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0/04 15:29:07
Name 이브이
File #1 111.png (144.1 KB), Download : 42
출처 https://cafe.naver.com/hanryang1125/138148
Subject [방송] 트위치가 낸 망사용료 금액 (수정됨)


울나라가 비싸긴 엄청 비싸네여

덜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어서오고
22/10/04 15:31
수정 아이콘
트위치가 저 표 대로라면 구글은 그냥 몇조단위 아닌가요? 기를 쓰고 뜯어낼만하네
아케이드
22/10/04 15:34
수정 아이콘
그 돈 내라면 차라리 철수하겠죠. 답도 없는 적자일테니...
22/10/04 15:39
수정 아이콘
구글은 지금 그 돈 내고 있진 않을껍니다. (이제 뜯으려고 해서 충돌하는걸로..)

구글은 큰 틀에서의 히스토리가

- 구글이 한국에 서버 안두고 있다보니 해외 통신망 접속료로 통신 3사가 돈 미친듯이 털림
- 구글이 한국에 캐시서버 설치해줄테니 망 사용료 해결 콜? (감면인지 면제인지까지는 잘 모름)
- 통신사가 콜!!

해서 통신사랑 구글의 유튜브 공식 프로모션 등까지 다 진행된걸로..
(넷플릭스도 동일.. 단 넷플릭스는 SKT하고는 제휴 안했고.. 그래서 SKT 혼자 넷플릭스에 소송건 상태..)

근데 이제 통신사들이 국내에 캐시 서버 다 있으니 사용료 정상적으로 내라고 하면서 충돌이 시작된거라....

유튜브/넷플은 정가를(이게 옳고 그르고를 떠나) 낸 적은 없습니다.


유튜브랑 넷플은 '응 한국 서비스 품질 저하되더라도 걍 서버 해외로 런하면 통신사 니들 디질껄?' 이게 필살기고 (대신 품질저하는 오니깐 안하고 싶음)
통신사도 그거 때문에 과거에 숙인거긴 한데... 이제 배가 불렀는지 '법을 개정해서' 합법적으로 털기 위한 플랜을 짠거라..
어서오고
22/10/04 16:07
수정 아이콘
안 내는건 아는데 만약 뜯어 낼 수 있다면 그 비용이 조단위가 되지 않겠느냐는거죠.
류지나
22/10/04 16:11
수정 아이콘
조단위 금액을 뜯길 바엔 구글은 그냥 한국 시장에서 철수를 선택하지 않을까요?
어디든지문
22/10/04 17:48
수정 아이콘
그 조단위가 마이클 조단위는 아니겠죠??!
어서오고
22/10/04 17:54
수정 아이콘
노잼...
22/10/04 15:31
수정 아이콘
저 돈이 통신사로 들어간다는 거죠?
진짜 양아치들이 따로 없네...
아라라기 코요미
22/10/04 15:37
수정 아이콘
다른 나라 대비로 보니... 그냥 양아치 인데요?
22/10/04 15:37
수정 아이콘
괜히 국내 IT기업이 그리드 쓰거나 망하거나 죽음의 이지선다에 걸리는게 아니죠...
22/10/04 15:39
수정 아이콘
저 그래프로는 구글이 트위치의 15배인데.. 900억 X 15 = 1조 3500억 후덜덜하네요.
묻고 더블로 가!
22/10/04 15:39
수정 아이콘
저 금액에서 그리드 쓰면 얼마 정도로 줄어드는 건가요?
이브이
22/10/04 15:41
수정 아이콘
출처에 따르면 아프리카가 900억 예상되는데 그리드 써서 150억 낸답니다
욕 먹어도 쓰는 이유가 있음
묻고 더블로 가!
22/10/04 15:45
수정 아이콘
플랫폼 입장에선 그냥 무조건 써야하는 거네요 안 쓰면 호구 수준
22/10/04 16:34
수정 아이콘
그리드 쓰라고 칼들고 협박하는 수준이네요 덜덜..
Just do it
22/10/04 15:42
수정 아이콘
트위치, 정확히 트코는 500억이든 100억이든 이익구조가 기형적이라서
망하지 않는게 더 이상하죠.
Lazymind
22/10/04 15:42
수정 아이콘
트위치 그리드 무설치형은 보안문제로 잠깐 접혔고 설치형은 해외에서 반대라고..
한국은 설치형도 익숙한데..
데몬헌터
22/10/04 16:36
수정 아이콘
액티브 엑스의 추억이..
네이버후드
22/10/04 15:43
수정 아이콘
저게 국가별로 보면 안되는거라던데 통신사 티어에 따른거라고
22/10/04 15:48
수정 아이콘
근데 사실 트위치는 저거를 떠나서..

