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3/02 17:22:45
Name Lord Be Goja
File #1 치팅.png (283.6 KB), Download : 11
File #2 치팅_(2).png (218.2 KB), Download : 4
출처 토이타
Link #2 https://twitter.com/jfpoole/status/1498890783679815684?cxt=HHwWiIC95b3OkM0pAAAA
Subject [기타] 점점 커지는 삼성폰 벤치마크 치팅사태 (수정됨)




jjyOxPF.png
https://gigglehd.com/gg/mobile/11842463
------------------------------------------------------------

삼성폰의 원ui4.0부터의 GOS성능제어가 사실상 벤치마크 치팅이라고 논란이 생김.

그 내용이 뭐가 되었든 게임으로 인식만 되면 무지성으로 성능뿐 아니라 해상도까지 뚝 떨어트림
->s22/21 시리즈 마케팅 포인트에는 고화질화면도,게임도 들어가 있음.

주말부터 뜨겁게 달아오르더니 결국 긱벤치 제작자도 일반적인 쓰로틀링제어가 아닌 패키지명으로 성능을 조절한다는걸 알게됨.

확인할수 없는,익명의 소문에 의하면 삼전의 높으신분에게도 성토분위기는 전달되었다고 합니다



l9JJWk8.png

양심이 있으면 앞으로 광고에서 게임은 이야기도 꺼내지 말거나,중국 게임용 플래그쉽들처럼 방열에 투자 빵빵하게 하거나..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葡萄美酒月光杯
22/03/02 17:25
수정 아이콘
무슨 말인가요? 왜 게임이라고 인식하면 성능을 내리죠? 너무 뜨거워져서?
Lord Be Goja
22/03/02 17:27
수정 아이콘
뜨거워지기 전부터 그냥 최저 성능으로 내립니다
폰을 차가운환경에서 써도,게임의 부하가 적어도 무조건 최저성능
葡萄美酒月光杯
22/03/02 17:29
수정 아이콘
그래서 어떤 좋은 결과를 얻나요? 이런건 최대한도로 점수 높여야 되는거 아닌가요?
Lord Be Goja
22/03/02 17:30
수정 아이콘
벤치마크 프로그램들은 최고 성능으로 돌아갑니다
게임은 객관적인 벤치마크 비교가 힘들기 때문에 눈속임기술로 커버치죠
(해상도 낮추기,프레임 더블링등)
s22시리즈나 21시리즈나 동일 ap를 채택한 중국 플래그쉽폰들보다 방열소재가 덜 들어가있어요.
22/03/02 17:33
수정 아이콘
저도 짤만보고 헷갈려서 찾아보니까 벤치마크 할 때는 GOS off 로만 돌아가고 게임 할 때는 GOS가 on 되는 모양인데, 강제로 GOS on 시켜서 벤치마크를 돌려보니 점수가 낮아지더라 하는 얘기 같네요.
기무라탈리야
22/03/02 19:13
수정 아이콘
그리고 강제로 GOS on 시키는 방법이 벤치마크 프로그램 이름을 [원신]으로 바꾸는 거였다는 거죠...
박수영
22/03/02 17:31
수정 아이콘
발열때문에 안그래도 성능이 다운되는 문제가 있어서 약간의 락이 걸려있었는데 게임옵티마이징서비스(GOS) 앱 때문입니다 저 앱이 게임으로 인식되는 앱이 켜지면 자동으로 활성화하며 초당 프레임 수와 GPU 성능을 조절해 화면 해상도를 절반으로 강제로 떨어뜨리는데 on/off 기능이 없이 강제로 사용되게 됩니다
ComeAgain
22/03/02 17:25
수정 아이콘
야호, 기존 폰 사용자에겐 사실상 성능 업그레이드...
22/03/02 17:29
수정 아이콘
오늘도 제 S10은 아주 건강하네요..... 크크크크크
22/03/02 17:27
수정 아이콘
샘숭아...
스덕선생
22/03/02 17:29
수정 아이콘
애플이 자기들만의 시스템을 구축해서 비효율적이라고 비웃음을 들었는데 결과적으론 최적화 노하우 등에서 압도적인 경험을 쌓은 셈이네요.

