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0/11 05:30:53
Name dbq123
File #1 1.JPG (452.2 KB), Download : 95
출처 dc
Subject [유머] AI가 그림 그리는 원리 간단하게 설명해줌.jpg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일일 게시글은 10개를 넘지 않기를 부탁드립니다.
지나친 블랙 유머나 선정적 유머는 삼가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지드래곤
22/10/11 05:38
수정 아이콘
라차 라차 라차 타타 Now everybody 너무 쉽지 다들 좋아
manymaster
22/10/11 07:27
수정 아이콘
글이 확실히 쉽긴 하네요. 저는 노이즈 관련한 장난도 쳐본적 있어서 더 그런 면도 있긴 합니다.
그것보다는 원본 복원을 위한 가중치를 어떻게 주느냐가 가장 핵심이자 어려운 부분으로 느껴지는데, 이걸 뭉개고 넘어가는 게 더 커보입니다.
그래서 어떻게 가중치를 주느냐면... 저도 모릅니다.
Easyname
22/10/11 05:59
수정 아이콘
야짤이나 그려 AI씨
MissNothing
22/10/11 06:01
수정 아이콘
아 완벽히.....
우스타
22/10/11 07:40
수정 아이콘
그냥 그리는 방식부터 다른 거네요.
계피말고시나몬
22/10/11 08:24
수정 아이콘
사실 사람의 창작도 저것과 별로 다르지 않습니다.(...)
니가커서된게나다
22/10/11 07:42
수정 아이콘
그림을 두고 미분 적분을 계속 반복하다가 중간에 튀어나오는 상수 C를 통제하는 식의 방향으로 발전시키는거다 로 이해하면 대략 비슷한건가요?

그림이 조금씩 달라지는건 그림이라 미지수가 여러개라 그런거구요??
22/10/11 08:10
수정 아이콘
네 대강 그렇게 생각하시면 될 거 같아요. 다만 그 상수 C 즉 가중치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보정하는건지는 AI만 알고 아무도 모릅니다.
니가커서된게나다
22/10/11 08:53
수정 아이콘
머신러닝이 무언가를 배우는 과정은 인간 학습 방법이랑 비슷하군요

저거 하면서 수많은 비슷한 그림을 그려보면 확실히 실력이 늘겠죠
리듬파워근성
22/10/11 07:53
수정 아이콘
아하! 역시 그랬구나~
하늘하늘
22/10/11 07:57
수정 아이콘
와. 전혀 몰랐는데 이글 보니 전혀 모르겠네요!
바카스
22/10/11 07:59
수정 아이콘
아 그랬군 이해완료
신성로마제국
22/10/11 08:07
수정 아이콘
이런 거 보면 사람이 창작을 하는 과정은 실로 신박한 거긴 하군요
회색사과
22/10/11 08:40
수정 아이콘
사람도 비슷하지 않을까요?

노이즈가 아니라 흰 캔버스고..
원본은 머릿속에 있는 거니까…

“이게 (머릿속의) 그게 맞지?” 하고 꺼내주는…
오피셜
22/10/11 08:47
수정 아이콘
이거 보니까 어떤 예술가가 한 말이 떠오릅니다.