수익 모델 자체가 없어서 답이 없는 느낌이긴 한데 -.-;

넷플릭스 -> 구독자
유튜브 -> 구독 & 광고
아프리카 -> 별풍선

이라는 핵심 수익모델이 있다면

트위치는 지금 진짜 수익모델이 없는 상태로 너무 오래 오고 있긴 해서........ 아무리봐도 아마존이 자선사업하나 싶긴 했던..
어서오고
22/10/04 16:07
수정 아이콘
트위치는 구독,비트,광고료가 다고 사실 다른 스트리밍 플랫폼도 다를건 없죠. 한국이 다른 상위권 시청 국가에 비해 구독비율이 현저히 낮고...서드파티 이용 비율이 월등히 높음.
22/10/04 16:09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는 다 별풍을 쓰니 수익모델이지만
한국 트위치는 다 비트를 안쓰니깐 수익모델이 없는 상태라....
담배상품권
22/10/04 16:10
수정 아이콘
제가 들은 스토리는 트코 초반에 비트 홍보 안하고 서드파티 쓰라고 홍보해서 서드파티쪽이 대세된거라던데 아닌가요?
Lazymind
22/10/04 16:14
수정 아이콘
트위치 초반 다음팟/아프리카 방송인들(주로 하스스톤) 빼올때 방송시간만 채우면 월급줌 + 수수료거의 없는 후원
이거로 꼬셔서 데려온거고, 자연스레 서드파티 후원이 대세가 됬죠. 그리고 마이크허가 트윕사용을 강요하기도 했고.
서드파티 없었으면 트위치로 넘어올 유인이 적었을겁니다. 엑소더스 전까지
유지애
22/10/05 05:50
수정 아이콘
마이크허의 나비효과인가요 크크크
어서오고
22/10/04 16:15
수정 아이콘
수수로 1%로 홍보하긴 했죠. 당시엔 차별화 할 포인트가 화질이랑 수수료라...서드파티 쓰는건 그렇다 쳐도 구독은 유독 낮은걸로 알고있습니다.
22/10/04 16:38
수정 아이콘
심지어 비트 도네는 기능이 구려요
MISANTHROPY
22/10/04 17:20
수정 아이콘
트위치 본사가 비트 도네 기능을 향상시켜야 될 필요가 있나요?
다른나라들도 비트 도네 기능 똑같고 서드파티 있는데
비트, 구독 수익 괜찮으니까 4k 지원해주죠(EX. 일본).
기생충처럼 중간에서 돈만 빨아먹는 트윕, 투네 같은 서드파티 업체들이나
목숨걸고 도네 기능, TTS 강화하고 그러는거죠.
비트 안써주고, 구독 안해주면 트위치 본사는 철수하면 그만이죠.
22/10/04 17:42
수정 아이콘
그걸로 돈 벌기 싫으면 안해도 되죠
초현실
22/10/04 15:48
수정 아이콘
국내 모든 웹, 앱, 게임 업체들 전부 통신사에 망이용료 내고 있던거였나요? 허리 휘겠네요
22/10/04 15:51
수정 아이콘
미국에서 정한 통신사 티어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 아닌가요?

