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7/18 10:53:51
Name 우주전쟁
출처 https://www.nextbigfuture.com/2022/06/mit-space-bubbles-would-fully-reverse-global-warming.html
Subject [기타] MIT 연구진이 제안한 지구온난화 방지 대책...
Space Bubbles

DRZ36SUAMFAXRG4QGGGVCNEP7U.JPG

브라질(!) 정도 크기의 우주버블 구조물을 라그랑주 포인트 L1에 위치시키면 현재의 지구온난화 기조를 되돌릴 수 있다고 하고 있습니다.
현재 지구가 받고 있는 태양복사의 약 1.8% 정도만 빗겨나게 할 수 있으면 된다고 하네요.

이거슨 바로!!!
cropped-SNOWPIERCER-OFFICIAL-MOVIE.jpg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7/18 10:55
수정 아이콘
오...지구 온난화 늦추는 방안보다 현실성 있어 보이는데요?

문제는 버블 해체 못하고 인류가 멸망하면 지구가 진짜 대망할 수 있을듯 크크
호랑이기운
22/07/18 11:36
수정 아이콘
지구는 망하지 않죠
마구스
22/07/18 10:55
수정 아이콘
근데 지금 추세를 보면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것 같음. 저런 시도라도 해봐야...
22/07/18 10:55
수정 아이콘
세계 시민들이 모두 함께 힘을 합쳐 환경 보호와 탄소 배출 절감에 힘쓰는 것보다
저게 더 현실성 있어보이긴 하네요. ;;;
담배상품권
22/07/18 11:32
수정 아이콘
그러네요. 미국 주도로 돈 걷어서 프로젝트 하는게 더 현실성있어뵙니다.
썬업주세요
22/07/18 11:44
수정 아이콘
스페이스 버블스 코인을 만들어서...
Marshall
22/07/18 15:07
수정 아이콘
도지 : 씨-익
후랄라랄
22/07/18 12:12
수정 아이콘
돈 걷을 필요 없이 딸라로 하면 걷는 효과 납니다
어디든지문
22/07/18 12:57
수정 아이콘
방금 다른 사이트에서 주드로 관련 글을 봤는데..
괜히 반갑네요 크크
부산헹
22/07/18 13:07
수정 아이콘
주드로도 나왔었나요?
윤석열
22/07/18 14:31
수정 아이콘
미국 [주도로] 해서... 하하하 너무 썰렁해서 지구온난화가 해결되어버렸습니다
비둘기야 먹쟛
22/07/18 15:46
수정 아이콘
크크크
22/07/18 17:12
수정 아이콘
코로나 사태를 보면서 전세계 힘을 합쳐 해결한다는게 얼마나 허망하다는걸 알수있죠
22/07/18 10:57
수정 아이콘
지구에 양산을 씌우자!
비온날흙비린내
22/07/18 10:57
수정 아이콘
이제 온난화 문제 해결했으니까 화석연료 펑펑 써도 되겠지 하다가 미세먼지랑 대기오염으로 작살나는 미래가..
타마노코시
22/07/18 11:44
수정 아이콘
실제로 지구온난화 초기에 이정도가 아니었던 이유가 연료사용시 미세먼지가 많이 배출되서 온난화 효과가 일부 상쇄됐는데 요즘은 건강영향 때문에 집진장치가 활성화되면서 온난화 효율(?)이 올라갔죠
데몬헌터
22/07/18 10:58
수정 아이콘
엄청난 대공사로군요;;
22/07/18 10:58
수정 아이콘
버블팝 버블팝
EpicSide
22/07/18 10:59
수정 아이콘
나나가 지구에 오면?
22/07/18 10:59
수정 아이콘
저거 만들다가 탄소 다 당겨쓸듯...
하야로비
22/07/18 11:04
수정 아이콘
저거 발사연료로 탄소 다 당겨쓸듯...
시린비
22/07/18 11:00
수정 아이콘
뭐 문제생기면 격추시키면 될...려나
사울 굿맨
22/07/18 11:01
수정 아이콘
브라질 만한 구조물이 지구로 추락하면...
아이유_밤편지
22/07/18 11:04
수정 아이콘
격추시키면 이제 운석이 10만개정도로 쪼개져서 전세계로 떨어지게 되면서 지구의 천적을 깔끔하게 해결
닉네임을바꾸다
22/07/18 11:05
수정 아이콘
라그랑주 L1이면 대충 달보다도 멀...
22/07/18 12:37
수정 아이콘
러시아의 푸모씨 궁으로 조준?!
스토리북
22/07/18 11:17
수정 아이콘
우주 버블이니까 바늘 쏘면 터져서 휘리릭 날라갈 듯.
비온날흙비린내
22/07/18 11:20
수정 아이콘
우주인들이 가서 뽁뽁이 열심히 터뜨리는 걸로 하죠
겨울삼각형
22/07/18 12:51
수정 아이콘
달보다 대략 4배먼 거리입니다
22/07/18 11:01
수정 아이콘
10년전에 과학잡지에서 비슷한 아이디어를 본듯하네요1
22/07/18 11:01
수정 아이콘
진짜 쪄죽을거 같으면 저거라도 해보겠네요.
니가커서된게나다
22/07/18 11:03
수정 아이콘
반사경 조절만 잘 하면 웬만한 핵폭탄보다 더 파괴력있는 쏠라응축빔을 날릴 수 있을거 같은데요

