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2/28 12:04:46
Name 맥스웰방정식
File #1 321.jpg (2.29 MB), Download : 12
출처 https://m.facebook.com/story.php?story_fbid=1016563468396431&id=157370204315766
Subject [유머] 공대와 자연대를 구분합시다.JPG


이거 구분 못하는 사람들 진짜 많더라구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다빈치
22/02/28 12:07
수정 아이콘
찐오브찐들이 간다는 자연계열 크크크
유자농원
22/02/28 12:07
수정 아이콘
자연대와 공대의 차이점 : 자연대는 상당부분 취업난이도가...
겨울삼각형
22/02/28 12:07
수정 아이콘
이과갬성
바부야마
22/02/28 12:08
수정 아이콘
딱히 구분이 없는 컴퓨터학과 컴퓨터공학과.. 과학만 공학 과학의 구분이 있는 듯 해요.
다빈치
22/02/28 12:09
수정 아이콘
컴퓨터 자체가 공학의 산물이니
22/02/28 12:15
수정 아이콘
계산 이론은 수학에 더 가깝습니다. 컴퓨터 과학은 사실 하드웨어보다는 수학에 가깝다고 봐야죠.
22/02/28 12:10
수정 아이콘
외국에서 배울 땐 computer science는 소프트웨어 디자인 computer engineering은 컴퓨터 하드웨어 디자인로 갈라버리더군요
물론 결론은 코딩에 갈려나간다로 동일합니다만..
다빈치
22/02/28 12:23
수정 아이콘
사실 학사 레벨에선 비슷하더라구요
22/02/28 12:34
수정 아이콘
사실 어디나 학사 entry가 어지간하지 않으면 해봐야 얼마나 디테일하고 잘하겠습니까만은 크크크 ㅠㅠ
나랑드
22/02/28 12: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희 학교에서는 Computure Science는 과학쪽. Software Engineering이 공학쪽이였습니다. 이름이 마이너하게 달라요.
22/02/28 12:33
수정 아이콘
아. 수정은 불가니. Computer science는 순수 코딩쪽으로 빠지더라구요.
우리가 말하는 것들 학부 심화로 배우고,
잠시 본인의 능력을 과신하신 분들이 4학년 때 capstone같은 거로 os design 들어갔다 털려서 나오시는 크크크
척척석사
22/02/28 13:41
수정 아이콘
다른전공 공대쪽인데 겉멋들어서 OS 수업 들어가봤다가 개털리고 다시는 그쪽 안건드린다고 다짐하고 나온거 생각나네요 읔 크크
22/02/28 13:45
수정 아이콘
저는 딱 python matlab 조금 할줄 아는데, 나중에 r까지는 추가해 볼 예정인데 이 이상은 자신이 없습니다
전공 필수라 자바 들었다가 거기서만도 개털리고 나와서..
과제는 cs 전공인 친구가 안 도와주면 날리고 시험을 교과서 통으로 외워가서 커버치던 아찔한 기억이 나네요
시험은 시간이 타이트하니까 코딩도 그냥 그대로 주시니까 암기로 퉁쳤습니다
물론 지금 다시 하라 그러면 못해요
-안군-
22/02/28 15:27
수정 아이콘
운영체제론? 그거 완전 날먹 아니냐??
실제: 자... 이제부터 in, out 명령만 가지고 OS를 어떻게 만들 수 있는지 배워볼거에요~
22/02/28 15:36
수정 아이콘
친구 중에 카네기멜론 CS 전공 간 친구가 있었는데 OS design이 1학년 수업이었다고..
근데 카네기멜론 CS는 애초에 따로 정원을 받아서 뽑은거라 학점 꼴아박았다고 전과가 안된다더군요 (...)
사업드래군
22/02/28 12:23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자연대 소속 전산학과와 공대소속 컴공이 따로 있었는데, 어느 순간 컴공으로 합쳐지더군요.
22/02/28 12:50
수정 아이콘
전산과학과 입학 -> 컴퓨터과학과로 개명 -> 군대간 사이에 공대로 이전 학부제통합 (BK21 지원금 획득을 위한 결정, 그러나 지원금은 대부분 원 소속이었던 이과대로 떨어지는 비극발생) -> 다시 컴퓨터과학과로 재독립

이상 제가 졸업한 학과의 파란만장한 사연입니다.
22/02/28 13:05
수정 아이콘
와 한 대학에서 컴공이 2개학과로 존재하는 경우가 있군요..
jjohny=쿠마
22/02/28 12:08
수정 아이콘
저는 물리학과인데 (물리공대 이런 건 없을텐데도) 다들 공대생이라고 부르길래
언제부터인가는 저도 그냥 수긍하고 살았습니다.