미국 통신사가 1티어, 한국 통신사가 2티어로 미국이 마음대로 정해놔서, 1티어가 1-2티어 망을 쓰면 무료, 2티어가 1티어 망을 쓰면 유료라서 한국 통신사가 미국 통신사에 비용을 엄청 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한국 서버를 만들어주는게 한국 서버에 한국이 자주 보는 동영상을 유통시켜주면 1티어 망을 안써도 돼서 비용을 줄이는 것으로 알고 있구요. (넷플릭스가 쓰는 방법)
Two Cities
22/10/04 15:52
수정 아이콘
마음대로가 아니라 통신사가 보유한 설비에 따른 거죠. 그리고 라이브 스트리밍은 캐시 서버 써도 의미가 없습니다.
Lazymind
22/10/04 15:54
수정 아이콘
한국통신사들이 해저케이블 전세계에 짝 깔아놨으면 1티어였겠죠.
호랑이기운
22/10/04 15:55
수정 아이콘
이 논리면 아프리카가 망사용료 내는 근거가 없죠
류지나
22/10/04 16:06
수정 아이콘
그 티어를 미국 통신사가 맘대로 정하는게 아니라 전 세계에서 접속하는 접속량을 가지고 분류가 됩니다. 전 세계 고급 정보를 가지고 있는 미국에는 너도나도 연결하려고 드니 자연스럽게 1티어가 된 거구요.
제주삼다수
22/10/04 16:16
수정 아이콘
일반적인 나라에선, 같은 티어끼리는 서로 주고받는거 쌤쌤쳐서 끝내는데
한국에서는 같은티어끼리 주고받는것도 다 가격 매겨서 서비스 제공자에게 청구하니 비싼거죠
22/10/04 16:29
수정 아이콘
한국도 데이터는 1:1.8까지는 상호접속료 안냅니다.

CP 사한테 뜯어먹는거죠.
아케이드
22/10/04 16:27
수정 아이콘
그 티어론 구라에 가깝습니다
정말 그게 이유라면 아프리카티비 같은 국내 서비스 업체에 망사용료 걷으면 안되죠
네이버후드
22/10/04 16:31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에게도 돈 받아야죠 일반 소비자들도 돈내고 사용하는데요 ?
아케이드
22/10/04 16:41
수정 아이콘
일반사용자가 내는건 정액의 접속료죠
당연히 아프리카도 접속료는 내야죠
그런데 거기에 더해서 종량제인 망사용료도 내는 겁니다
일반 사용자는 종량제 망사용료를 내진 않죠
레드빠돌이
22/10/04 16:36
수정 아이콘
제가 안기론 1티어가 2티어에 안내는게 아니라
정산시 1티어가 2티어에게 줄 돈보다
2티어가 1티어에게 줄 돈이 더 많기 때문에
1티어는 2티어에게 돈을 지급할 일이 안생기는거죠.