삼전은 맨날 모 사장탓만 하던데 한두번이면 모를까, 계속되면 윗선에서도 그걸 좋게 받아들이는거죠. 플래그십 샀는데 광고보고, 원가절감한다고 과열방지도 안되는걸 써야하는게 웃깁니다.
포프의대모험
22/03/02 17:30
수정 아이콘
펌웨어로 풀고 제2의 화룡이 되겠네요
22/03/02 17:30
수정 아이콘
이거 미국에서 과징금 크게 물수도..
22/03/02 17:30
수정 아이콘
s20이후로 실질적인 성능향상은 언제쯤..
돈테크만
22/03/02 17:31
수정 아이콘
그냥 on/off만 넣어서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게만 해줬어도..
벌점받는사람바보
22/03/02 17:31
수정 아이콘
이놈들 보게 --
대박났네
22/03/02 17:31
수정 아이콘
S22 참아내고 폴드4 한번 존버하고 있는데 얘는 문제없겠죠?
박수영
22/03/02 17:33
수정 아이콘
소용없습니다 갤탭에도 GOS가 들어가는 마당이라
대박났네
22/03/02 17:38
수정 아이콘
아이고 이런...이런 일이 반복되는건 뭐가 문제일까요
단순히 삼성에서 설계를 못하는 거라 봐야하나요?
퀄컴칩의 문제인가
아니면 윗선 누가 출동하네 마네 하는거 보면 내부 시스템 문제인가
박수영
22/03/02 17:4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론 삼성 기술력 한계라고 보는쪽이긴 합니다만

이정도면 샤오미도 못쫓아간다고 생각하거든요
덴드로븀
22/03/02 17:47
수정 아이콘
그냥 복합적이라고 봅니다.

엑시노스를 잘만들었으면 발열제어도 하고 성능도 적당히 제어하면 되는건데 폭망했고,
사용자들이 원하는대로 풀성능으로 게임 돌리게 하자니 혹시라도 발열&과부하로 배터리 문제라도 생기면 [노트7] 의 악몽이 떠오르죠.

그러니 나온게 G!O!S!
린 슈바르처
22/03/02 17:32
수정 아이콘
전 게임을 안해서 모르겠는데 이건 좀 심해요.. 완전 날조죠
22/03/02 17:33
수정 아이콘
애플 배터리게이트 급 사건이 된듯..
뜨거운눈물
22/03/02 17:34
수정 아이콘
태문이형 이거 뭔데?
삭삭삭삭삭
22/03/02 17:36
수정 아이콘
노트7이 삼성에게 얼마나 큰 트라우마인지 알 수 있는..
멋진신세계
22/03/02 17:38
수정 아이콘
하... S21이 희대의 망폰으로 소문났으니 더 잘 만들 줄 알았는데 치팅 실력만 늘었다니요..
캬옹쉬바나
22/03/02 17:38
수정 아이콘
와 제대로 성능 사기치고 판 꼴이네요..
인생은서른부터
22/03/02 17:39
수정 아이콘
삼성 티비에 광고 좀 안나오게 해주세요 제발제발
홈버튼 누르면 왜 광고배너가 있죠
22/03/02 17:54
수정 아이콘
스마트티비 말씀이신가요? 허
인생은서른부터
22/03/02 17:56
수정 아이콘
21년형 neo qled 입니다 스마트티비 맞습니다..
22/03/02 17:58
수정 아이콘
갤럭시 기본앱 광고로 그렇게 욕을 먹고도..
포프의대모험
22/03/02 17:40
수정 아이콘
쓰로틀링땜에 프레임 떨어지면 아이폰이랑 비교해서 혹평날거고
가변프레임은 되도 게임 돌리는 중간에 가변해상도를 구현하기는 어렵고
어차피 일반유저 대부분은 막눈이니 첨부터 저해상도로 뿌려버리겠다는건데
그래도 방법을 좀 세련되게 찾았어야지... 패키지명에 반응하게 만들면 어카니..
22/03/02 17:42
수정 아이콘
또 긱벤치는 믿을 수 없다는 이야기가 나올 때가 됐는데...
박수영
22/03/02 17:44
수정 아이콘
네이버 카페에선 그래도 s23 살거잖아? 시전중
22/03/02 17:43
수정 아이콘
무슨 성능을 거의 반토막씩이나
기존 S시리즈마저 성능 깍아내고...
그리고 제값 받고 크크크
디자인이네 색상이네 눈가리고 아웅...
22/03/02 17:44
수정 아이콘
이제 이름만 프리미엄인 원가절감폰이네요.
덴드로븀
22/03/02 17:44
수정 아이콘
엑시노스도 망했으니 s22 도 GOS 건으로 쳐맞고 망해서 박살 좀 난 다음 추진력 얻어서 2년내에 많이 발전했으면 좋겠네요.

