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3/03 23:30:00
Name giants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13026442
Subject [기타] 피치가 25년만에 한 나라의 신용등급을 한번에 6단계 하향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메가트롤
22/03/03 23:32
수정 아이콘
앗-
22/03/03 23:32
수정 아이콘
국노야 1997이라 함은 IMF 외환위기를 말하는 것이냐..
Lord Be Goja
22/03/04 00:02
수정 아이콘
왜 이렇게 빨리떨어지나요 원화!
Energy Poor
22/03/03 23:35
수정 아이콘
전쟁도 안 났는데 신용 등급이 6단계나 하락한 국가가 있다?
에이치블루
22/03/03 23:35
수정 아이콘
아 잠깐 아 뼈맞았어
피식인
22/03/03 23:35
수정 아이콘
ATM 앞에 줄 서 있는 거 보니까 다들 현금 찾아두려고 하는 거 같은데 뱅크런 안 터지려나 모르겠어요.
올해는다르다
22/03/03 23:38
수정 아이콘
러시아 얘기중에 웰케 한국에도 해당하는게 많죠;
Lord Be Goja
22/03/04 00:03
수정 아이콘
러시아의 국장의 쌍두독수리는 자신들이 로마의 계승자라고 주장하는 문양입니다.
22/03/03 23:39
수정 아이콘
왜 이렇게 빨리 내리나요!
아이언맨
22/03/03 23:58
수정 아이콘
이러면 루블화로 다 가상자산 사는거 아닌가 모르겠네요.
사업드래군
22/03/04 00:00
수정 아이콘
이건 IMF의 위엄인가...
Enterprise
22/03/04 00:03
수정 아이콘
당시 IMF 총재 미셸 캉드쉬는 아직도 기억나네요
22/03/04 00:18
수정 아이콘
근데 진짜 잘 몰라서 물어보는겁니다.
외환위기 당시 어려서 잘 모르는데 그 당시 IMF에게 그정도로 두들겨 맞았어야했나요? 물론 외환보유고 상황 자체가 안습이었떤것도 맞을거고 당시 상황이 매우 안좋았던것도 맞고 미국과 일본의 지원도 받을 수 없던 상황이었던것도 대강 알고는 있는데 그걸 감안해도 그렇게까지 얻어맞아야했떤건지..(..)
Lord Be Goja
22/03/04 00: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IMF가 때리러 온게 아니라 우리나라가 살려달라고 부른겁니다
외환은 광속으로 빠져나가는데,IMF외의 모든곳에서 돈을 빌리질 못했고 담보랄것도 없으니 당연히 조건은 IMF가 음 이정도면 빌려준 돈 확실히 받겠구나! 싶은 수준까지 나빠진거죠
22/03/04 00:40
수정 아이콘
간단하게 제도권 금융에서 돈을 못 빌리게 되니까 (미국의 차관 거절) IMF라는 사채업자한테 가서 시키는대로 할테니 돈 빌려주세요 한겁니다.
에이치블루
22/03/04 00:40
수정 아이콘
95학번입니다.

지금에서야 협상이 아쉬웠다
반드시 긴축했어야 하나 하는 말이 나오는데...
정경유착에 의해 죽었어야 할 이익없는 기업들이 싹 정리된건 이후 성장의 여력을 만든 것이라고 평가합니다.

체질 개선 많이 됐죠..
지금 우리나라에서는 일단 이익을 못내는 사기업이 살아남기 힘든 구조이고,
다들 이익이 있어야 기업이 성공한다는 걸 상식으로 생각하잖아요?
당시에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다만 일반 국민들이 고생이 많았습니다.
그 당시 한국이 그런 상황에 처음 놓여져서 패닉이 엄청나게 심했어요.
거기에 다른 아시아 국가들도 연타로 외환위기여서 배짱 튕기고 할 여력이 없었습니다.
그래도 1~2년만에 많이 리커버리 한거여요.