미국망이 우리에게 붙을일보다
우리가 미국망을 쓸일이 더 많으니깐요
22/10/04 16:47
수정 아이콘
지금 논란은 티어 문제보다는 국내 트래픽발생에 대한 돈을 받으려는거 아닌가요 아시다시미 티어 차이로인한 비용은 국내에 캐시 서버 설치해주면서 어느정도 해결되었고 이제는 국내 트래픽 발생에 대한 비용들 받아내려는거죠
아케이드
22/10/04 16:54
수정 아이콘
그거죠
22/10/04 21:07
수정 아이콘
티어가 왜, 어떻게 정해졌는지 다시 보고 오셔야 할 것 같습니다
22/10/04 15:51
수정 아이콘
미국 트위치는 미국 통신사에 얼마 낼까 궁금해지는 군요 예전에 더블리프트 방송 보면 광고 10 개씩 지 큐 돌릴때마다 틀던데
카트만두에서만두
22/10/04 15:54
수정 아이콘
500억이면 많이 내긴 했네요. 의외네
호랑이기운
22/10/04 15:56
수정 아이콘
지식백과에 따르면 이미 구글은 자체적으로 네트워크를 엄청깔아서 1티어 급이라고 하던데
코와소
22/10/04 16:03
수정 아이콘
많이 냈네요
22/10/04 16:05
수정 아이콘
예전에 아프리카에서 트위치는 망사용료 안내고 있다고 하지 않았나요? 저도 그거 몇년간 믿었는데
Silver Scrapes
22/10/04 16:07
수정 아이콘
'아니 그리드깔고 비트 제한걸어서 100억내는데 쟤들은 그런거 하나도 안하던데.. 500억을 낼 리가 없겠지?'
하지만 내고있었고..
크레토스
22/10/04 16:08
수정 아이콘
동종 업계인데 그걸 모를리가요..서수길이 직접 한 말로 아는데.. 한국법 지키는 아프리카 VS 한국법 안 지키는 나쁜 외국기업들 마케팅으로 재미본거죠.
22/10/04 16:10
수정 아이콘
트위치 코리아 설립해서 국내 스트리머 땡겨오기전까지는 안냈을겁니다..
22/10/04 16:12
수정 아이콘
그 발언때는 이미 트위치 망사용료 낸지 몇 년 이상 된 것으로...
대충 추측으로 던졌다 or 여론전 목적 아니었을까 싶어요
22/10/04 17:02
수정 아이콘
아니면 아니 우리가 900억 내야될거 그리드써서 150억을 내는데 쟤내는 그리드도 안쓰네? 망사용료 안내고선 말이안되는데? 이런게 아니었을지 크크
유성의인연
22/10/04 16:09
수정 아이콘
너무 비싸네요
22/10/04 16:10
수정 아이콘
19년 트위치 추정 매출이 1.8조인데.. 가장 큰 비중이 망사용료 500억이라니. 어마어마하네요.
크레토스
22/10/04 16:11
수정 아이콘
그건 트위치 전세계 매출이고 한국으로 한정하면 매출 매우 적을겁니다.
굿럭감사
22/10/04 19:39
수정 아이콘
전세계 매출을 가져오시는건 좀...
Silver Scrapes
22/10/04 16:11
수정 아이콘
트위치 코리아 평가
- 이전 : 직원 7인 지사 호소인들
- 현재 : 500억 내면서 버서스 애니위크 트파 KBO중계 K리그 예산 타오는 능력자들
MISANTHROPY
22/10/04 17:22
수정 아이콘
3년째 스트리머 소통창구 만들고 있는 무능력자들 아닌가요?
22/10/04 19:40
수정 아이콘
20명이고 스트리머 대응 직원이 7명이라고 풍월량님이 말했어요.
어디선가 와전된 내용입니다
Silver Scrapes
22/10/05 02:53
수정 아이콘
알고있습니다
엔타이어
22/10/04 16:13
수정 아이콘
말도 안되는 금액을 내주고 있던거냐고....
북미의 15배를 내라는 소리 들었으면
어이가 없어서 못내겠다는 소리가 나왔을텐데...
이걸 내고 있었다니....
League of Legend
22/10/04 16:19
수정 아이콘
통신사들 단통법때도 그렇지만 너무하네요. 5G 요금제로 돈은 더 뜯어가고 실제로 지방은 잘 되지도 않는다더만..
담배상품권
22/10/04 16:29
수정 아이콘
서울도 잘 안됩니다.
잘 안된다 수준이 아니라 쓰는사람을 거의 못봤습니다.
지하철은 스크린도어 장비랑 주파수 간섭 일어나서 5G 못쓴답니다.
22/10/04 16:30
수정 아이콘
그러면 재작년 이었나 크보 중계권 까지 따온건 도대체 어떤 풍둔 아가리술을 써서 예산 따온거지..
Silver Scrapes
22/10/04 16:32
수정 아이콘
베조스 누칼협..?
겨울삼각형
22/10/04 16:31
수정 아이콘
트위치 자주보는 입장에서..

망사용료와 별개로

트위티 비트는 개창렬입니다.
이걸 쓰라고 만든건지..

100비트(1달러 환율로 1400 원) 써도
XX가 100비트 후원했습니다. 텍스트 하나 뜨는거 전부입니다.

서드파티인 트윕이나 투네이션처럼
메세지 읽어주거나
동영상을 실행해주거나
그림을 그려주거나

이런 기능이 아예 없습니다.

그러니 누가 비트 써요

지들이 이렇게 해놓고 수익이 안난다?
그저 트코의 삽질이라고 할 수 있죠.

이게 후원을 하면 후원 메세지는 읽어주거든요.
근데 비트는 없어요.

