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2/23 20:39:38
Name 쿨럭
출처 김실장채널
Subject [게임] 리니지W 접속자수 (feat.김실장채널) (수정됨)
02

김실장에 나온 2/7~13일자 WAU(Weekly Acitive Users) 순위
일주일동안 접속한 유저 숫자에서 로블록스가 사실상 1위










W-mp4-20220223-201834-124
W-mp4-20220223-201853-140

매출 순위 57위인 쿠키런 킹덤이 WAU 4위, 38위인 카트라이더가 WAU 8위










W-mp4-20220223-201739-189



W-mp4-20220223-201752-298



W-mp4-20220223-201724-086

매출 순위에서 거의 1위 지키고 있는 리니지W는 WAU에선 로블록스의 1/10 수준이고, 리니지M보다도 적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ord Be Goja
22/02/23 20:43
수정 아이콘
매출 (마케팅)
환경미화
22/02/23 20:43
수정 아이콘
뭐 저희애들도 하루종일 로블록스 들어가있습니다.
22/02/23 20:46
수정 아이콘
근데 이건 좀 어폐가 있는게 엔씨 게임들은 자체 런처로 게임 하는 비중이 압도적이라 저 집계에 포함 안되는 숫자가 훠얼씬 많습니다.
반대로 자체 런처로 하는 사실상 PC 게임인데 모바일 디바이스 이용하는 유저가 저정도라는게 더 놀랍다고 봐야할 거 같은데요..
기무라탈리야
22/02/23 20:50
수정 아이콘
근데 퍼플로 하는거 결제는 구글 플레이 계정 연동해서 하는 것 같은데 그러면 저 집계에 포함될 수 있는 거 아닌가요?
22/02/23 20: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런 외부 데이터 업체들의 집계 방식이 다양하긴 한데,
일부 업체에서 데이터를 받아서 구간 별로 추정하거나 (주로 매출을 이런식으로)
표본 폰에 설치된 앱들의 실행 여부를 추적하는 방식으로 (주로 AU 집계에 사용, 설문조사랑 비슷하다고 해야할까요)
집계 하기 때문에 데이터 정확도가 많이 떨어지는 편입니다.

그래서 퍼플에서 하는 결제가 구글 플레이와 연동된건 집계에 포함되느냐 마느냐는 상관이 없을 것 같고요.

매출은 구글에서 순위를 공개하니 일부 업체에서 해당 업체의 매출 데이터 받아서
구간 별로 추정하는데, 보통 오차가 10~20% 정도 나고, 최상위권은 오차가 매우 많고요 (최상위권은 어디까지 올라갈지 모르니..)