무엇보다 외환보유고가 있어야 뭘 하는데
매년 80억 달러 넘는 무역적자로 어디서 돈이 들어올 수가 없었죠.
마지막 97년에는 200억 달러 넘는 적자가 났고요.

현재는 늘 300~500억 달러 무역흑자를 내고 있지만 그게 전부 98년 이후에 정착된 기조입니다.
그 전에는 우리나라는 언제 무역흑자가 날까...했었지요. 격세지감입니다.
AaronJudge99
22/03/04 01:15
수정 아이콘
진짜 한국전쟁 이후로 탱크에 대한 트라우마가 생겨서 국군이 그토록 화력을 중시한다는 우스갯소리가 생각나네요…imf의 트라우마 크크 ㅜ
22/03/04 09:52
수정 아이콘
국민들은 '나라빚', 정부는 환율에 대한 트라우마가 생겨버린..
서린언니
22/03/04 01:59
수정 아이콘
그때는 '사업을 무슨 자기돈으로 해? 은행에서 빌려서 하지'
라는 말이 당연했습니다.
웬만한 회사는 부채율이 300 ~500% 이랬어요
쵸코커피
22/03/04 02:44
수정 아이콘
당시엔 세상 망하는 줄 알았습니다. 그리고 그때 정말로 실책을 했으면 아르헨티나 꼴이 되었을지도 모릅니다.
IMF로 인해 많은 게 바뀌었지만, 신용과 외화관리의 중요성을 배운 것만은 정말 큰 소득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도 국가가 외화 유출 제한 하는 거 불평하는 젊은 친구들이 보입니다만, IMF를 겪었으면 그런 불평따윈 못할겁니다.
아이군
22/03/04 03:22
수정 아이콘
1. 일단 직설적으로 말하면 외환보유고가 0가 되면 그때부터 외채를 값을 수가 없습니다. 다른말로 디폴트죠.
그리고 외화가 없으니깐 외국 물건도 살수가 없구요(ex [석유])

2. 그래서 외화를 빌려야 했는데 일본은 (당연히)거절했고, 미국이 거절한 것은 한국 사회에 엄청난 충격이었습니다.(한국에는 Tough Love가 필요하다..) 여담이지만, IMF -> 안톤오노 -> 미선이효순이 사건의 시대의 한국인들은, 지금 사람들이 이해하기 어려울 만큼의 강렬한 반미감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3. 그래서 결론은 IMF...... 솔직히 지금 생각하면 억울하기는 합니다. 그 전으로도 후로도 IMF는 우리에게 건 것 만큼의 가혹한 조건을 걸지 않았으니깐요. 뭐 좋게 표현하면 그 후로 한국의 글로벌 금융에 대해서 이해하기 시작했고,(종금사로 돈 놀이한 것은 지금 보면 진짜 어이가 없을 정도입니다.) 나쁘게 이야기 하면 한국 사회 양극화의 시작이었죠...
집으로돌아가야해
22/03/04 10:55
수정 아이콘
실례지만 제 친구 중에서도 "돈 값아!" 라고 쓰는 애가 있었습니다. 왜 받침이 비읍시옷이냐고 물어보니 value의 개념이니 값 아니냐고 반문하더군요. 속으로 얜 뭐지? 하며 웃었는데 그 이후로 저도 헷갈리기 시작하더군요;;
과수원옆집
22/03/04 05:49
수정 아이콘
평이 갈리긴 하는데, 전반적으로 IMF가 한국에게 좀 과하게 요구했다는 이야기가 많습니다. 그 정도까지 안했어도 되는데 한국에 대해 잘 몰라서 그랬다고…