즉 못해서 없는게 아니라 [안해서] 없는겁니다.
칼라미티
22/10/04 16:37
수정 아이콘
오잉 비트로 후원 메시지 가능하지 않나요? 예전에 트위치 열심히 볼 때 썼던 것 같은 기억인데;
타카이
22/10/04 16:44
수정 아이콘
그거 트위치에서 자체지원하는게 아니라서...
레드빠돌이
22/10/04 16:38
수정 아이콘
비트가 트코에서 만든건가요??
Lazymind
22/10/04 16:38
수정 아이콘
비트는 트위치 자체 기능입니다.
사실 한국보다는 많다는거지 해외도 많이 안써요..
레드빠돌이
22/10/04 16:44
수정 아이콘
그럼 본사의 문제네요...
Lazymind
22/10/04 16:52
수정 아이콘
트위치 전체 매출은 2.8조라는데 어차피 광고가 메인이라..
본사입장에선 왜 한국만 적자가 이렇게 심하지? 이렇게 생각할수도
데몬헌터
22/10/04 16:43
수정 아이콘
이거 마따
어서오고
22/10/04 16:53
수정 아이콘
환율이야 어쩔 수 없는거고 메세지 읽는 기능은 있습니다. 스트리머가 설정 안한거. 동영상은 솔직히 한국 트위치가 저작권 개무시하는거라 좀 민감한 문제고. 음성이 다양하다거나 다른 기능이 있다거나 하는건 비트가 솔직히 좀 떨어지긴 하죠.
22/10/04 16:45
수정 아이콘
인터넷이 지금동안 성장한게 망중립성이라는 전제가 있어서 많은 기업들, 스타트업들이 망 사용료 생각을 안하고 인터넷이라는 중립적 커뮤니티에 마음껏 기여할 수 있었기에 지금의 인터넷이 있는거잖아요? 그런데 그 전제를 암묵적으로 동의한 제공자가 지켜만 보다가 적당한 때에 그 동안 커뮤니티에게 돈을 달라 협박하는 모양새가 헬조선 어딘가에서 본 듯한 사례인것 같아서 곰곰이 생각해봤는데요. 가장 비슷한 사례가 건물주가 임대 주고 나서 장사가 잘되니 그제서야 자기가 그 가게 운영하겠다고 나가라고 하는 것이 생각나네요. 건물주에 대해서는 이구동성으로 욕을 했는데 어째서 통신사에 대해서는 반응이 이토록 미지근한건지 모르겠어요. 건물주-임차인이야 남 일지만 이건 우리 모두가 직면하고 피부로 느끼게 될 이슈잖아요?
22/10/04 16:48
수정 아이콘
아녀 망사용료는 처음부터 비쌌어요.

그래서 네이버도 동영상 서비스 안한거고, 아프리카는 그리드를 빨리 발전시킨거고, 엠엔캐스트 판도라티비 심지어 네이버Tv까지도 싹 망한거죠..

오히려 외국애들이 돈안내다가 한국의 뜨거운 맛을 첨 본게 트위치인거구요
22/10/04 16:52
수정 아이콘
와 그냥 이 나라는 근본부터가 쓰레기네요
22/10/04 17:42
수정 아이콘
다른나라도 안내진 않아요.. 1/15 정도는 낼거예요 (위에 기사에 있는데로..)

그러니까 광고 1~2개만으로도 수익이되는데 우리나라는 같은 수익낼려면 광고를 15~30개를 붙여야...--;;;
22/10/04 18:05
수정 아이콘
대신 일반사용자 기준 인터넷 비용이 싸다고 들었습니다
미국은 기가인터넷이 우리나라 2배이상 가격이라고 하더라구요.
22/10/04 18:17
수정 아이콘
미국은 우리나라처럼 인구 밀집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그만한 돈을 충분히 청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파트 하나에 줄 대면 20세대가 생기는 한국이랑 곧 죽어도 1토지 1주택 고수하는 미국이랑 배선 까는 비용이 같을리가 없잖아요
시작버튼
22/10/04 16:51
수정 아이콘
네이버 화질 구리고, 아프리카 그리드 쓸땐
네이버랑 아프리카만 오지게 까였던거 같은데...

