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9/06 21:37:15
Name 로켓
출처 https://youtu.be/QQnMiqwkkBc
Subject [기타] 키르기스스탄의 납치혼 풍습 (수정됨)


'알라 카추'라는 납치혼이 21세기인 지금도 존재
무려 5명 중 1명 꼴로 당한다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9/06 21:56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도 20세기엔 존재했지만 21세기엔 확실하게 없어졌죠. 사람들의 인식과 정부의 의지가 참 중요한 거 같습니다. 지금은 강력범죄로 처벌되니까요.
Foxwhite
22/09/06 21:58
수정 아이콘
옛날에는 여자를 자빠뜨렸다고 표현했다죠.

그래서 어거지로 잠자리를 같이 했던 여자들은 어쩔수없이 결혼까지 하고...(유교탓이려나는 모르겠네요)
Bronx Bombers
22/09/06 22:01
수정 아이콘
심지어 몇십년전 한국은 판사가 공식적으로 인증까지 해줬죠
Foxwhite
22/09/06 22:37
수정 아이콘
오 몰랐던 사실인데 혹시 레퍼런스가 있을까요?
Bronx Bombers
22/09/06 22:40
수정 아이콘
https://m.tv.naver.com/v/14406493

1973년 사건인데 신문기사와 방송에도 나왔던 얘기죠
Foxwhite
22/09/06 23:14
수정 아이콘
참... 시대보정이라는걸 아무리 해도 국가권력이라는게 저런식으로 사용되었다는건 치가 떨리네요.

링크 감사합니다.
포도씨
22/09/06 22:04
수정 아이콘
신성일, 이상해, 서세원, 양원경...방송에서 자랑스레 강간을 떠벌린 인간도 있죠.
진산월(陳山月)
22/09/07 03:34
수정 아이콘
오래 전 제가 겪었던 어떤 인간말종이 떠오르네요. 피지알에도 글을 썼던 것 같은데....
고물장수
22/09/07 08:30
수정 아이콘
돼지발정제 홍준표는 현역인걸요
AaronJudge99
22/09/07 00:02
수정 아이콘
처음 알았을때는 진짜 얼탱이가 없었습니다
컬쳐쇼크였어요......
요즘 시각으로 보면 얄짤없이 성폭행범인데
Foxwhite
22/09/07 00:40
수정 아이콘
그땐 집안간의 명예? 같은거라 그랬던거같아요.
당연히 그게 옳았다는 얘기는 아니구요.
방구차야
22/09/06 22:21
수정 아이콘
보쌈....
포도씨
22/09/06 21:59
수정 아이콘
전통이라는 이름하에 벌어지는 끔찍한 범죄로군요. 후진국들의 인권문제 심각한데 어떻게 도와줄 수도 없는게 안타깝습니다.
Cazellnu
22/09/06 22:04
수정 아이콘
우리도 보쌈이라고 했죠
다만 의식이 깨고 나서 없어진거죠
사울 굿맨
22/09/06 22:16
수정 아이콘
보쌈은 납치혼과는 거리가 멀다고 합니다.

조선은 성리학 국가로서 정실과 정조에 대한 관념이 교조적이었으며, 과부의 재가는 결국 조선 초 1477년(성종 8) 법적으로 금지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보쌈이라 함은 당사자간 또는 행위자와 여자의 부모간에 상호 연락이 명시적 또는 묵시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행하는 짜고 치는 고스톱이었고, 지역 사법권의 주체인 '사또' 역시 이러한 액션에 "어쩔 수 없다."라며 눈 감아주는 방편이었던 것이다.

보쌈에 으레 붙는 수식어가 '과부 보쌈'이라는 것부터가 '아무나 납치해서 오면 된다.'는 개념이 아니라는 것을 뜻한다.
키르히아이스
22/09/06 22: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키르기스스탄의 납치혼도 대다수는 이런형태라고 들었습니다.
말이 납치지 실제론 양가 합의된 사항이고 당사자도 본인이 언제 납치당하는줄 알고 있죠.
결혼을 덥썩 승낙하면 안달난 여자로 보는 시선이 있어서 그렇다고 하더라구요.