세계굴지의 폰회사에서 내놓은 150만원짜리 폰이 원신 60fps 도 못돌리는 현실이라니 크크
하이버리시절
22/03/02 17:45
수정 아이콘
중국 욕할게 아닌 상황
우리는 하나의 빛
22/03/02 17:46
수정 아이콘
원신의 패키지명을 벤치마크 앱으로 바꾸고 게임이 아닌 걸로 인식시키면 기기의 성능을 한껏 끌어내서 플레이하는게 가능하다는 거군요. 발열이야 뭐..
좋게 말하면 발열로 인한 폰 성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한거지만.. 나쁘게 말하면 발열 문제가 해결안된 만들다 만 폰, 혹은 벤치마크로 성능을 부풀린 폰이라는 거네요?
22/03/02 17:46
수정 아이콘
프리미엄 폰이라고 하는 것도 웃기게 됐네요

성능 면에서 아이폰이랑 비교불가
타츠야
22/03/02 17:46
수정 아이콘
이거 처음으로 이슈 제기된 걸 보고 느낀 게, 최종 소비자의 입장에서 고민을 안 했을리는 없는데 왜 이런 결정을 하게 되었냐는 의문입니다.
특히 본문 마지막에 GOS를 On/Off 할 수 있는 옵션만 제공했어도 오버히팅은 고객 사양 선택에 의한 것임 이렇게 할 수 있는데 왜 그걸 제공 안 하는지.
윈도우즈도 파워 옵션에 고성능을 선택하되, 배터리 시간 줄고 팬 소음 증가할 수 있음 이렇게 알려주고 선택하게 하는데.
박수영
22/03/02 17:48
수정 아이콘
안전엔 타협이 없다 라는 말로 진짜 이걸 넘어갈 생각이라면
타츠야
22/03/02 17:52
수정 아이콘
그 말 어디서 많이 들어본 것 같은데요? 크크
박수영
22/03/02 17:57
수정 아이콘
이번에 삼성관계자가 실제로 한말이죠 크크
타츠야
22/03/02 18:03
수정 아이콘
검색해보니깐 비슷한 발언이 과거에 많더라구요 크크
덴드로븀
22/03/02 17:48
수정 아이콘
[노트7] 의 트라우마가 너무 강력하게 자리잡고 있다고 봅니다. 그땐 정말 어마어마했으니까요.
타츠야
22/03/02 17:52
수정 아이콘
그렇다는 것은 S22에도 잠재적인 위협이?
덴드로븀
22/03/02 17:54
수정 아이콘
아마 GOS 없이 풀성능 테스트시 불나거나 그러진 않았겠지만
너무 심한 과열이나 기타 이슈 등으로 인해 발매후 분명 문제가 될수도 있다는 리포트가 있었을테고,
그런건 사전에 다 차단하라는 경영진의 판단이 있었겠죠.
타츠야
22/03/02 17:56
수정 아이콘
저도 동의합니다. 그런데 사전에 차단해서 저렇게 성능을 낮춰버리면 이런 후폭풍은 또 어떻게 감당할지 대안은 마련했을지 의문이네요.
삭삭삭삭삭
22/03/02 17:48
수정 아이콘
옵션이 있어도 터지면 곤란한건 삼성측이니까요
타츠야
22/03/02 17:54
수정 아이콘
이거 막아놨어도 누군가 루팅으로 풀어낼 것 같은데 경고문이 없으면 이게 또 제조사 책임일 수 있거든요. 발열이 어느 레벨 이상으로 올라가서 폭발의 위험이 있으면 그렇게 되지 않도록 기구 및 회로 설계를 하는게 정석일 텐데 말이죠.
삭삭삭삭삭
22/03/02 17:57
수정 아이콘
기기 최고성능을 뽑아내지도 못해, 발열관리도 못해, 폭-발엔딩이 나는 기기라면
경고문이 써있다 해도 이미지 작살나는건 삼성이 되죠.
타츠야
22/03/02 18:02
수정 아이콘
"최고성능도 안 되고.. 발열관리도 안 되고. 내 생각에 이 안에 배신자가 있다.이게 내 결론이다. 내 돈 어딨어? 아~ 잘 모르시지?"
S22를 산 곽철용...in 타짜.
22/03/02 17:50
수정 아이콘
테스트에서 GOS 풀었을때 폰이 폭발했나봅니다. 안전어쩌고 하는거 보니.. 분명
타츠야
22/03/02 17:54
수정 아이콘
윗분들 댓글까지 종합적으로 미뤄볼 때, 그 가능성이 상당히 있는 것 같습니다. 어지간하면 안 넣고 싶었을 텐데 넣은 걸 보면.
예루리
22/03/02 19:16
수정 아이콘
저온화상 온도대까지 올라갔다는 루머가 있습니다.
22/03/02 23:00
수정 아이콘
어우...더 무섭네요
박수영
22/03/02 17:47
수정 아이콘
잇섭이 샤오미랑 갤럭시랑 비교하는 영상 준비중이라고 해서