''나는 창작한 게 아니라 원래 있던 걸 꺼집어낸 것일 뿐이다''
22/10/11 13:27
수정 아이콘
사람도 모방이 쌓이지 않은 창조는 없다시피하죠.
22/10/11 08:18
수정 아이콘
"어이 A씨 헛소리말고 야짤이나 그려"
무냐고
22/10/11 08:25
수정 아이콘
모래
Not0nHerb
22/10/11 08:31
수정 아이콘
아니 간단하게라며요?
한가인
22/10/11 08:53
수정 아이콘
슈카형이 쉽게 설명해 주겠지
카마인
22/10/11 08:59
수정 아이콘
완벽히 이해했어!
자연어처리
22/10/11 09:34
수정 아이콘
우리가 눈의 촛점을 흐리게하고 보더라도 대강의 정보를 파악하고, 빈 정보를 채울 수 있듯이,
AI도 희미한 그림에서 더 선명한 그림을 얻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매우 희미한 그림 --> 희미한 그림 --> 약간 희미한 그림 --> 조금 선명한 그림 --> 선명한 그림
22/10/11 09:48
수정 아이콘
인간의 창작도 살면서 봤던 무언가가 쟤료가 되서 나오는거죠. AI가 진짜 특이점 비슷한 어떤 선을 넘게 되면 오히려 창작 부분에서 인간이 상상하지도 못했던 엄청난 것들이 나올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22/10/11 09:49
수정 아이콘
아니 노이즈복원이고 뭐고 그러니까 "원래 고양이가 GTA 하는 그림" 이라는 명령을 어떻게 내리고 AI는 거기서 어떻게 가중치를 두는지가 핵심아닙니까 크크; 그거를 퉁치네..
하루빨리
22/10/11 10:13
수정 아이콘
딴 이야기를 하자면, 명령은 아직 문장으로 못내라고 키워드로만 내릴 수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원래 고양이가 gta하는 그림”은 gta랑 고양이란 키워드 정도만 주는거죠.
그리고 창작 같아보여도 어쨌든 인터넷에 있는 무수한 작품들을 참조하고 학습하는거라 위처럼 키워드주면 실제로 고양이가 gta하는 그림을 그려줄 지 잘 모르겠네요.
유게에 연어 ai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강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연어보다 회로서의 연어가 레퍼런스로서 인터넷에 많기 때문에 강물과 연어를 키워드로 입력해도 강에 널려있는 연어회만 그려대죠. 지금 ai일러의 손이 부자연스러운건 손동작은 생각보다 더 다채롭고 ai가 손동작의 의미를 이해 못하기에 레퍼런스가 많은 손동작 위주로 그리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바둑이랑 달리 최적의 수란게 존재하지 않아서 ai에게 요구하면 ai가 생각하는 최적의 한 장을 보여주는게 아니라 여러 샘플들을 보여주고 사용자가 그 중 하나를 선택해서 선별한단 점에서도 아직 ai가 예술을 이해한다기 보단 ‘마치 이중에 하나쯤은 니가 원하는게 있겠지’ 식의 박리다매죠.
22/10/11 10:18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가중치를 어떻게 두어서 설정하는지는 AI만 알지. 아무도 몰라요. AI 모델 설계자도 모르고 연구자도 몰라요. 그래서 이걸 블랙박스(black box) 영역이라고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수백만개의 데이터로 수십~수백만번씩 학습시키는데 여기서 값이 조정되는 변수(가중치)들이 모델에 따라 적게는 수천개에서 많개는 몇백만개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조정되는거라 알 수 가 없죠
22/10/11 09:55
수정 아이콘
본문 내용은 Convolution을 아아아아주 러프하게 때려넣은거고... 핵심은 그걸로 NN만드는거 아닐까요
티오 플라토
22/10/11 10:01
수정 아이콘
GAN 설명인걸까요 크크
raindraw
22/10/11 11:06
수정 아이콘
GAN의 설명은 아닙니다.
문문문무
22/10/11 10:09
수정 아이콘
걍 일반 신경망 AI 생각하시면 됩니다.
입력이미지&키워드 에 대응하는 정답이미지를 학습하는거에요

