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6/28 10:45:24
Name 류지나
File #1 야근송.PNG (25.3 KB), Download : 11
출처 트위터
Link #2 https://twitter.com/molab_suda/status/1541580114353614848
Subject [기타] 앉아서 매를 버는 기관





어차피 칼퇴 못할거면 야근송을 부르라는 기관.
이걸 고용노동부가 올리고 있다는 게 유머 포인트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네이버후드
22/06/28 10:47
수정 아이콘
너나 불러라
22/06/28 10:47
수정 아이콘
경영자지원부 크크크
Rorschach
22/06/28 10:47
수정 아이콘
미친놈들인가 진짜......
22/06/28 10:47
수정 아이콘
부르라는 게 아니라 들으라는 거고... 피치못할 야근이라면 빨리 하고 퇴근하자는 건데 이런 것도 문제가 되나요
디스커버리
22/06/28 10:56
수정 아이콘
취지는 이게 맞는거 같은데 단편적으로만 보시는 분들한테 철퇴맞고 트윗 삭제했나 보네요 크크크
그림자명사수
22/06/28 10:56
수정 아이콘
틀린말을 아닌데 고용노동부 이름달고 할말도 아니긴 해요크크크
제로콜라
22/06/28 11:09
수정 아이콘
그냥 가만히 있었어야죠 크크
수리검
22/06/28 11:16
수정 아이콘
현실적으로는 야근 관련해서 법의 보호조차 제대로 받지못하고 강제로 굴려지는 경우가 많은데
말 그대로 피치못할 사정이 있을때나 해야지
야근의 존재가 당연하고 일상적인 걸로 받아들여지면 안되죠

어차피 해야할거 즐겁게 하자 ~ 라는건 하는 입장에 있는 사람이 하면 모를까
시키는 입장에서 할 말이 아닙니다
고용노동부면 그 시키는 자들을 잘 지켜볼 책임이 있는 곳인데
위에 말한것처럼 현실적으로 관리도 잘 안되고 있는 마당에
저런 소리를 하는게 문제없다고 여겨지지는 않습니다
차라리꽉눌러붙을
22/06/28 17:05
수정 아이콘
이게 맞죠
덴드로븀
22/06/28 12:28
수정 아이콘
[고용노동부]라면 야근철퇴송 인력충원송 같은걸 만들어야지 야근송을 만들면 안되는겁니다.
키르히아이스
22/06/28 12:35
수정 아이콘
경찰이 도둑맞은 물건은 빨리 잊는게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이런소리하면 욕먹겠죠. 비슷한겁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
22/06/28 14:54
수정 아이콘
비유 찰떡이네요
22/06/28 10:48
수정 아이콘
고용노동부는 야근 열심히 하겠죠?
유료도로당
22/06/28 10:58
수정 아이콘
실제로 중앙부처 공무원들은 야근 겁나 하긴합니다.. 크크
집으로돌아가야해
22/06/28 11:02
수정 아이콘
나만 당할 순 없지!
22/06/28 11:43
수정 아이콘
공무원은 수당 나오죠 크크크
류지나
22/06/28 12:57
수정 아이콘
공무원은 야근 수당이 정해져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포괄임금제나 마찬가집니다. 정해진 수당 오버해서 야근하는 공무원도 흔해요.
스카이
22/06/28 11:03
수정 아이콘
친구 보니까 공무원들 52시간 제한도 없이 일 하더라고요.
근데 단순 작업 같은 경우 엑셀 좀만 쓸 줄 알면 시간을 엄청 단축 시킬텐데, 그런걸 할 줄 아는 사람이 부서에 하나도 없진 않을텐데 괜히 나서서 했다가 온갖 일 다 맡을까봐 그런지 그냥 단순 업무를 노가다 식으로 하더라고요. 물론 이건 일반직인가 지방직인가 그렇고 중앙부처는 잘 모르겠네요.
겟타 아크 봄버
22/06/28 11:15
수정 아이콘
다 맡을까봐가 아니라 정말로 다 맡게될것 같습...
포프의대모험
22/06/28 11:17
수정 아이콘
공무원들 컴활2급 강제로 따게해야함 진짜...
Foxwhite
22/06/28 11:38
수정 아이콘
엑셀 못다루는 사무직이 있나요? 저도 지방공무원인데 퇴직 얼마 안남은 팀장님도 엄청 복잡한 수식 들어간거 아니면 엑셀 다룰줄 아시던뎅...
블레싱
22/06/28 11:55
수정 아이콘
그런 경우는 스카이님이 말한 경우처럼 누군가 선진문물(?)을 도입했고 잘 받아들였을 경우죠
스카이
22/06/28 12:11
수정 아이콘
다룰 줄 안다의 기준이 사람마다 다를 수 있어서 애매하긴 한데, 간단한 합계, 평균 같은 함수만 다루거나 if 함수도 1차로는 쓸 줄 아는 정도는 아마 다들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외에 자신에게 필요한 기능이 있는 함수 알거나 모른다면 그 함수를 찾을 줄 아느냐와 다중 if 함수 사용이나 함수의 연계를 통해 필요한 기능을 구현하는 걸 못 하더라고요.
