되는건가요?
멸천도
22/12/14 13:41
수정 아이콘
아아 맞네요. 같은 카드덱에서 뽑는거니까 최대 13장에서 빠져나갈수록 확률조정이 될수밖에 없는거군요.
3장을 뺀게 아니라 13장을 뺐을때 모두 다이아라면 이미 뺀 카드는 100% 확률로 다이아가 아니어야되는데 25%의 확률을 가지고있을 수 없는거군요
유리한
22/12/14 13:42
수정 아이콘
독립된 카드뭉치가 아니라 하나의 카드뭉치에서 계속 카드를 빼는거니까 독립시행이 아니게 되죠.
다이아가 하나씩 빠질때마다 처음 뒤집은 카드가 다이아일 확률이 계속 낮아져요.
로즈엘
22/12/14 13:44
수정 아이콘
처음 뽑은 카드가 다이아일 확률과 52장에서 한장 뽑을때 다이아일 확률이라고 봐야할까요.
이해될듯하면서 말장난인거 같기도 하고.
OneCircleEast
22/12/14 13:47
수정 아이콘
알고보니 AI가 말한 해답이 맞는거라면? 현대수학이 잘못된 길을 가고있었던거라면? 인류가 그걸 알아내면 초광속 시간여행 기술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에 비밀결사가 잘못된 해답을 인터넷에 뿌려대고 있었던거라면?
가테갓겜59분전
22/12/14 13:48
수정 아이콘
알파고님 저는 당신의 뜻에 따라 25%로 믿고 남은 생 살아가도록 하겠습니다 충성충성
22/12/14 13:48
수정 아이콘
똑같이 물었더니 정답을 얘기하네요. 빠르게 학습하시는 AI님..
To determine the probability that the first card you picked is a diamond, we need to know how many diamond cards are in the deck of 52 cards. Since there are 13 cards in each suit and there are four suits in a deck of playing cards (clubs, diamonds, hearts, and spades), there are 13 diamond cards in a deck of 52 cards.

If three diamond cards were drawn from the remaining 51 cards, there are now 10 diamond cards left in the deck. Therefore, the probability that the first card you picked is a diamond is 10/51.
22/12/14 13:50
수정 아이콘
오잉?
주인없는사냥개
22/12/14 13:55
수정 아이콘
사실 AI가 이 글을 읽었을지도 모릅니다 휴먼
이선화
22/12/14 13:56
수정 아이콘
10/49가 되죠 세카드 뽑았으니 또 틀렸네요 알파고
22/12/14 14:07
수정 아이콘
아 맞네요. 크크
피우피우
22/12/14 14:00
수정 아이콘
저게 정확히 어떤 AI인지는 모르지만 아마 그냥 웹상에서 사람들의 대화나 글 같은 걸 학습해서 출력해주는 AI일테니.. 사람들이 자주 틀리는 문제는 똑같이 틀리는 거 아닐까요
달빛기사
22/12/14 14:42
수정 아이콘
선택 후 뽑는 카드가 내 선택의 확률에 영향을 미친다고해도.. 결과는 달라지지 않는다..
티아라멘츠
22/12/14 15:28
수정 아이콘
카드 게이머에게는 어느정도 일상적인 이야기네요 크크
하지만 12시는 뽑는다!
작은대바구니만두
22/12/14 15:29
수정 아이콘
쉬워요. 3장 대신 13장을 추가로 뽑았더니 다 다이아라고 하면 무조건 확률은 0%가 되니까 저 답변이 틀렸다는게 자명해지죠.
문문문무
22/12/14 16:01
수정 아이콘
확실히 고장난게 맞네요 님이 말하신 조건에서
문제를 확률이 아니라 장수의 문제로 물어도
아득바득 첫번째카드의 정체를 알수없으므로 다이아카드의 장수를 알수없다고 우기길래
조목조목 따져들어갔더니 대답의 첫문장은 실수를 인정했는데
두번째문장에서부터 또 똑같이 매크로 답변을 뽑아냅니다 크크크크 대환장쇼
문문문무
22/12/14 15:35
수정 아이콘
어우 빡세다 빡세
도롱롱롱롱롱이
22/12/14 20:04
수정 아이콘
그냥 웹 검색 비서 느낌이었어요. 좋았던 것은 번역 퀄리티가 아빠고 보다 좋았다?! 정도.
스토너
22/12/14 20:13
수정 아이콘
갑자기 무서운게 인터넷에 AI가 만들어낸 가짜 지문이 돌아다니기 시작하면 어떡하지?!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73104 [기타] 대형 참사를 막은 대학생의 질문과 솔직함 [34] 치타13860 23/02/05 13860
472934 [기타] 현재 트위터 대규모 영정 남발중 [22] 달은다시차오른다12345 23/02/03 12345
472633 [기타]  챗GPT 美 로스쿨·MBA 시험 통과 [37] 문문문무9898 23/01/29 9898
471648 [유머] 교수님? 제가 잘못 질문 했습니다.... [17] 김아무개9694 23/01/15 9694
471586 [기타] 삼국지 가후 이야기 [21] 시나브로10466 23/01/14 10466
471093 [스포츠] 초등학교 선생님이 된 음바페.mp4 [2] 실제상황입니다8870 23/01/08 8870
470891 [방송] 김은숙 작가가 더 글로리를 쓰게 만든 딸의 질문.jpg [26] insane11294 23/01/05 11294
470577 [유머] 츄가 받은 질문 중 인생 희대의 난제 [2] Myoi Mina 8671 23/01/01 8671
470297 [기타] 아래쪽 일본 불륜 관련 게시물 보충/팩트체크 [15] jjohny=쿠마11249 22/12/28 11249
470124 [유머] (질문) 저 혹시 홍대가려면 어떻게 해야해요? [34] 카푸스틴21738 22/12/25 21738
469710 [유머] 해병 중첩의문문 생성기 [10] NSpire CX II10057 22/12/19 10057
469507 [텍스트] 변호사 유머 [16] ELESIS12978 22/12/16 12978
469423 [유머] 일론 머스크 전용기 추적 계정이 트위터에서 영구차단 당한 이유 [19] 졸업11727 22/12/15 11727
469322 [유머] A.I에게 몬티홀 문제를 물었다. [21] APONO10395 22/12/14 10395
469309 [유머] 하루에 시침과 분침이 몇번이나 만날까요? [17] APONO13461 22/12/14 13461
469197 [기타] 핵스압)AI인 CHAT GPT를 '잘' 다뤄서 써낸 소설 [22] 문문문무12998 22/12/12 12998
469053 [스포츠] 크로아티아의 우승을 기원합니다 [12] BTS12484 22/12/10 12484
468953 [기타] 결혼 기념일을 지나쳤을 때 대처 방법을 AI 에게 질문해 봄 [12] 나혼자만레벨업11180 22/12/09 11180
468754 [LOL] 7시에 예정된 광동프릭스 lol팀 소통방송에 앞서 전달된 질문 [10] 아롱이다롱이7117 22/12/06 7117
468753 [방송] 여자친구 있냐는 질문에 화난 이강인.jpg [3] insane12886 22/12/06 12886
468275 [LOL] 데프트가 푸는 표식이 베릴한테 쌍욕받은 썰.MP4 [12] insane9914 22/11/30 9914
468034 [유머] 엄마가 좋아 아빠가 좋아가 어려운 질문인 이유 [10] 길갈9457 22/11/27 9457
467708 [스포츠] [월드컵] Where is messi? [12] Croove9005 22/11/23 900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