당신의 핵기지 개미처럼 태워버려따
22/07/18 11:18
수정 아이콘
그거시 바로 솔로몬을 작살내버린 솔라 시스템
리얼월드
22/07/18 11:03
수정 아이콘
L1 에 유지시키려면 연료 떨어지면 자리 이탈할테니 주기적으로 쏴서 보내야하는건가요???
빠커의유머노트
22/07/18 11:56
수정 아이콘
어디서 주서듣기론 라그랑주 포인트에 한번 올려두면 위치 고정이 순조로운 곳으로 알고있어요, 중력끼리 상쇄되는 구간? 정확한건 안될과학 궤도님 유튜브로 들어보시는걸 추천드려요.
그렇구만
22/07/18 12:16
수정 아이콘
그게 4군데가 있는데 그 중 가장 안정한 곳에 제임스웹이 있고 다른곳은 삐딱하면 벗어날수도 있는 곳이라고 한듯 하군요
22/07/18 13:37
수정 아이콘
L1이 가장 안정적이며 넓고, 웹 망원경이 위치한 L2는 영역이 좁다고 합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2/07/18 14:09
수정 아이콘
뭐 L5나 L4가 제일 고정이 잘되고 나머진 연료분사해가면서 해야하는데 좀만 벗어나면 튕겨나가는게 L2던가...
그래서 L5나 L4에는 작은 천체들도 줄줄히 모여있...
샤르미에티미
22/07/18 11:03
수정 아이콘
진짜 이런 극단적인 방법 밖에는 안 남은 것 같기는 합니다. 행성 이주하는 것 보다야 훨씬 쉬운 난이도겠죠. 그런데 이렇게 해서 온난화에서 좀 벗어나면 과연 인간들이 훨씬 나은 선택을 할 지 모르겠네요.
대박사 리 케프렌
22/07/18 11:05
수정 아이콘
저런거 슈퍼로봇대전에서 본적 있는거 같습니다...
DogSound-_-*
22/07/18 11:06
수정 아이콘
설국열차는 냉매 뿌렸던거 아니였나요
우주전쟁
22/07/18 11:27
수정 아이콘
원래 1.8%만 빗겨나가게 하려고 했는데 계산착오로 18%가 빗가나가는...;;
22/07/18 11:33
수정 아이콘
미국놈들이 야드파운드로 계산해서...?
22/07/18 11:10
수정 아이콘
제임스 웹 망원경을 올리기 전에 봤으면 뭔 현실성 없는 소리야 라고 했을텐데 지금은 어? 가능할거 같은데? 탄소배출 막는거 보다 현실성이 있다고 느껴지네요.
22/07/18 11:10
수정 아이콘
근데 화산이 폭발하면 폭발재가 태양빛을 가려 한랭화가 나타난다는데, 지구 대기층에 뭔가 뿌려서 햇빛 투과를 차단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alphaline
22/07/18 11:16
수정 아이콘
매트릭스..?
22/07/18 11:29
수정 아이콘
차단당하는지역은 어디로... 태평양한가운데 고정하는방식이 아니면 당하는 지역은 반대하겠죠..
타마노코시
22/07/18 11:42
수정 아이콘
실제 화산이큰게 분화하면 2년정도 영향이 나타납니다.
다만 대기층에 뿌려서 장기간 유지시키려면 성층권 이상에 날려야하는데 자칫잘못하면 대기 대류 변동이나 오존층 등의 영향이 큽니다.
그리고 그 재가 장기적으로 내려올때의 영향도 고려가 필요하고요
황금경 엘드리치
22/07/18 12:38
수정 아이콘
말씀대로 그리고 윗댓대로 황같은거 뿌리는게 제일 현재로선 실현이 쉽고 확실한데 뒷감당을 확신을 못합니다.
이선화
22/07/18 15:22
수정 아이콘
그걸 지구공학이라고 하는데 충분히 가능합니다. 다만 한번 잘못되면 그대로 멸망 확정이라 섣불리 시도를 못하는 것... 기후멸망이 초읽기로 다가오면 시도하겠죠.
22/07/18 11:14
수정 아이콘
브라질 크기라니...어마어마한 대공사가 되겠네요
22/07/18 11:21
수정 아이콘
브라질 크기면, 일반 면으로만 깔아도 억단위가 나올거같은데, 차광막에 발사비용까지 생각하면 가능성있나 의문이긴 하네요;;;;
근데 이산화탄소를 줄이는것보다 저런게 더 현실성있는거같긴 합니다;;
비온날흙비린내
22/07/18 11:22
수정 아이콘
공학 vs 사회학의 대결인가요