트위치가 화질 구려지니까 통신사가 까이는 상황.
뭐 좀 그렇긴 하지만

꼬우면 뒤지시던지 수준에서 까놓고 이야기해봅시다가 되서 다행이긴 하네요.
22/10/04 19:44
수정 아이콘
트위치가 버텨지니깐 저렇게 해도 수익이 나는줄알고 그리드 쓰는 플랫폼들을 깠던거였죠.
하지만 알고보니 거덜나고 있던건 트위치였고

이제라도 이런상황이 알게되서 다행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55만루홈런
22/10/04 16:58
수정 아이콘
트위치(코리아)와 아프리카 두 기업이 망사용료 터지기전엔 트위치가 한국에서 아프리카를 찍어 누르고 있다 생각했는데
알고보니 겉은 멀쩡한데 속은 썩어가는게 트코였고 겉은 썩었는데 속은 튼튼한게 아프리카였다니 크크

트코가 그렇게 적자를 보는데 유지한게 대단하면서 720은 어쩔수없는거긴 하네요 이게 과연 해결될 일이 될지 의문
지금 상태만 유지해도 트위치는 계속 적자거든요 500억 내던게 100억으로 내려갈일은 없을겁니다 지금 보니깐 500억 내는게 900억 낼 상황와서 반대인거라 현상유지만해도 다행인데 현상유지해도 500억 내야하고 딱히 수입은 없고 크크..

아프리카가 광고나 이런저런 수익이 있어도 별풍으로 얻는 수익이 압도적이라는데 결국 여캠과 극 소수의 남캠들이 아프리카를 먹여살리네요
22/10/04 17:02
수정 아이콘
사람수만 많고(망사용료 많이내고) 별풍 수익 적은 게임방송 vs 사람수 적고 별풍수익 많은 여캠..

아프리카가 바보라서 후자에 올인한게 아니죠..
22/10/04 19:53
수정 아이콘
후자에 올인한 건 팝콘티비라고 있는데... 여캠에 올인했다고 하면 아프리카티비가 슬퍼할듯하네요.
22/10/04 19:50
수정 아이콘
정황상 아프리카도 그리드 안 쓰면 별풍으로 감당하기 힘들지 않을지요.
55만루홈런
22/10/04 20:17
수정 아이콘
당연 그리드 안쓰면 힘들죠 크크 서수길도 그리드 아니면 천억가까이 써야한다 이야기했으니...