22/02/28 12:15
수정 아이콘
그럴 때는 응용물리라고 쏴리 지르셔야.크크
지니팅커벨여행
22/02/28 12:40
수정 아이콘
물리학과인대 공대생이라고 부르면... 그렇게 부르는 사람들이 이해가 안 되는데요??
jjohny=쿠마
22/02/28 12:45
수정 아이콘
- 다녔던 학교가 이공계 특화 대학인데, 학과를 모르면 거의 구분 없이 공대생이라고 부르더라고요.
- 물리학과라고 알고 있더라도, '공대/자연대' 구분을 모르면 그렇게 부르는 사람들이 꽤 많았습니다.
22/02/28 13:47
수정 아이콘
수학과 외에는 다 공대야(?)
22/02/28 12:09
수정 아이콘
자연대 나온 사람으로써 격공... 먼저 포기하고 예 생명공학과입니다 라고 말합니다....
22/02/28 12:09
수정 아이콘
학사로 쳐도 B.S와 B.S.E는 다르다구욧! 크크크
일반상대성이론
22/02/28 12:09
수정 아이콘
저는 전자공학도입니다
22/02/28 12:09
수정 아이콘
그렇구나~
제주삼다수
22/02/28 12:10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경영과 경제의 차이같은거죠?
깃털달린뱀
22/02/28 12:10
수정 아이콘
컴퓨터과학과 형들 자기 컴공이라던데요 크크크크크
22/02/28 13:05
수정 아이콘
분명 처음에는 설명을 했겠지만 본문처럼 해탈한것이겠죠..
valewalker
22/02/28 12:11
수정 아이콘
지구과학공학
22/02/28 12:12
수정 아이콘
근데 실제로 자연대를 가도 연구는 실용성, 가치창출 위주로 해야 연구비 지원받을 것 같은데
만약 그렇다면 결국 똑같은 학문을 하게 되나요?
양현종
22/02/28 12:46
수정 아이콘
과 안에서도 세부 분야마다 다릅니다. 같은 분야에서도 연구실마다 또 다르구요...
BibGourmand
22/02/28 12:49
수정 아이콘
산학협력을 하게 되면 자연대나 공대나 비슷한 일을 합니다. 돈 안 되는 연구비를 기업이 주지는 않을 테니까요.
다만 국가에서 나오는 연구비는 실용성을 따지지 않는 기초연구를 위한 것들도 많이 있어서, 그 연구비를 바탕으로 하는 연구들은 정말 자연대스러운 것들을 합니다.
이상해꽃
22/02/28 18:06
수정 아이콘
자연대보다 더 자연대쪽 하는 공대연구실도 있고 공대보다 더 공대스러운 자연대 연구실도 있고
애초에 연구하는거 보면 과는 큰 의미가 없어보일때가 많았어요 물리과에서 생명하고 기계과에서 물리하고 등등
가라한
22/02/28 12:12
수정 아이콘
모교가 xx공대인데 저 문제 때문에 원래는 xx이과대라고 하려 했다더라구요.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워낙에 이과대라는 용어가 생소한지라 그냥 공대가 되었다고.... 확실히 이과대는 뭔가 어감이 안 살긴 하네요.
AaronJudge99
22/02/28 12:17
수정 아이콘
아 영일만의 그곳…? 오오…
22/02/28 12:12
수정 아이콘
물리학과 나왔지만 한번 공대라고 들어본적 없는
회색사과
22/02/28 12:15
수정 아이콘
물리는 누구나 인정하는 찐이과 여서일까요..
22/02/28 12:18
수정 아이콘
저도 이과냐는 소리만..
나랑드
22/02/28 12:27
수정 아이콘
응용물리학과가 종종 따로 있긴하죠. 공자가 안들어가서 그런가... 크크
nm막장
22/02/28 13:28
수정 아이콘
크크 저도 물리학과 수학과는 약간 찐 느낌이 나서 공대냐고 안물어보는 거 같아요
왠지 모를 아우라가 풍긴달까..
22/02/28 12:13
수정 아이콘
수학이나 물리학을 하면 아무도 헷갈리지 않을 텐데 크크크
Janzisuka
22/02/28 12:14
수정 아이콘
예전에 지인이 비교?로 하는 말이있었는데..공학이랑 자연이랑...
대학원생이 선택이냐 아니냐라고...
iPhoneXX
22/02/28 12:18
수정 아이콘
저도 예전에 경제랑 경영 구분 못했음
22/02/28 12:22
수정 아이콘
아직도 자연계열 전공하시는 분들에 대한 동경 비슷한 게 있습니다
머리도 나쁘고 근성도 부족한 제 입장에선 진심 대단하게 느껴짐...