그거 기다려보는중입니다 이미 마음은 삼페고 통녹이고 뭐고

아이폰으로 넘어갔지만 그래도 확인은 해봐야겠다 싶어서
눈물고기
22/03/02 17:48
수정 아이콘
이거 미국에서 이러면 소비자 기만으로 소송당할텐데...
이혜리
22/03/02 17:50
수정 아이콘
게임을 안하면 되는거죠?
휴대폰 발열 때문에 폰 게임 아예 안하는데..
타츠야
22/03/02 17:58
수정 아이콘
게임이 주목적이긴 한데 고화질 동영상도 발열을 일으키면 게임으로 간주해 성능을 낮추겠다는게 GOS라 다른 앱도 안심은 못 합니다.
22/03/02 17:52
수정 아이콘
이거 완전 사기친거나 진배없는데, 오목교전자상가에서 삼성 직원들 데리고 인터뷰한거보니 진짜 기가 차더군요. 안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조치. 안전과 타협할 수 없다 어쩌구 저쩌구. 그럼 미완성이란 이야기인데 출시하지 말아야지.
물론 결정권자가 아닌 일반 직원들이 무슨 죄가 있냐마는 그런 인터뷰를 하고 앉아있는 걸 보니 얼마나 이 사태를 우습게 보고 축소하려고 하는지 알겠더군요.
거기에 웃긴 점은 s22시이즈에 gos를 걸어놓으니 전세대, 전전세대 게임 벤치가 최신작보다 좋을 것 같으니 ui4.0업뎃때 아예 대부분의 기종에 gos를 강제시킨거. 삼성이 얼마나 의도적이고 졸렬한지 잘 느낄 수 있었습니다.

저도 폰은 계속 갤럭시 시리즈를 쓰고, s22울트라 예약했지만, 저건 진짜 전세계적으로 소송 제대로 당했으면 싶습니다. 악랄하게 사기친 꼴이니
타츠야
22/03/02 17:57
수정 아이콘
ui4.0업뎃때 아예 대부분의 기종에 gos를 강제시킨거
-> 이건 몰랐는데 다른 기종에도 적용된 건가요? 우와 그럼 진짜 대박인데요.
박수영
22/03/02 17:59
수정 아이콘
네 대부분 다 들어갔어요 사건이 좀 복합적입니나
타츠야
22/03/02 18:03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진짜 어이가 없네요.
박수영
22/03/02 18:05
수정 아이콘
정확히는 one ui 4.0 적용된폰이니까