왠지 전자가 더 쉬운 거 같기도 크크
22/07/18 11:23
수정 아이콘
제가 국딩때 개미를 돋보기로 태워죽이면서, 큰 돋보기를 만들어서 라그랑주 포인트에 배치하면 어떨까 생각했었어요. 많은 개미를 태워죽일 수 있죠.
22/07/18 11:59
수정 아이콘
이야 더 많은 개미를 태워죽이는 돋보기라니 실용성 대박이네요! 크크
22/07/18 12:19
수정 아이콘
개미는 뚠뚠 오늘도 뚠뚠 열심히 일을 하네
망고베리
22/07/18 11:23
수정 아이콘
대규모 탄소포집이 더 현실성 있겠네요
Lich_King
22/07/18 16:18
수정 아이콘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다만 저런 방법도 있구나 정도로 이해해야 할듯 합니다.
22/07/18 19:35
수정 아이콘
탄소포집할때 에너지가 들어가서...
22/07/18 11:27
수정 아이콘
L1에 얼마나 오래 위치 시켜야 하는지도 문젠데.. 찾아보니 지구에서 L1, L2거리는 같고 각각 150만킬로미터.
연료보급과 수리는..?
22/07/18 11: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원인을 제거할 생각은 안 하나보군요. 안 된다고 보는 건가 ㅠㅠ
저거 질렀다가 예측 못 했던 부작용 나타나면
그땐 또 뭘로 어떻게 때우려고......