22/02/28 12:24
수정 아이콘
이과생도 인문대학과 사회과학대학을 구분 못합니다. 영문과든 정외과든 똑같은 문과로만 인식하죠.
及時雨
22/02/28 12:30
수정 아이콘
저는 북한학과 나왔는데 다들 과를 얘기하면 국가관을 의심하더라고요 하하
티오 플라토
22/02/28 12:35
수정 아이콘
과학: 돈을 써서 지식을 만든다
공학: 지식을 써서 돈을 번다
이렇게 배웠습니다 크크
아스트랄
22/02/28 14:26
수정 아이콘
크크크 빵 터졌습니다.
애기찌와
22/02/28 12:36
수정 아이콘
내츄럴찐 문과생입니다.
애초에 자연과학입니다!! 라고 말해주는데 자연공학 이라고 말 할 수가 없습니다....ㅠㅠㅠㅠ
그저 말해주는대로 고개를 끄덕일뿐......
22/02/28 12:37
수정 아이콘
engineering이 뭔지 모르는사람이 많으니까요
저도 공대출신이지만 잘 몰?루????(응?)
22/02/28 12:40
수정 아이콘
수학과인데도 공대라고 불립니다. 해탈했어요.
22/02/28 16:13
수정 아이콘
힘내세요ㅠ 그래도 공대라서 취업 잘되실 듯
22/02/28 16:42
수정 아이콘
부들....
지니팅커벨여행
22/02/28 12:42
수정 아이콘
과학 : E=mc^2
공학 : Economy = money * cost^2
먼산바라기
22/02/28 12:45
수정 아이콘
이과면 다 공대 아닌가요? (문과)
22/02/28 12:58
수정 아이콘
크크크 화학과 다니는 친구한테 이거 들어본 적 있어요. 자대라고 두번 강조하더라고요.
주인없는사냥개
22/02/28 12:58
수정 아이콘
저는 그래서 반격의 의미로 인문대와 사회대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카마인
22/02/28 16:21
수정 아이콘
와아아아 (짝짝짝짝)
그런데 활용 예시좀 알려주세요 (써먹게)
기술적트레이더
22/02/28 12:59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국어교육과입니다.
아~~ 국어국문학과?
한방에발할라
22/02/28 13:07
수정 아이콘
수학과 친구가 제발 수학교육과랑 같이 묶지 말라고 한 기억은 있는데....크크
CoMbI COLa
22/02/28 13:09
수정 아이콘
자연과학대학 화학전공 입니다. 언젠가부터 귀찮아서 그냥 공대라고 합니다. 어차피 구분 안(못) 하는 사람들에겐 정정해줘도 의미가 없어서요.
미카엘
22/02/28 13:16
수정 아이콘
설명해도 자연과학 공학 구분 못 하는 사람이 꽤 계시더군요.
22/02/28 13:17
수정 아이콘
지구환경과학과 지구환경시스템공학과... 지환과 다닌다고 하면 아 지환시? 하하
유리한
22/02/28 13:21
수정 아이콘
하지만 컴퓨터과학과는..
판을흔들어라
22/02/28 13:27
수정 아이콘
미국에서 순수학문은 college, 응용학문은 school이라 불린다던데 그 차이도 있는건가요?
동굴곰
22/02/28 13:29
수정 아이콘
공대 : 취업 잘하는데
자연대 : 우리랑 비슷하거나 좀 나은데
이상 인문대출신이었습니다.
소믈리에
22/02/28 13:32
수정 아이콘
근데 사실 저렇게 불리는 상황에서
딱히 구분할 필요가 없는 상황이긴 하죠 크크크크

그냥 문과 이과를 대충 뭉뚱그려 부르는 느낌
여덟글자뭘로하지
22/02/28 13:40
수정 아이콘
아이러니하게 자연대 공대 구분 제일 잘해주는 사람이 자연대 제외하면 공대라는 것 크크크
오해의 주범이 가장 큰 이해자..
임시회원
22/02/28 14:05
수정 아이콘
이거 맞습니다.
22/02/28 16:22
수정 아이콘
왜냐면 공대생들은 신입생 때 본인들이 강의실 헷갈려하면서 점점 깨우치거든요 크크크
(자연대 건물에 들어서며) 왜 미적분 수업인데 우리과에서 먼 건물까지 와야되지? 여긴 대체 어디??
22/02/28 14:05
수정 아이콘
쉘든 박사와 왈로위츠군의 차이인가요
R.Oswalt
22/02/28 14:14
수정 아이콘
체육교육과에요!
아, 체대 다니시는구나~
22/02/28 16:23
수정 아이콘
어라 체대 아니에요?? 사범대였나 크크
네오크로우
22/02/28 23:47
수정 아이콘
엌.. 죄송합니다. 체대가 아니었나요? 문득 생각보니 저 대학 댕길 때 체육교육과가 있었던 거 같기도 하고..ㅠ.ㅠ
티모대위
22/02/28 14:14
수정 아이콘
공대생이 원체 숫자도 많고 정체성도 분명해서...