최신폰엔 다 들어갔고 OS자체에다가 박아버려서

사용자가 어찌하지 못한다가 핵심
타츠야
22/03/02 18:27
수정 아이콘
아니 롤백도 안 되는 거네요 그럼....
22/03/02 19:26
수정 아이콘
이래서 계속 one ui 4로 업데이트 하라고 떴던 거네요...
하지 말걸 그랬나 ㅠㅠ
22/03/02 17:59
수정 아이콘
안전과 타협할 수 없어서 신뢰와 타협을 했습니다!
22/03/02 17:55
수정 아이콘
GOS이슈된게 몇년인데, 이걸 고칠 생각은 안하고 -_-... 물론 스냅때문에 어쩔 수 없이 조율했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뻔히 까일꺼 알면서.... 고성능 사양이라고 속이고 그러는지 모르겠어요...
BlueTypoon
22/03/02 17:59
수정 아이콘
프리미엄 폰을 게임용으로 보기 때문에 문제가 커보이네요.
배고픈유학생
22/03/02 17:59
수정 아이콘
근데 벤치마크 10번 돌리는 극한 상황에서도 수치저하는 거의없던데, gos설정은 하게 만들었어야죠.
22/03/02 18:02
수정 아이콘
그래도 수면위로 올라오니까 대응을 하네요
자국회사 기기가 이런건 좋은거같아요 국내여론을 마냥 무시는 못하니까...
22/03/02 18:03
수정 아이콘
이건 자국에선 걍 봐주기 수준으로 지나가지만, 해외에선 치팅으로 간주되면 배상금이...
22/03/02 18:04
수정 아이콘
애플 배터리 게이트는 보상은 둘째치고, 배터리 수명 닳더라도 풀어버리면 된다는 선택지가 있었는데..
삼성은 저걸 풀어버리면 어떤 사이드 이펙트가 나올지..
22/03/02 18:05
수정 아이콘
코코넛 잘못도 50%이상
요기요
22/03/02 18:05
수정 아이콘
헬지폰 쓰는 나의 승리네
대체공휴일
22/03/02 18:09
수정 아이콘
내 갤10이 롱런하네~ 폰욕심 없어서 다행입니다 크크크
이안페이지
22/03/02 18:13
수정 아이콘
올바른 방법으로는 애플은 커녕 중국제품과도 경쟁하기 어려웠던 거네요.
wersdfhr
22/03/02 18:15
수정 아이콘
내 첫 사전예약 s22 울트라가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칸쵸는둥글어
22/03/02 18:15
수정 아이콘
드디어 사장 짤리나요
22/03/02 18:18
수정 아이콘
어우 삼전 잘 팔았다...
갑의횡포
22/03/02 18:18
수정 아이콘
그러니 그냥 호구 되더라도 애플을 사란 말입니다.
삭삭삭삭삭
22/03/02 18:21
수정 아이콘
이제 누가 호구지??
좋습니다
22/03/02 18:19
수정 아이콘
근데 전자기기에서 말없이 성능제한 걸어놓는 경우는 은근 있지 않나요??
애플도 베터린가 뭐에 따라서 cpu성능제한 걸고 했던거 같은데 그때랑 반응이 사뭇 다르네요
22/03/02 18:24
수정 아이콘
실제로 그때 애플도 욕 많이 먹었지요.