문제는 그중에 진짜 납치가 있어서 그런건데
이문제는 보쌈도 마찬가지 아니었을까요?
키르기스스탄의 풍습이 납치혼이라면
보쌈도 그렇게 말할수 있을겁니다.
피식인
22/09/06 23:18
수정 아이콘
관련 영상을 보니 저 동네도 원래 전통은 합의 된 납치인 것 같고, 합의되지 않은 납치는 그걸 악용하는 걸로 보이네요.
12년째도피중
22/09/07 02:00
수정 아이콘
보쌈이나 요바이, 거기에 흔히 고려장으로 알려진 노인유기도 다 그런 식으로 포장이 가능합니다.
고려장의 경우도 그냥 아무데나 노인을 버리는 것이 아니라 산에 움막을 만들어두고 거기에 먹을 것들을 정기적으로 가져다주는 단계도 있었다 하니까요. 또한 전염병의 우려때문에 그러는 경우도 많았고요. 사실 그렇게 따지면 노인만 버려진 것도 아닐겁니다.
지니팅커벨여행
22/09/07 08:24
수정 아이콘
고려장은 허구입니다.
12년째도피중
22/09/07 13:07
수정 아이콘
...그럼 노인유기로 하죠. 몇 번이고 반복되는 이야기지만 진짜 일제가 지배를 위해 합리화시킨갓과 노인유기는 별개입니다.
황금경 엘드리치
22/09/07 08:48
수정 아이콘
고려장은 없었던 풍습이에요
12년째도피중
22/09/07 13:14
수정 아이콘
노인유기로 합시다. 전세계에 광범위하게 있던.
제가 이런 단어 하나하나 프레임에 부딪힐 때마다 느끼는건데 뭐라도 묻은 단어는 무조건 안쓰는게 맞는거 같네요.
황금경 엘드리치
22/09/07 13:25
수정 아이콘
근데 진짜 어려워서 버리는거면 어떤 문화권이든 있는데요. 그건 문화나 풍습이 아닙니다.
오랜 가뭄이 들어서 식인이 일어났는데 그걸 풍습이라고 부르진 않아요. 그걸 일상적으로 자행할 때 풍습인거지.

우리나라 역사는 오히려 아주 오래 산 노인 있으면 나라에서 뭔가 축하해주는 문화가 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12년째도피중
22/09/07 15:44
수정 아이콘
문화라는 건 권장하는 것만이 문화가 아닙니다. 예를 들면 요양병원에 간다고 누가 축하해주냔 말이죠. 로마라고 노인공경이 없던것 같습니까. 그 형태가 달랐을 뿐이죠.
산에 가면 화전민들이 살던 집이 있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조선 후기 유민의 비율이 증가하면서 그 규모는 더욱 커져갔지요.
이런 논의를 할 수 없다면 실록에 기록된 제주남해지역의 해양유민이라든지 많은 문화적 논의들은 그냥 사장될 뿐이겠죠. 실제로 사장되고 있고요. 하긴 해적소굴이라든가 차별밖에 더 부르겠습니까.
황금경 엘드리치
22/09/07 15:51
수정 아이콘
음, 그러면 그냥 자세히 쓰면 됩니다.
그런데 다른 문화권과 달리, 혹은 유달리 특이한 풍습으로 노인 유기 풍습이 있었던건 아니라는 겁니다.
일시적인 현상이나 협소한 지역적인 것 말고 문화의 악습 운운하려면 마비키 같이 확고한것 정도는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이건 없애려고 정부 차원에서 애를 썼잖아요.
문화 라고 이야기를 하려면 잠깐 극심한 기근이 들어서 그런게 있었다거나 모르긴 몰라도 어디어디 산골에서는 있었을 수 있다 이런 것으론 좀 부족하다고 봐요.
12년째도피중
22/09/07 16:37
수정 아이콘
저는 사회적 관점에서 악습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입징입니다. 문화적 악습이니 뭐니 그런 건 그걸 고발하는 자의 입장일 뿐이고, 상황상 바꿔야 할 시기가 오면 악습이라고 이름붙여 없애는것 뿐이죠.
이게 일반론은 되지 않는건 알고 있으니 제가 그런 의미로 쓴 것이 아니라는 것만 말씀드리고 갑니다.
황금경 엘드리치
22/09/07 17:03
수정 아이콘
12년째도피중 님// 아 대충 무슨 이야긴지 알겠는데 사실 악습 이전에 풍습이라고 이름 붙이려면 뭔가 특이한 게 있어야 한다 그런 뜻이었습니다. 너무 오랜 가뭄이 들어서 먹고 살기 힘들어서 식인 이런건 풍습이나 문화가 아니라 그냥 인간의 생존본능 취재 이런 거라고 생각을 해서..
멸천도
22/09/07 10:23
수정 아이콘
이런식으로 없었던 문화가 실제 있었던 문화로 인식이 변화하는거군요.
12년째도피중
22/09/07 13:12
수정 아이콘
하.... 그러니까 권장하는 문화와는 별개란 얘깁니다. 그러니까 노인유기 문화로 하자고요. 고려장이라는 프레임과 관련된 용어는 확실히 쓰지 않는게 낫겠군요. 원...
지금의 요양병원도 조선시대 사람들이 생각하기에는 노인유기입니다.
황금경 엘드리치
22/09/07 15:52
수정 아이콘
그게 우리가 아는 고려장하고 같지는 않죠. 프레임과 관련된 용어는 안써야겠다가 아니라
원래 용어는 잘 써야 하는 건데요.
하늘하늘
22/09/07 09:38
수정 아이콘
보쌈은 과부에 특정해서 일어나는 일 아닌가요?
저시기 과부의 사회적 지위는 워낙 열악해서 보쌈이란 형태가 인권유린이라기보다 오히려 구호성격이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