저한테 공무원 친구가 코로나 때 구민들 접종 여부, 백신패스 유효 날짜 등 관련 자료 정리하는걸 물어봐서 이런거 할 줄 아는 사람이 부서에 없냐 했더니 할 줄 아는 사람이 없다고 했습니다. 저도 엑셀 잘 쓰진 못 해서 함수까지는 모르는데, 필요한 기능이 있는 함수 있을 것 같아 찾아서 기능 구현하고, if 함수 2~3차 정도 연계해서 만드는데 20~30분 정도 걸렸는데 제가 10분 정도 만들고 있으니까 몇만명 되는거 노가다로 그냥 하겠다고;;
기능 만들고 나면 드래그 한번이면 끝나는 건데 말이죠.
제 개인적인 경험이고 일반화의 오류일 수도 있는데, 주변 공무원 하는 사람들 보면 다들 이래요 ㅠ 뭐 사기업 다니는 사람들이라고 다들 엑셀 잘 하지는 않겠지만 공무원이 수백대 1의 경쟁률 뚫고 그러다 보니 기대치가 좀 높아서 더 실망스럽기도 하고 그런 것 같습니다.
제주산정어리
22/06/28 12:07
수정 아이콘
그게 진짜로 몰라서 그럴 수도 있지만, 대다수는 관성이거나 혹은 나 편하자고 하나 바꾸면 연결 된 다른 작업과 서식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생각하시는 것 보다 모든게 전산 친화적이진 않습니다. 오류도 있고.
스카이
22/06/28 12:31
수정 아이콘
물론 오랜된 기관일 수록 더 그런 점이 있는 것은 이해 하고 있습니다.
아자아자!
22/06/29 01:18
수정 아이콘
사람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공무원들 엑셀 다 쓸줄 압니다. 집계가 필요한 업무는 당연히 엑셀로 하고 자동화프로그램도 되어 있구요. 단순업무 때문에 야근을 하는게 아니라 단순업무를 수반한 기초데이터로 기획보고서도 써야 하고 낮시간에는 민원대응 등의 일상업무로 할수가 없기 때문에 결국 야근으로 이어집니다.
Lainworks
22/06/28 11:31
수정 아이콘
복지부 일할때 옆이 노동부여서 자주 갔는데 야근 겁나 합니다
아니 중앙부처는 야근 안하는곳 거의 없어요 진짜 몇몇 부서 빼곤
나스닥
22/06/28 11:41
수정 아이콘
노동사건 대리하는 노무사들이 밤8시에 근로감독관에게 전화걸면 사무실 전화로 받았습니다. 심지어 왜 이 늦은 시간에 전화하느냐 라는 말도 안합니다.
22/06/28 11:45
수정 아이콘
노동부 자체적으로 즐기기 위한 컨텐츠였군요.
덴드로븀
22/06/28 12:29
수정 아이콘
하다가 빡쳐서 저걸 만든걸수도...
22/06/28 10:48
수정 아이콘
진짜로 미친 놈들이네...
방과후티타임
22/06/28 10:48
수정 아이콘
진짜 광기네
갑의횡포
22/06/28 10:51
수정 아이콘
너는 그러면 안되는거 알자나
눈물고기
22/06/28 10:51
수정 아이콘
아 120시간 일하라고~
다레니안
22/06/28 10:57
수정 아이콘
회사가 좋아~
야근이 좋아~
부장님 좋아~
탕수육
22/06/28 10:58
수정 아이콘
월요일 좋아~~
자급률
22/06/28 11:24
수정 아이콘
이게 야근 관련한 제도적 사회적 반대급부가 제대로 정착된 상황이면 못할말은 아닐수도 있는데, 현실적으로 열정페이나 다름없이 야근하는 사람이 다수인 상황에서 이런 말 하면 윗분 말처럼 문제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마치 상대방 격분벨 눌러놓고 와이쏘시리어스 하는 조커처럼...
22/06/28 11:39
수정 아이콘
20대 직장인 "야근은 스포츠다."
글쓴이
22/06/28 11:51
수정 아이콘
아 어쩐지 난 30대여서 힘든거였군
WalkingDead
22/06/28 12:00
수정 아이콘
스포츠도 힘은 들죠 흐흐 야근처럼 반강제로 할 필요는 없어서 그렇지
뒹굴뒹굴
22/06/28 12:10
수정 아이콘
고용 노동부가 할 얘기는 좀 아닌것 같네요 크크크
무명헌터
22/06/28 12:15
수정 아이콘
하지만 아직까지 사라지지 않은 야근...
지니팅커벨여행
22/06/28 12:21
수정 아이콘
이름에 '고용' 들어갈 때부터 알아 보긴 했는데... 허 참... 막하자는 거군요.
22/06/28 12:23
수정 아이콘
그놈에 칼퇴는 진짜 크크
셧업말포이
22/06/28 13:07
수정 아이콘
가만히 있으면 중간은 가는데..