이번 사안은 유저에게 선택의 여지를 주거나, 아니면 걍 무조건 제한이 걸리게 해 놓았으면 그러려니 할 텐데, '벤치마크에서는 제한이 없으니까' 가짜 벤치로 사람들 속이려고 한 거 아니냐는 이야기를 듣는 거죠. 게임 안 할 거면 사실 플래그십 성능이 필요한 경우 별로 없으니까요.
그리고 이게 계속 불거지고 있는 안드 진영의 성능 문제(발열과 전성비를 포함해서)랑 엮이니까….
좋습니다
22/03/02 18:28
수정 아이콘
사실 그래서 잘 이해가 안갑니다.
핸드폰으로 극한의 성능필요한 게임 하는 사람도 별로 없을 거고,
화면 밝기 선택하듯이 선택하게 해주면 될건데 왜 저런짓을 하는지
22/03/02 20:41
수정 아이콘
일단 기본적인건 벤치 치팅이죠. 이건 빼박이고,
더 최악은 발열 문제 이슈가 있다거나 하는 거겠죠.
도라지
22/03/02 18:37
수정 아이콘
그래도 애플은 최신폰을 건드리진 않았어서요.
iPhoneXX
22/03/02 18:46
수정 아이콘
애플 쪽도 문제가 있는건데 사실 대상이 1~2년 지난 애들인가 그랬을껍니다. 이제 출시 하는 애들 가지고 며칠에 걸쳐서 사기를 쳤으면 똑같이 혼났을껍니다.
메가트롤
22/03/02 18:20
수정 아이콘
영원히 패배하는 그 회사...
22/03/02 18:21
수정 아이콘
게임할 분은 저가 안드폰에 아이패드 미니를 사십시다.
22/03/02 18:25
수정 아이콘
그래서 통화녹음, 안드 포기할거야? 이 가불기 때문에 삼성 계속 쓸 수 밖에 없는게 아쉽네요. 그래도 이젠 s시리즈 말고 a시리즈 살듯
푸크린
22/03/02 18:28
수정 아이콘
GOS 예전부터 말 많았지만 이번엔 제대로 민심 폭발했죠
아이폰+패드 쓰다 탭s8울트라 쓰려고 폰까지 기변했고 게임 안 해서 직접적 타격은 없긴한데
이거 놔두면 게임만 아니고 다른거에도 제한 걸 수 있다는게 어이털리고
이딴게..플래그십?
22/03/02 18:28
수정 아이콘
리콜하든 뭘하든 해줬으면..
노트10플에서 울트라 갈아탔는데 이런이슈라니
박수영
22/03/02 18: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번에 터진게 광고 때문에 그렇습니다

다들 원래 알음알음 의심이나 사실을 알고 있던 사람들도 좀 있었는데

이번에 칩셋 광고할때 "모바일 게임에 최적화된 환경으로 승리의 기쁨을 선사할 것입니다"

이렇게 광고해놓고 뒤통수 친거죠

왜 갤럭시22를 리뷰어들한테 미리 뿌려놓고 벤치마크를 올리지 말라고 한건지 이제서야 이유가 드러난거죠
Lord Be Goja
22/03/02 18:50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거 보고 생각나서 그 광고 추가했습니다
단비아빠
22/03/02 18:53
수정 아이콘
누가 봐도 치팅인데 처음에 실드 여론이 상당한걸 보고서 정말 깜짝 놀랐었습니다...
삼성에서 직접 댓글 조작했을지도 모르지만...
아무리 내로남불이 전국민에게 생활화되었어도 이런것까지..? 하고 놀랐었는데
그나마 정상으로 돌아오는 것 같아서 다행입니다. 뭐 국내가 아니라 외국발이라
이걸 자정이라고 봐야할지는 모르겠지만..
저번에 삼성 욕했다가 신고받아서 삭제된 댓글도 하나 있고... 삼성이 참 관리는
꼼꼼하게 잘하나 봅니다.
돈테크만
22/03/02 20:09
수정 아이콘
삼성이든 애플이든 까나 빠가 많다보니 쉴드치는 사람도 많겠죠.
인증됨
22/03/02 20:27
수정 아이콘
이름난 남초여초 다 바이럴 장난없죠
뭐 애플빼면 업계들 다 꽤 공들이는 작업일겁니다
22/03/02 18: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게 무슨;;;;; 어처구니가 없네요
22/03/02 19:06
수정 아이콘
이건 맨날 욕먹어도 할말이없음 크크 4.0 올리면 큰일이다..이거아녀
22/03/02 19:08
수정 아이콘
음성녹음 삼성페이 안쓸거야? 이배짱이 우리나란 통해도 해외서는 안통할텐데 역시 마이너스의 손 재드래곤인가
스타본지7년
22/03/02 19:11
수정 아이콘
탭s8 울트라 씁니다. 하아...
기무라탈리야
22/03/02 19:15
수정 아이콘
21 유저입니다.
동생은 어제 22 샀습니다.