물론 그때 이후 체질개선이 잘되어서 잘 된건 맞지만 당시 흘려야했던 사람들의 눈물을 고려하면 좀 과도했죠.
22/03/04 03:56
수정 아이콘
Imf 빠르게 회복했다고 하지만 그때는 몰랐지만 출산율이 이렇게박살나게된 구조가 만들어진 기간이라고 생각합니다
도들도들
22/03/04 09:17
수정 아이콘
노동시장이 양극화, 이중구조화된 출발점이죠. 경제지표는 획기적으로 개선됐지만 실제 국민의 삶과 정신은 썩어들어가는 걸 보여주는 게 출산율이 아닐까 합니다.
프랑켄~~
22/03/04 09:50
수정 아이콘
사실 우리나라 상황은 IMF 이전과 이후로 극명하게 나뉘죠.. 저는 아직도 우리나라는 IMF여파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봅니다.
22/03/04 09:55
수정 아이콘
한국전이후 제일 영향을 많이 준 사건인거같아요.
'좋았던 시절'의 끝이자 한무 불경기 시작. 아이엠에프 이전엔 어려서 잘 몰랐지만 그 이후론 뉴스에서 경제가 호황이란말을 한번도 못들어본듯해요.
22/03/04 12: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이엠에프가 돈 안빌려주면 디폴트나 모라토리엄 선언하는 건데 최근 30년간 디폴트 선언해고 멀쩡한 나라가 없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49628 [유머] 한산해도 너무한산한 하코다테(500인승 크루저 전세?) [32] League of Legend6577 22/03/05 6577
449627 [LOL] [루머] 랭겜에서 듀오 큐 삭제 고려 중 [34] BitSae6560 22/03/05 6560
449626 [게임] [철권]???:마!!7연속 우승해봤나??(무릎이...또??) [13] kogang20015326 22/03/05 5326
449625 [기타] 도시에 핵폭탄을 터트리면 어떻게 될까요? [40] League of Legend11853 22/03/05 11853
449624 [유머] (19) 성향 테스트.html [53] KOS-MOS11816 22/03/05 11816
449623 [유머] 이제 시나리오 어떻게 짤지 궁금한 게임 [39] 형리9774 22/03/05 9774
449622 [유머] 엄마! 저 아저씨 갤럭시 쓴다? [27] 소믈리에9378 22/03/05 9378
449621 [유머] 미사일시스템 견인해가는 우크라이나 농부 [29] TWICE쯔위9865 22/03/05 9865
449620 [기타] 우크라이나 하르키우 탈환 성공 [57] TWICE쯔위12104 22/03/05 12104
449619 [유머] 올라가는 길도 무서운 별장 [4] League of Legend6708 22/03/05 6708
449618 [기타] 별이 이렇게 크면 안될 것 같은데... [25] 우주전쟁8854 22/03/05 8854
449616 [기타] "역대 가장 주목받는 갤럭시가 될 것" [15] Rain#17703 22/03/05 7703
449615 [기타] 449582번글 관련) 러시아 주식전문가가 건배한 방송 해석본 [8] giants6218 22/03/05 6218
449614 [기타] 안드로이드 벤치마크 근황 [6] Danpat5665 22/03/05 5665
449613 [유머] 벤치마크 명예의 전당에 오른 삼성 [14] 한국화약주식회사6404 22/03/05 6404
449612 [유머] 폰X브, 히X미가 러시아 퇴출한.eu [5] KOS-MOS7261 22/03/05 7261
449610 [기타] 긱벤치 갤럭시s10시리즈 이후 모델 퇴출 [56] 저스디스9161 22/03/05 9161
449608 [유머] (15) 안 돼 잠깐만 [10] KOS-MOS9146 22/03/05 9146
449607 [유머] 가라 고라파덕! 물대포! [4] KOS-MOS5885 22/03/05 5885
449606 [LOL] '사전투표' 뜨거운 열기… 첫날 최종 15.57% '역대 최고치' [9] 어서오고7235 22/03/05 7235
449605 [기타] 삼성 GOS 잠수함 패치 가능성 [27] PilgRim8074 22/03/05 8074
449604 [기타] 유니텔 서비스 종료예정 [21] TWICE쯔위7411 22/03/05 7411
449603 [유머] 한국 사람만 읽을 수 있는 리뷰 [11] 어지러운안개8431 22/03/05 843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