22/06/28 13:13
수정 아이콘
고용노동부에서 할말이 아닌건 맞지만, 근로기준법 준수여부를 관리감독 해야하는 고용노동부 공무원들이 정작 본인들은 근로기준법의 적용 대상이 아니라는 것도 아이러니한 일이죠.
22/06/28 13:25
수정 아이콘
병무청과 듀오랭 고고
내년엔아마독수리
22/06/28 13:31
수정 아이콘
고오오오오오오오오오오오요오오오오오오오오오오오옹느드부
SigurRos
22/06/28 13:44
수정 아이콘
제정신 맞나요?
트루할러데이
22/06/28 14:15
수정 아이콘
어쩔 수 없는 야근이라면 빠르게 끝내는게 맞죠.
근데 고용노동부 너네가 그말을 하면 안되지.
달빛기사
22/06/28 14:21
수정 아이콘
뭐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 인가요???
22/06/28 14:54
수정 아이콘
얘네는 "피할수 없는게 어딨어?"하고 고용자를 혼내야하는
성큼걸이
22/06/28 14:53
수정 아이콘
이전부터 느꼈는데 경찰도 그렇고 유독 저 세대 상사들이 XX송이나 댄스 같은걸 좋아해서 아랫사람한테 시켜요. 그런게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고 진심으로 믿더라구요
Jedi Woon
22/06/28 15:48
수정 아이콘
뭔가 했다고 보여주기 좋은게 저런 노래나 율동이죠.
라디오 같은 곳에서 노래 틀기도 좋고, 새마을운동처럼 노래로 사람들 홀릴수(?) 있다 생각하겠죠
22/06/28 14:56
수정 아이콘
일반 유튜버가 저런 송 만들어서 올렸다면 야근할 수 밖에 없는 사람들에게 응원 주려는 음악이구나 하고 받아들이기 쉬웠을텐데
고용노동부가 올린거라 불편하다 vs 이게 왜 불편한거냐 왈가왈부가 많은 듯
뜨거운눈물
22/06/28 15:36
수정 아이콘
고용 노동부가 저런 트윗 올린거면 국민을 멕이는거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3362 [기타] 19년전 사진으로 157억 횡재 [22] 비타에듀14682 22/09/26 14682
462187 [기타] 7일 ~ 10일 동안 확인된 러시아군의 손실 [22] 물맛이좋아요9688 22/09/11 9688
462066 [기타] [국뽕주의] 탑기어의 현대자동차 극찬 [28] 숨고르기13952 22/09/09 13952
461859 [기타] 대왕 오징어의 반전 [18] 퀀텀리프13783 22/09/06 13783
458359 [기타] MIT 연구진이 제안한 지구온난화 방지 대책... [93] 우주전쟁9637 22/07/18 9637
457004 [기타] 앉아서 매를 버는 기관 [56] 류지나10490 22/06/28 10490
455379 [기타] 드래곤볼 슈퍼 기다리면 무료 (~6/30) [17] 고쿠5965 22/06/02 5965
454783 [기타] 메갈14 레터 라이브 요약 [45] 톰슨가젤연탄구이8259 22/05/24 8259
449426 [기타] 점점 커지는 삼성폰 벤치마크 치팅사태 [124] Lord Be Goja15693 22/03/02 15693
447018 [기타] 코스피,코스닥 52주 신저가 근황 [35] 니시무라 호노카11649 22/01/27 11649
442952 [기타] 지금 가장 피눈물날 사람들 [25] 츠라빈스카야12012 21/12/16 12012
436768 [기타] 더 배트맨 2차. 더 플래시 예고편 [32] 그10번9215 21/10/17 9215
431202 [기타] 어제 어느 주식 차트 [12] 로켓11897 21/08/25 11897
431148 [기타] (주식) 나스닥 15,000 포인트 돌파 [13] Nasdaq9089 21/08/25 9089
430026 [기타] 머지포인트와 이스포츠와의 상관 관계 [3] 이시하라사토미8485 21/08/13 8485
430019 [기타] 머지 대란 터지고 난 후 다시 보니 웃음벨이 된 통계 [47] 나주꿀11556 21/08/13 11556
429947 [기타] 머지포인트 근황.jpg [85] 톰슨가젤연탄구이16951 21/08/12 16951
427997 [기타] 한국인 킹받는 육개장 먹방 [5] Croove12532 21/07/18 12532
424503 [기타] QS 세계대학순위 (6월 8일자 최신 발표) [18] 우주전쟁8268 21/06/09 8268
419520 [기타] 한국 출산율 2년 연속 '198개국 중 198등' [68] 아롱이다롱이12341 21/04/14 12341
418615 [기타] 속보) 기존 단통법 끝 [15] 취준공룡죠르디8534 21/04/05 8534
413177 [기타] 영화 알포인트 촬영지 후기.jpg [3]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9752 21/02/12 9752
410726 [기타] 한국, 독일 꺾고 美 자동차 '4위' 수입국 등극 [27] 내설수12685 21/01/18 1268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