뭐 동생은 게임 안할 겁니다 아마...
우그펠리온
22/03/02 19:18
수정 아이콘
아무리 폭발 트라우마 때문이라고 해도 성능을 반토막 내는 건 선 넘었죠.
22/03/02 19:28
수정 아이콘
갓플
interconnect
22/03/02 19:29
수정 아이콘
그냥 gos건게 갤럭시의 실성능이고 후진거 뿐이죠.

애당초 몇 초 동작가지고 성능 측정한다는 그래픽 벤치마크들 좀 없어졌으면 좋겠습니다. 게임할 때 몇 초만 하고 말지는 않잖아요?
제발 폰을 살 때 벤치마크말고 하려는 게임 실제 구동을 보고 사세요.
Capernaum
22/03/02 19: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

실 성능 속이고 저렇게 치팅하면 누가 삼성폰 사나요?...

아니 이건 소비자 기만을 넘어 범죄행위인데;;;

이렇게 직접 아이폰이 최고라고 홍보하는 삼성이라니..

폭스바겐 스펙 속인 사건이랑 뭐가 다른지...
프랑켄~~
22/03/02 20:08
수정 아이콘
실제 게임 테스트 결과가 나오면 더 명확해지겠네요.. 퀘이사존 원신 30분 돌리고 비교한 게임프레임 보니, S22는 발열 해소를 못해서 성능이 S21이랑 엎치락 뒤치락이고, S22+는 S21을 압도하던데..(평균 프레임은 조금 높지만 1% 프레임은 꽤 성능 차이가 크던데요,,)
22/03/02 21:04
수정 아이콘
일단 S21도 One ui 4.0으로 gos 적용되었다는 것 같고
위의 글 보니 해상도를 떨어뜨려 프레임을 올리믄 수도 같이 썼다고 하니 프레임 수치론 성능을 가늠하기 애매하겠네요
Arsenal.
22/03/02 20:17
수정 아이콘
광고는 역대 갤럭시 최고의 폰 이라고 광고 때려놓고 실 사용은 s20보다 안좋으니 이거는 사장이 짤려도 할말이 없는 수준이 아닌가 싶습니다.
프라이드랜드21
22/03/02 20:17
수정 아이콘
삼성 파운드리가 경쟁에서 완패했다는 사실을 공개할 순 없었겠죠
22/03/02 20:20
수정 아이콘
해상도까지 건드린게 최악이죠.
빼박 치팅입니다.
애초에 이미 애플폰과는 몇 세대 이상 차이나는데 굳이 저랬다는건,
다른 안드폰 때문일 가능성도 있다고 봅니다.
오늘처럼만
22/03/02 20: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어지간하면 삼성 쉴드쳐주는 편인데
이번 건은 진짜 쉴드는 커녕
욕 바가지로 처먹어야 되는게 맞....

개발도 안됐는데 1년 건너뛰면 후폭풍 어마어마하니 어쩔수 없이 출시한거까지는 이해해주겠는데
소비자 기만을...