미혼녀 납치에 비교할일은 아니것 같습니다.
꿈트리
22/09/07 10:18
수정 아이콘
제목이 풍습이 아니라 인습을 넘어 악습으로 바꿔야 될 듯 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2137 [유머] 썸녀가 양아치한테 작업 당하는 거 본 주인공 [7] TWICE쯔위12867 22/09/10 12867
462136 [기타] 방금 식겁했던 피지알 구글 광고 [11] BTS9688 22/09/10 9688
462135 [기타] 어느 작가의 프로데뷔 후기 [13] 퍼블레인10703 22/09/10 10703
462134 [게임] 새벽 발로란트 경기 DRX하이라이트 [5] 서린언니6180 22/09/10 6180
462132 [방송] 요즘 드라마의 암살 방법 [23] 퍼블레인12139 22/09/10 12139
462131 [유머] 여기가.. 어디오? [14] 비온날흙비린내10390 22/09/10 10390
462130 [유머] 빠져나가기 힘든 폐륜의 2지선다 [8] apothecary9100 22/09/10 9100
462129 [게임] 적과 대화하면 안되는 이유 [18] 퍼블레인12126 22/09/10 12126
462128 [기타] 모텔 업주 입장에서 추석이란 [33] 세력13256 22/09/10 13256
462127 [유머] 데뷔가수 학폭 논란 [4] 길갈11147 22/09/10 11147
462126 [기타] 펜션 보증금 [29] 니시무라 호노카12025 22/09/10 12025
462125 [유머] 한번의 실수로 인생이 나락으로 빠진 웃대인.jpg [51] 삭제됨15309 22/09/10 15309
462124 [기타] 브라질리언 왁싱 받은 피지알러 [14] 니시무라 호노카10992 22/09/10 10992
462123 [유머] 라이온스 파크 만두집 이름 [30] SAS Tony Parker 11114 22/09/10 11114
462122 [유머] 13분만에 벌어진 오싹하고 끔찍한 일.jpg [3] 한화생명우승하자10389 22/09/10 10389
462120 [서브컬쳐] 새로 나온 슬램덩크 밸런스 게임 [51] 닭강정11598 22/09/10 11598
462119 [기타] 입주민을 검열하는 관리사무소 [9] 니시무라 호노카11281 22/09/10 11281
462118 [기타] 블랙 아담 - 메인 예고편 [19] 그10번11290 22/09/10 11290
462117 [기타] 디즈니 피노키오 근황 [12] 카미트리아8516 22/09/10 8516
462116 [서브컬쳐] 디즈니 인어공주 실사화 티저 [61] 껌정9500 22/09/10 9500
462115 [유머] [추석특집] 코리안 미드 소마 feat 조상신 [8] 삭제됨7919 22/09/10 7919
462114 [서브컬쳐] 소녀전선) 성우로 인해 자기 딸을 버리겠다는 작가 [15] 닭강정8390 22/09/10 8390
462113 [스포츠] 시프트를 없앤다니 생각나는 전설의 시프트 [15] 닉넴길이제한8자10766 22/09/10 1076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