구글에서 공개하는 순위가 없는 AU는 사실상 찍기라고 봐야죠..
아지매
22/02/23 21:1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매출순위는 구글에서 공개하는데 mau, dau 이런건 다 추정치입니다. 업체별로 추정치가 달라요.
겨울삼각형
22/02/23 20:47
수정 아이콘
저 9만명이 옥석이라는 거죠?
flowater
22/02/23 20:48
수정 아이콘
리니지 쪽이면 저중에 반 이상은 작업장일 것 같아요
22/02/23 20:52
수정 아이콘
최근 조회수 부침이 있었는데 리니지 치트키를 다시!!
ioi(아이오아이)
22/02/23 20:53
수정 아이콘
역시 유튜브는 알고리즘 따라서 가야 합니다. 알고리즘이 정해진 리니지 하니까 바로 피지알 유게에까지 올라오잖아요
라라 안티포바
22/02/23 20:58
수정 아이콘
앗 추천하고싶은데 유게네요..
22/02/23 21:13
수정 아이콘
+1
헤헤헤헤
22/02/23 20:58
수정 아이콘
리니지는 제발 좀 망했으면 ......대한민국 대표게임회사 엔씨가 게임방향좀 바꿔줬음 좋겠어요
22/02/23 21:03
수정 아이콘
확실히 리니지W가 좀 위기인거같긴해요 주변반응도 그렇고
뭐 물론 주변반응이 전부는 아니겠지만
22/02/23 21:03
수정 아이콘
피망맞고 너무재밌음
22/02/23 21:12
수정 아이콘
김실장님께서 말씀하시는 큰 줄기 자체엔 공감하나, 위 댓글에서 이미 언급되었듯 인용된 데이터가 왜곡의 가능성이 매우 큰 데이터일 가능성도 고려할 필요는 있습니다. 린W -린M의 비교야 같은 런처를 쓰기라도 하지 언디셈버처럼 아예 런처까지 달라져버리면 답도 없습니다. 그런데 또 구글 플레이 접속자 수 기준으로 통계를 내는 건 역시나 정답이 아닌 게, 그럼 앱스토어는요...? 크크 이미 인기순위같은 건 다 의미없는 개념이 되지 않았나 생각해봅니다.
긴 하루의 끝에서
22/02/23 21:22
수정 아이콘
리니지는 현재 먹고 있는 게 10이라고 하면 진짜 이 중 2~3 정도만 포기해도 유저들이 대단히 만족해하고 계속해서 승승장구할 수 있는 게임이라고 보는데 근래에 벌어졌던 일련의 사건과 분위기들에도 불구하고 너무 욕심을 부리는 것 같아요. 예전에는 영악하긴 해도 장사 자체는 되게 기가 막히게 잘 한다는 느낌이 강했는데 언젠가부터는 그냥 막무가내로 일단 한계치까지 계속 밀어붙이기만 하는 느낌입니다.
개좋은빛살구
22/02/23 21:25
수정 아이콘
영상의 의도는 "요즘 게임의 인기 척도는 매출이 아니라는것" 정도로만 보면 될거 같습니다.
수치는 오차가 있는 참고치이고, 무턱대고 "매출이 많다고 인기겜 인거 아님 이응이응" 이렇게 하기에는 근거가 없으니 오차가 있더라도 그나마 근거가 있는 자료를 가져와 첨부한거 같습니다.
그래도 게임분석가(이게 맞는 표현인지는 모르겠네요)이신데 해당 차트의 문제점은 알지 않을까요? 크크
크레토스
22/02/23 22:46
수정 아이콘
요즘이 아니라 가챠겜 흥했을 때부터 언제나.. 사실 PC 온라인 겜이 주류였을때도 그랬던게 과금 거리 많았던 마구마구가 이용자수 훨씬 많았던 서든이랑 매출이 비슷하고 그랬거든요.
22/02/23 21:27
수정 아이콘
엔씨는 뒤가 없어요 숨만 쉬어도 1년에 4500억 이상이 인건비로 쓰입니다. 극도로 다이어트 하는 것도 어렵고 여기에 주주들 눈치를 안볼수도 없으니 오직 리니지 밖에 없어요 막말로 스타크래프트 급 흥행을 한국에서 해도 리니지 보다 못 법니다. 요새 나오는 신겜보면 이젠 개발 역량도 의심스러울 지경이니 내려갈 일만 남았습니다.
22/02/23 23:30
수정 아이콘
아니 장치산업도 아니고 인건비만 4500억이 빨린다고요? 다이어트 해야되겠는데... 이정도면은
22/02/23 23:36
수정 아이콘
4500억은 충격이네요 그정도나 나갈줄이야
22/02/24 00:22
수정 아이콘
4500억에 놀란 분들에게 더 놀라운 이야기를 해드리자면, 저것도 몇년 전 이야기고 지금은 더 감당 못하게 늘었습니다.
엔씨의 작년 인건비 지출은 8500억원입니다. 저 와중에 마케팅비도 전 해보다 두배 넘게 퍼부었고요.
교대가즈아
22/02/24 01:31
수정 아이콘
대체 인건비가 왜 이렇게 많이 나가죠? 억대연봉 개발자 3천명은 있겠는데요
Old Moon
22/02/23 23:25
수정 아이콘
저는 아직도 리니지하는 사람들은 리니지류 도박중독자라고 봅니다.
Just do it
22/02/24 00:12
수정 아이콘
저 9만명이 온전한 유저수 맞나요?;
겜내 매크로만 엄청 돌아가는데 말이죠...
그리고 아직까지 w하는 사람은 어떻게보면 도박중독이죠.
안타까울 뿐입니다. 도박을 도박이라 하지 못하고 나라에서는 그냥 방관만하고
어떤 방안도 없이 방치되고 있는거죠.
돈이라도 덜 썼다면 다행인거구요.
긴 하루의 끝에서
22/02/24 00:29
수정 아이콘
리니지는 단지 (게임을 본격적으로 제대로 즐기기 위해서는) 과금을 많이 필요로 하는 게임일 뿐 도박이랑은 관련이 없어요. 리니지 유저들이 뽑기에 돈을 많이 쓰는 건 돈을 벌기 위해서도 아니고 뽑는 재미를 느끼기 위해서도 아닙니다. 확률 요소 전부 없애고 그냥 확정으로 해서 십만 단위, 백만 단위, 천만 단위, 억 단위로 게임 재화를 판매한다고 해도 리니지 유저들은 구매를 할 겁니다. 그리고 리니지 유저들이 가장 희망하는 게 과거 리니지처럼 게임 재화가 온전히 혹은 대부분 보스 드랍으로 획득 가능하도록 변화하는 거예요. 즉, 리니지 유저들도 뽑기 등의 확률 요소를 선호하지도 않고, 그거 없어진다고 해서 아쉬워하고 실망하고 분노할 만큼의 이해관계를 일절 가지고 있지 않아요.
Just do it
22/02/24 00:43
수정 아이콘
리니지 하시는 분인지 모르겠는데
저만 이런주장을 하는게 아닙니다.
억단위로 재화판매해도 산다는게 중독입니다.
도박이 아닐지언정 말이죠.
일단 저는 게임은 아니라고 보니까 게임중독은 아니겠네요.
유저가 뭘 희망하든지 간에 nc는 절대 확률게임을 포기할 생각이 없는데요. 무슨 소용입니까?;
지금 다 빠칭코처럼 확률로 운영되는데 뭐가 또 도박이 아니라고 주장하시는지 모르겠네요;
혈맹 혈장 올리는것도 확률이라는거에서 혀를 찼습니다.
긴 하루의 끝에서
22/02/24 01:06
수정 아이콘
"게임"에 돈을 "일정 이상으로 많이" 쓴다면 그건 어떠한 경우를 막론하고도 "무조건" "비정상"이다라는 전제가 성립하는 게 아니라면 그리 말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단순히 확률 요소가 존재한다고 하여 무조건 도박으로 간주할 수는 분명 없는 법이고, 제가 근본적으로 지적하고 싶은 바도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여러 면에서 리니지의 문제를 논할 수 있지만 리니지는 도박이라는 관점에서의 접근은 엄연히 잘못된 거예요.