그래도 온갖 욕 트위치와 비교질 당하면서 그리드 정착시켰고 이제 망사용료에 대해 알려진후 아무도 욕을 안하죠 오히려 이해를 하지 크크

트위치도 그리드하려다가 포기했다는데 뭐... 그리드 해야죠?
겟타 아크 봄버
22/10/04 17:17
수정 아이콘
일단 통신사가 얽힌건 99% 통신사가 양아치다 라고 간주해도 틀리지 않다는게 정계의 학설...
22/10/04 17:41
수정 아이콘
정확한 구조는 모르지만 그리드를 쓰면 낼 필요없는 금액이란 걸 보면 터무니 없는 가격 책정이라고 밖에 생각이 안 들죠.
피크타임 국내 동시접속자가 20만 정도인 트위치가 900억 내야 하는 상황, 인당 45만원 내야하는 걸 그리드쓰면 5만원으로 퉁쳐진다는 것부터가 이해가 안 갑니다. 편법없이는 시청자 한 명 잡는 비용이 40만원인 장사를 어떻게 해요.
22/10/04 19:39
수정 아이콘
유튜브나 트위치나 수익 모델은 비슷한데 (광고 - 멤버쉽,프리미엄 - 슈퍼챗 : 광고 - 구독,터보 - 비트)
수익성에서 차이가 난다면 규모와 망 사용료지, 서드파티가 결정적인 차이점은 아닌 거 같은데요.
Just do it
22/10/04 20:22
수정 아이콘
광고료 차이도 크겠지만 슈퍼챗 수수료가 30퍼가 넘는다고 압니다.
저 말이 맞으면 서드파티 차이가 맞아요. 트위치는 0에 가까우니
22/10/04 21:27
수정 아이콘
슈퍼챗보다 광고로 버는 돈이 많을 거라고 생각하는데, 혹시 한국에서 슈퍼챗으로 버는 돈이랑 광고로 버는 돈이 알려져 있나요?
제 생각엔 슈퍼챗과 비트로 버는 돈의 격차보다 망 사용료 격차가 훨씬 클 거 같아서요.
퀀텀리프
22/10/05 00:31
수정 아이콘
유투버들이 트래픽사용료 안내고 방송을 하길래 구글이 무료로 제공해줘서 그런가 했는데
망사업자들이 돈을 안받고 있었던 거군요.
동영상 트래픽이 엄청날텐데 이상하다 했는데..
그런데 망사용료 받으면 원래는 CP입장이라 유투버들이 돈내고 사업해야 되는거라서
유투버가 돈 버는게 거의 불가능하고 유투브 생태계가 무너지겠네요.
루루라라
22/10/05 14:06
수정 아이콘
국내기업 그동안 그리드 쓴다고 욕먹고 있었는데 알고보니 쓸수밖에 없던건데 이유없이 까이고 있었네요.
그동안 아무소리 없다가 해외기업이 이렇게 나오니까 이슈화 되는것도 신기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4577 [방송] 우리가 기사를 너무 믿으면 안되는 이유 [18] 머스테인11375 24/02/02 11375
494266 [방송] 공부의신 근황 [79] 무딜링호흡머신16001 24/01/27 16001
487660 [방송] 장겨울 선생 현실판 [22] Croove13909 23/09/30 13909
484178 [방송] 스포) 디피2 인상깊던 장면 [13] Avicii7621 23/08/03 7621
480646 [방송] 동경대생에게 조롱당한 호스트바 1위의 반응.jpg [73] Starlord16413 23/06/06 16413
478995 [방송] 남들이 사과할때마다 조회수오르는 사람 [12] 졸업14507 23/05/06 14507
478017 [방송] 이번엔 울산에서의 음주운전 대인사고 뉴스 입니다... [75] Croove14726 23/04/18 14726
477547 [방송] [인방] 한국 트위치 철수? 인원 대폭 감원 [38] 이호철14577 23/04/11 14577
473877 [방송] 맨시티에 천만원 배팅해서 1500만원 벌었다는 해외토토하는 스트리머.jpg [5] insane10332 23/02/16 10332
471151 [방송] 여자를 반하게 하는 남자의 매력포인트..JPG [73] 비타에듀14833 23/01/08 14833
468040 [방송] (스포?) 재벌집 막내아들 엔딩 [12] 물맛이좋아요11354 22/11/27 11354
463958 [방송] 트위치가 낸 망사용료 금액 [96] 이브이16797 22/10/04 16797
458548 [방송] 우영우 어제자 반응.JPG [145] 실제상황입니다18209 22/07/21 18209
458105 [방송] 우영우가 불편하게 느껴진 한 사람.jpg [134] 오곡물티슈13205 22/07/14 13205
441471 [방송] 넷플릭스 오리지날 영화 최고흥행작이 된 레드노티스.jpg [61] 캬라11601 21/11/29 11601
432877 [방송] d.p. 감독 전작 [35] roqur11696 21/09/10 11696
431170 [방송] 여러분의 세금으로 방송사에서 만든 것 [88] 하얀마녀17629 21/08/25 17629
428692 [방송] 다음주 놀토 연반인 게스트.jpg [45] 147410413407 21/07/26 13407
423570 [방송] 오늘자 그알에서 건진 역대급 짤방.jpg [45] 삭제됨19791 21/05/30 19791
421975 [방송] 머니 게임 BJ파이 어제자 해명 [83] 도련19167 21/05/11 19167
421867 [방송] 사나이 전태규가 눈물을 흘린 이유 [52] 삭제됨10333 21/05/09 10333
406979 [방송] 1년 전 첫방 시청률 4.4%로 시작한 드라마.gif [8] 청자켓10822 20/12/13 10822
400557 [방송] 아프리카 여캠 BJ 고충 [18] 도련14051 20/10/15 1405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