학과별 학생수는 자연대랑 큰 차이는 안날텐데, 학과 개수가 넘사벽이죠. 최소 두세배
22/02/28 16:02
수정 아이콘
공대도 자잘한 과들은 자연대랑 비슷한데 전전이나 기계는 큰 경우에는 전체 자연대 정원과 맞먹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안다리엘
22/02/28 15:20
수정 아이콘
해양과학이라서 오해살일도 없는게 다행이다 히히히
22/02/28 16:24
수정 아이콘
아 그 해양플랜트 짓는 그런 거 하는 덴가봐요!
안다리엘
22/02/28 17:06
수정 아이콘
에라이... 아니라구욧!!!!!
피우피우
22/02/28 15:37
수정 아이콘
크크크 진짜 대공감
존재감이 없어서 '식물같은 자연대' 라고 자조하고 다녔었죠.
재간둥이
22/02/28 15:56
수정 아이콘
교대버전으로는
저: 교대 나왔습니다.
??? : 오 중학교세요 초등학교세요??

저: 체육교육과인데 뺑뺑이라서 체육 잘하는 거랑 상관없습니다.
???: 오 체대 나오셨구나 운동 잘하시겠다.
22/02/28 16:12
수정 아이콘
분자생명과학은 공대같긴하네요..
깻잎튀김
22/02/28 20:00
수정 아이콘
학과를 말하면 학교가 특정되는 경험을 겪고 나선 그냥 컴공이라고 합니다
22/03/01 09:26
수정 아이콘
공대가 취업이 짱이긴 하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49533 [기타] 터키 웃는 요리사 근황 [5] 유튜브 프리미엄8104 22/03/03 8104
449532 [기타] 비싼 케이크 주문했는데 일회용 플라스틱 포크를 제공하는 이유.jpg [46] 로즈마리10490 22/03/03 10490
449530 [기타] 삼성 멤버스에 GOS 관련 공지가 올라왔습니다. [71] 티파남편9711 22/03/03 9711
449529 [기타] 피치가 25년만에 한 나라의 신용등급을 한번에 6단계 하향 [28] giants9872 22/03/03 9872
449528 [기타] 다른거 안쓰고 이거만 쓰면 됩니다..... [15] 닉넴길이제한8자8535 22/03/03 8535
449527 [유머] 오늘 운전하다 찍은건데 [7] KOS-MOS7829 22/03/03 7829
449526 [기타] 그들이 이 사태를 타개하는 방법 [27] 닉넴길이제한8자9016 22/03/03 9016
449523 [기타] 대원 만화책 할인 (~3/9) [27] 고쿠7358 22/03/03 7358
449521 [기타] e-bay에서 신박한 물건을 파네요. [12] 물맛이좋아요7953 22/03/03 7953
449520 [LOL] 폼이 오르는 농심 레드포스 마갤 [2] 박수영5893 22/03/03 5893
449519 [기타] 한편,거대한 챔버를단 샤오미의 8Gen1폰은?! [32] Lord Be Goja7333 22/03/03 7333
449518 [유머] 갤럭시 GOS 한짤 요약 [15] 천도리8290 22/03/03 8290
449517 [기타] x통법 시리즈인가... [9] 닉넴길이제한8자6997 22/03/03 6997
449516 [연예인] 쌈싸먹는거 싫어한다는 쌈밥집 주인 [7] Croove10164 22/03/03 10164
449515 [스타1] 홍진호가 임요환을 이기지 못하는 이유 [23] v.Serum8933 22/03/03 8933
449514 [유머] 블박 음성으로 항공기 사고 재연하는 유튜브 영상 [2] Croove6093 22/03/03 6093
449513 [유머] 유튜브 앞광고 [17] 메롱약오르징까꿍7980 22/03/03 7980
449512 [LOL] LOL 신을 경배하는 T1 선수들 [12] Hestia7528 22/03/03 7528
449511 [서브컬쳐] 셋쇼마루 엄마의 비밀 [9] KOS-MOS5997 22/03/03 5997
449510 [유머] 디씨인의 결벽증 걸린 룸메이트 [26] Rain#18308 22/03/03 8308
449509 [LOL] 제우스가 2세트 초반 딜교를 압도한 이유 [14] Pokemon6430 22/03/03 6430
449507 [LOL] (속보) Zeus 최우제 닉 변경 예정 [19] roqur7933 22/03/03 7933
449506 [LOL] ??? : 나는 승리로 증명한다. [22] 카루오스6963 22/03/03 696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