과학이 싼 똥을 더 나은 과학으로 치운다!
같은 논리로 진행하다가 사건사고 터진 게 분명히 있을 거 같은데,
혹시 아시는 분은 제보 부탁드립니다.
담배상품권
22/07/18 11:33
수정 아이콘
원인 제거의 가장 쉬운 방법이 전쟁이라는데서부터가(...).
jjohny=쿠마
22/07/18 11:36
수정 아이콘
이미 임계점을 넘어버린 이후라, 이제 정상적인 방법으로 원인 제거가 불가능하다는 의견들도 있기는 하더라고요.
22/07/18 11:37
수정 아이콘
아 이미 넘었나요
2025년이었던가 하여간 좀더 미래로 알고 있었는데
정말 넘었다면 뭐라도 저질러봐야 하는 상황이군요 ㅠㅠ
jjohny=쿠마
22/07/18 11:40
수정 아이콘
- 이미 넘었다는 의견
- 곧 넘어간다는 의견
- 언젠가 넘게 될지도 모른다는 의견
- 그런 거 없다는 의견

다양하게 있던데, 구체적인 데이터를 검토할 깜냥은 없어서 그냥 그런 의견들도 있나보다 하고 있습니다.
막연한 공포감이 있는데, 사실 막연하기만 해서 스스로도 좀 기분이 께림칙하네요.
눈물고기
22/07/18 11:29
수정 아이콘
스페이스X가 위성 쏴제끼는 속도 보니까,
충분히 할 수있겠다 싶어보이네요.

스타링크 위성 한달에 60개씩 쏘던데...
22/07/18 12:38
수정 아이콘
일조량 감소로 설국열차 엔딩?
김치맨
22/07/18 11:31
수정 아이콘
본문이 문과인 저에게 직관적으로 읽혀지지 않아서 구글의 도움으로 해석해봤는데

우주 버블 구조물 : 거대한 양산
라그랑주 포인트 L1 : 지구와 태양 사이의 점 이름
본문에서 말하는 바 : 지구와 태양 사이에 거대한 구조물(양산같은거임)로 태양열 일부를 막으면 온난화를 되돌릴수 있음
이게 맞나여?
눈물고기
22/07/18 11:33
수정 아이콘
22/07/18 11:34
수정 아이콘
근데 저런 양산같은 걸 띄워놓으면 지구 공전주기에 맞춰서 돌아줘야 하지 않나요? 그것도 계산 가능한 건가...
눈물고기
22/07/18 11:36
수정 아이콘
라그랑주 점이라는게 지구와 태양 중력이 평형을 이루는 지점이라, 항상 지구와 태양 사이에 같은 위치를 유지할겁니다.
22/07/18 11:38
수정 아이콘
아하 그렇군요. 워낙 모르는 분야니... 의도한 대로 될까 싶은 의구심이 생기기는 합니다만 전문가들이 어떻게든 되게 해주실..
니가커서된게나다
22/07/18 11:49
수정 아이콘
지금도 라그랑주포인트에 위성 많이 갖다 놓은 상태입니다

중력적 평형상태라 추가적인 연료소비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지구와 상대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위치라고 하더라고요
처음에 잘 쏘면 웬만하면 거기에 위치하는거죠

요즘 유명한 제임스웹도 라그랑주 l2위치로 쏜거에요
nm막장
22/07/18 11:54
수정 아이콘
크크 그러면 저 구조물 아래에 위치한 육지는 항상 일식과 비슷한 상황에 놓이는 건가요~
춥겠어요~
니가커서된게나다
22/07/18 12:04
수정 아이콘
태양빛이 좀 약한데 정도로 끝나지 않을까 싶네요