그동안 다들 쉬쉬하던
이제 스펙경쟁에서 아이폰 못따라가는걸 공표하는군요
기승승
22/03/02 20:30
수정 아이콘
아오 울트라 사긴했는데 이건 사업부장이 해명해야할거 같은데요 개발실장 출신이 몰랐을리는 없고...
깻잎튀김
22/03/02 20:48
수정 아이콘
안사고 865 계속 쓰면 그만이야~~~
왜이렇게 칩을 못뽑니...
스웨이드
22/03/02 21:29
수정 아이콘
이거apk분석해보니 게임뿐만 아니고 온갖어플 다들어가있는걸로 보이는데 이렇게 대놓고 치팅을하네요 더 웃긴건 이렇게 성능반토막쳐놓으면 865보다 실성능이 떨어지는게 빤히 보이니 발열제어도 잘되는 멀쩡한 865들어간 기기들도 업데이트 통해서 죄다 떨궈놓은거죠 애플욕하면서 애플이하는거 죄다 쳐따라하더니 배터리게이트를 뛰어넘는 진짜 개쌩양아치짓거리 하네요
22/03/02 21:29
수정 아이콘
S22도 발열 심한가요?
S21은 무딘 저도 심각하게 느껴져서..
이번에 발열 신경쓴것 같았는데
주변에 산사람이 없..
Lord Be Goja
22/03/02 22:18
수정 아이콘
큰 작업이 아니여도 어느정도 올라오기는 하는데, 해소도 좀 빠른 느낌입니다
깃털달린뱀
22/03/02 22:10
수정 아이콘
저거 제대로 터지면 국내야 상관 없겠다만 해외 시장은 꽤나 타격 크겠네요
플래그쉽 이미지까지 훅 가버리면 중국폰들이 치고 올텐데...
박수영
22/03/02 22:14
수정 아이콘
지금 나오는 얘기로는 GOS가 게임쪽만 성능하락을 시키는게 아니라 핸드폰 전반에 걸친 거의 모든 앱에 성능하락을 시키고 있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멀면 벙커링
22/03/02 22:46
수정 아이콘
??? : 아 그래서 삼성페이 안쓸거야? 통화녹음 안할거야? 빼애애애액~
22/03/02 22:59
수정 아이콘
삼성 놈들 이번 사건은 욕 좀 신나게 쳐먹고
금전적으로라도 보상 들어가야죠. 완전 자동차로 치면 속도제한걸어놓고 속이고 판 행위인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3362 [기타] 19년전 사진으로 157억 횡재 [22] 비타에듀14677 22/09/26 14677
462187 [기타] 7일 ~ 10일 동안 확인된 러시아군의 손실 [22] 물맛이좋아요9686 22/09/11 9686
462066 [기타] [국뽕주의] 탑기어의 현대자동차 극찬 [28] 숨고르기13951 22/09/09 13951
461859 [기타] 대왕 오징어의 반전 [18] 퀀텀리프13782 22/09/06 13782
458359 [기타] MIT 연구진이 제안한 지구온난화 방지 대책... [93] 우주전쟁9636 22/07/18 9636
457004 [기타] 앉아서 매를 버는 기관 [56] 류지나10488 22/06/28 10488
455379 [기타] 드래곤볼 슈퍼 기다리면 무료 (~6/30) [17] 고쿠5964 22/06/02 5964
454783 [기타] 메갈14 레터 라이브 요약 [45] 톰슨가젤연탄구이8258 22/05/24 8258
449426 [기타] 점점 커지는 삼성폰 벤치마크 치팅사태 [124] Lord Be Goja15693 22/03/02 15693
447018 [기타] 코스피,코스닥 52주 신저가 근황 [35] 니시무라 호노카11646 22/01/27 11646
442952 [기타] 지금 가장 피눈물날 사람들 [25] 츠라빈스카야12012 21/12/16 12012
436768 [기타] 더 배트맨 2차. 더 플래시 예고편 [32] 그10번9214 21/10/17 9214
431202 [기타] 어제 어느 주식 차트 [12] 로켓11895 21/08/25 11895
431148 [기타] (주식) 나스닥 15,000 포인트 돌파 [13] Nasdaq9089 21/08/25 9089
430026 [기타] 머지포인트와 이스포츠와의 상관 관계 [3] 이시하라사토미8485 21/08/13 8485
430019 [기타] 머지 대란 터지고 난 후 다시 보니 웃음벨이 된 통계 [47] 나주꿀11555 21/08/13 11555
429947 [기타] 머지포인트 근황.jpg [85] 톰슨가젤연탄구이16948 21/08/12 16948
427997 [기타] 한국인 킹받는 육개장 먹방 [5] Croove12532 21/07/18 12532
424503 [기타] QS 세계대학순위 (6월 8일자 최신 발표) [18] 우주전쟁8267 21/06/09 8267
419520 [기타] 한국 출산율 2년 연속 '198개국 중 198등' [68] 아롱이다롱이12340 21/04/14 12340
418615 [기타] 속보) 기존 단통법 끝 [15] 취준공룡죠르디8534 21/04/05 8534
413177 [기타] 영화 알포인트 촬영지 후기.jpg [3]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9751 21/02/12 9751
410726 [기타] 한국, 독일 꺾고 美 자동차 '4위' 수입국 등극 [27] 내설수12685 21/01/18 1268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