지금 돌아다니는 일러스트AI 는
아마 정답이미지를 여러개의 태그(키워드)로 분류하는 방법에 신경을 많이 쓴것이겠죠

메타러닝등의 기법도 반영된것이겠지만 원론적으로는 그렇습니다.
키모이맨
22/10/11 10:48
수정 아이콘
아~완벽히 이해했어
VictoryFood
22/10/11 11:26
수정 아이콘
이해 못했음
22/10/11 12:4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오토인코더에 대한 내용인것 같네요.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중간으로 갈수록 신경망의 크기가 작아지고 중간에서 끝으로 갈수록 신경망의 크기가 커지는 네트워크를 설계하구요, 이걸 벡터 공간적으로 표현하자면 넓은 공간(원본 이미지) -> 좁은 공간(이미지가 어떻게 생겼는지에 대한 직관) -> 넓은 공간 (복원 이미지)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 경험이랑 빗대어 말하면 그림 잘 그리는 사람에게 그림 어떻게 잘 그려요? 하면 디테일하게 설명할 수 없지만 그림을 곧장 잘 그리는 것처럼 신경망도 여러가지 경험(훈련 데이터) 을 압축(직관화) 해서 압축된 직관에서 다시 원본을 생성하는 개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요즘의 딥러닝이 대부분 이런 "압축 공간" 을 훈련시키고 그 압축된 공간에게 지도학습 데이터를 주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책을 많이 읽어본 사람이 글쓰기도 몇번 해보면 금방 잘하는 원리랑 비슷합니다. 그래서 몇년 전에 가장 핫한 주제가 어떻게 하면 가장 좋은 직관을 훈련시킬 수 있을까였고 요즘은.. 잘 모르겠네요.
퀀텀리프
22/10/11 13:29
수정 아이콘
Cham Ship Joe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5029 [유머] Ai로 물분자를 그려보자 [5] 메롱약오르징까꿍9284 22/10/19 9284
464971 [유머] Ai가 그린 통일된 한국 [24] 누칼협10793 22/10/18 10793
464908 [유머] Ai 일러스트를 통한 영구 기관 발명.jpg [14] 삭제됨11426 22/10/17 11426
464689 [유머] Ai가 그린 굳건이 [7] 누칼협7546 22/10/14 7546
464576 [유머] Ai 뜬지 1주일만의 근황 [35] 누칼협12970 22/10/13 12970
464415 [유머] Ai가 그림 그리는 원리 간단하게 설명해줌.jpg [34] dbq12312579 22/10/11 12579
464410 [유머] 연어에 대해 단단히 오해하고 있는 게 분명한 Ai [14] NSpire CX II12368 22/10/11 12368
464406 [유머] Ai가 만든 강을 거슬러 오르는 연어 [7] 흰긴수염돌고래9135 22/10/10 9135
464405 [유머] 강퀴의 롤 관계자 Ai 그림 뽑아보기.jpg [8] Silver Scrapes11513 22/10/10 11513
464377 [유머] Ai로 뽑은 피카츄 돈까스 [12] 누칼협8856 22/10/10 8856
464368 [유머] Ai가 그린 프로토스 황금 함대.jpg [29] 삭제됨12291 22/10/10 12291
464366 [유머] Ai가 발전하면서 사라질 직업과 그렇지 않은 직업 [49] apothecary10694 22/10/10 10694
464267 [유머] Ai가 발전해도 살아남을 수 있는 일러스트레이터 (못 살아남음) [21] VictoryFood13904 22/10/08 13904
464261 [유머] Ai 일러스트레이터가 사회에 끼치는 영향 [7] 길갈8715 22/10/08 8715
464089 [유머] Ai의 발전으로 사라질 직업들.jpg [60] 캬라11393 22/10/06 11393
464013 [유머] [Ai] 불펌 vs 불펌의 숨막히는 대결 이호철6821 22/10/05 6821
463951 [유머] Ai가 그림그리는 시대를 예견한... [10] EpicSide6639 22/10/04 6639
463946 [유머] Ai가 그림으로 사람을 못이기는 이유 [26] 레드빠돌이9025 22/10/04 9025
463944 [유머] (후방) 가슴에 진심인 Ai [28] 어서오고13211 22/10/04 13211
463929 [유머] Ai로 연성한 보인다 보여 [11] 어서오고10201 22/10/04 10201
463254 [유머] Ai에게 일본풍 사신을 그려달라고 했다 [9] 동굴곰10525 22/09/25 10525
462386 [유머] Ai가 그린 '내가 죽고난뒤에 보이는 장면'..jpg [15] dbq12311622 22/09/14 11622
462239 [유머] Ai가 그린 엄마가 섬그늘에 굴따러가면 JPG [15] TWICE쯔위10526 22/09/12 1052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