완전히 막힌 구조물이면 태양풍때문에 고정시킬 수가 없을거라 개방형 구조물이어야 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야구경기장 가면 안전그물 때문에 약간 덜보인다 정도의 느낌 아닐까 싶네요
jjohny=쿠마
22/07/18 12:04
수정 아이콘
소재도 완전 불투명한 소재가 아니고, 지구 바로 근처에 갖다 놓는 것도 아니라서 아마 그럴 가능성은 낮을 겁니다.
지구 전반에 대한 태양빛의 조사량이 조금씩 줄어드는 정도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
22/07/18 11:40
수정 아이콘
브라질 크기가 앞으로 가니까 .. 정위치에 계속 있으면 되는건가.. 전 브라질 크기인데 1.8%밖에 안된다는데 잘 이해가… 구멍이 뽕뽕 뚫려있어서 그런가…
AaronJudge99
22/07/18 11:46
수정 아이콘
브라질..이면 1.8퍼 되지 않을까요? 바다가 엄청 많은데 상대적으로 적은 육지에서 브라질만하면…
벌점받는사람바보
22/07/18 11:40
수정 아이콘
저출산,저소비 를 지향해야 하는 시대 아닐까요
22/07/18 12:3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저출산 trend는 개인의 고소비 지향이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합니다
역시 개인적으로 저소비를 전 지구적으로 실현하는 것 보다 우주에 반사판 쏘는게 난이도가 더 낮을 것 같아요
썬업주세요
22/07/18 11:45
수정 아이콘
혜성이나 우주 부유물에 쾅! 하면 어떡하죠?
방어시스템 구축이 안될거같은데
엘든링
22/07/18 11:51
수정 아이콘
소행성이 지나가다 펑 터트리면 인류의 미래도 펑 하는..
음란파괴왕
22/07/18 12:00
수정 아이콘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한 일이겠지만 뭔가 있어보이는 계획이네요.
피우피우
22/07/18 12:01
수정 아이콘
음.. 저런 방법보다 그냥 우리가 불편함을 좀 감수하고 탄소배출을 줄이는 게 훨씬 현실적이고 덜 극단적인 방법같습니다.
BLΛCKPINK
22/07/18 12:24
수정 아이콘
탈부착식으로 만들면 온도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가요
22/07/18 12:35
수정 아이콘
다이슨 스피어의 시대가 오는가
22/07/18 12:40
수정 아이콘
저는 탄소중립 정책이 조장 없이 70억명이 참여하는 조별과제라고 보기 때문에 본문의 것이 훨씬 현실성 있어 보입니다
아델라이데
22/07/18 12:46
수정 아이콘
씨스피라시 보면,

지구온난화는 결국 이산화탄소 자정능력이 떨어져서 그런거고... 이건 이산화탄소를 대부분 저장하는 바다가 고장나서 그런거고... 바다에 있는 산호초 물고기 등등... 지나친 어업 및 어업쓰레기(그물 등)으로 인한 바다생물에 이상이 생긴지 오래고, 환경단체들이 애써 이걸 외면하는건, 환경단체에 로비하고 있는 어업관련 대기업 때문이라는데.

웬지 뭔가 그럴듯한 믿음이 가더군요.
탑클라우드
22/07/18 13:10
수정 아이콘
지난 3년여 간 개발 도상국에 거주하며 느낀건데,
개발 도상국 국민들에게 자연이나 환경을 강조하며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라거나 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당장 오늘 하루를 살아내야 하는 이들에게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라거나,
전기 오토바이를 타라거나, 에어컨 사용량을 줄이라거나 이야기하기 굉장히 어렵습니다.

코로나 풀리고, 한국 다녀오고 싱가폴 다녀오면서
다시 한번 소위 선진국에서의 삶과 개발 도상국에서의 삶의 격차를 실감할 수 있었고
다수의 개발도상국들의 인구 규모도 어마어마할 뿐 아니라 출산율도 높기에,
일부 선진국 국민들이 쓰레기를 분리수거하고 플라스틱 빨대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무슨 소용이 있을까하는 회의적인 생각도 들더군요.

또한 이미 환경을 파괴해가며 성장하여 선진국이 된 국가들이
현재의 개발도상국에게 환경을 이유로 경제적인 발전을 저해하는 것도 옳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결국 지금의 상황은 과학이 해결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탄소를 포집하던, 양산을 씌우던, 플라스틱보다 더 효율적인 물질을 개발하던,
혹은 핵융합 발전을 하던...
공실이
22/07/18 15:18
수정 아이콘
그냥 핵폭탄 한 30개 어디 북극쪽에 터트려서 핵겨울 만드는게 더 쉽지 않을까요...?
던져진
22/07/18 15:24
수정 아이콘
진짜 차라리 이게 현실성이 있겠네요.

합의에 의해서 모두가 협력해 줄입시다는 안 되는거 같구요.
아구스티너헬
22/07/18 21:54
수정 아이콘
저기는 운석이 많이 모이는 자리라.. 만들어도 유지가 불가능 할듯요 한달만에 박살..
Goldberg
22/07/19 10:27
수정 아이콘
L1,L2,L3 는 불완전평형점이라 소행성(지구로 떨어지면 운석)이 모일수 없습니다 L4,L5가 완전평형점이고 소행성이 모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7024 [유머] 스포) 블랙팬서에서 한국인만 웃는 포인트 [6] Starlord12370 22/11/13 12370
466931 [LOL] 다시보는 2022 LCK 베스트코치 투표 결과 [21] Valorant9544 22/11/12 9544
466898 [LOL] 신한은행이 기분좋은 포인트 [8] Leeka10392 22/11/12 10392
466717 [기타] 여친이 포인트 쌓는 게 고민인 고등학생에게 하는 참견 [75] 안아주기13688 22/11/10 13688
466664 [기타] 극찬받는 오늘 개봉한 블랙팬서2 [31] 크크루삥뽕11548 22/11/09 11548
466263 [LOL] [흉폭한 포로] DRX 결승가는 만화 (따끈따끈) [11] Janzisuka9186 22/11/04 9186
466090 [유머] 미국에서 차에 귀중품 두지 말라는 이유 [21] 인간흑인대머리남캐13579 22/11/02 13579
464613 [게임] 이번 등급재분류의 빅웃음 포인트 [12] 김티모10631 22/10/13 10631
463924 [기타] 침투부 초대석 이동진 평론가 [10] 유나11056 22/10/04 11056
463624 [유머] 애플 2분기 매출 103조 달성 [47] Leeka11779 22/09/29 11779
463375 [기타] 코스닥 52주 신저가를 아라보자 [10] 니시무라 호노카9528 22/09/26 9528
463362 [기타] 19년전 사진으로 157억 횡재 [22] 비타에듀14682 22/09/26 14682
462901 [텍스트] (스압,썰) 아내의 판도라의 상자를 연 남자 [301] goldfish28128 22/09/20 28128
462847 [게임] 눈치빠른 블루아카이브 [20] 류지나8809 22/09/19 8809
462773 [게임] 이모님 또 그런다 [13] 인간흑인대머리남캐10858 22/09/18 10858
462468 [서브컬쳐] [드래곤볼 슈퍼: 슈퍼 히어로] 관람 후기 SNS 인증 이벤트 [9] 고쿠8064 22/09/14 8064
462221 [유머] 전선 물자 상황이 좋지 않아 물물교환에 의존 하는 우크라이나 군 [14] 겨울삼각형12543 22/09/11 12543
462187 [기타] 7일 ~ 10일 동안 확인된 러시아군의 손실 [22] 물맛이좋아요9688 22/09/11 9688
462066 [기타] [국뽕주의] 탑기어의 현대자동차 극찬 [28] 숨고르기13952 22/09/09 13952
461859 [기타] 대왕 오징어의 반전 [18] 퀀텀리프13783 22/09/06 13783
461705 [유머] 도트로 보는 유럽 기사 갑옷의 진화 [10] Farce10026 22/09/04 10026
459305 [유머] 신병 드라마 라디오 리뷰 [5] 인간흑인대머리남캐5756 22/08/02 5756
458844 [게임] 홍진호 근황.jpg [27]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1546 22/07/26 1154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