리니지 유저도 여타 게임 유저와 다를 바 없고 다르게 볼 이유도 없습니다. 각자 재미를 느끼는 게임이 다르듯 리니지도 마찬가지예요. 근본적으로 이를 인정하지 않고 존중하지 않으니 자꾸 엉뚱한 이야기들이 나오는 겁니다. 리니지 유저가 리니지를 하는 이유는 순전히 리니지가 재미있어서입니다. 돈이 많이 들어가고 게임사의 악명이 높음에도 계속해서 리니지를 찾는 이유 역시 단순히 리니지가 재미있어서예요. 그리고 앞서 이야기하였듯 그 재미란 뽑기의 재미가 결코 아니고요. 그래서 리니지 유저를 두고 중독을 이야기할 수 있다면 그건 엄연히 게임 중독이지 다른 것일 수 없습니다.
Just do it
22/02/24 01:24
수정 아이콘
제가 드리고 싶은 말은 주위사람들이 도박이라고 하는것도 지금에야 언급이라도 하지, 나중에는 관심도 없고 개돼지인거 아니까
별말 안합니다. 저조차도 별 관심도 없고, 이런 말 해도 변화없을 거 압니다. 귀찮기도 하구요.
도박을 도박이라 말 못하는거 이런 답답함을 참지 못하는 류라서 말하는 것도 있구요.
그런식이면 빠칭코나 도박도 재미가 있어요...
일본 시골에 빠칭코 가게가 있는 이유도 할게 없어서. 재미있어서 입니다
긴 하루의 끝에서
22/02/24 01:42
수정 아이콘
빠칭코 하는 이유가 뭔가요? 돈 벌기 위해서, 그걸로 돈 벌 수 있어서이죠? 그게 아니라면 가슴 졸이며 빠칭코 돌리는 맛이나 당첨 시의 짜릿함을 즐기기 위해서이고요? 그런데 리니지는 그 어디에도 해당이 안 된다니까요?
Just do it
22/02/24 01:52
수정 아이콘
유툽에 드슬(당첨) 뽑을려고 다이아 충전하고 돌리고 나오자 마자 환호성(짜릿함) 터지는 bj영상만 해도 몇개가 되는데요.
그게 해당이 안된다고요? 크크크
님이 말씀하시는 이상적인 세계는 현실에는 없다구요...
그리고 다른점이 재밌으면 다른겜을 하죠.
저도 이런 이슈에 시간쓰는거 조차 피곤하니 이만하겠습니다.
직장이 nc세요??? 너무 대놓고 티를 내시니 뭐라 할말이...
긴 하루의 끝에서
22/02/24 02:11
수정 아이콘
원하는 아이템이 나왔으니 좋아하는 건 당연하죠. 근데 누차 이야기하지만 그런 뽑기를 하는 게 뽑기가 주는 근원적인 재미와 쾌감을 즐기기 위함이 아니라는 겁니다. 그 뽑기에서 얻은 아이템으로 돈을 벌기 위함은 더욱이 아니고요. 게임을 하는 데 있어 순전히 그 아이템이 필요하거나 갖고 싶어서, 그런데 그 아이템을 (실질적으로) 뽑기로만 얻을 수 있거나 뽑기가 빨리 얻을 수 있는 방법이라서 그냥 뽑기를 할 뿐이에요. 그래서 그거 뽑기가 아닌 확정 상품으로 팔아도 똑같은 돈 들여 구매할 사람들이고, 뽑기가 아닌 방식으로 판매한다고 해서 아쉬워할 사람들도 전혀 아닙니다. 아쉬워하기는 커녕 오히려 더 좋아하죠. 아이템 획득 방법으로서 가장 선호하고 희망하는 건 보스 드랍 방식이지만요.

다른 점이 재미있으면 다른 게임을 한다, 즉 뽑기의 재미가 아니고서야 리니지를 할 이유가 없다는 식으로 말씀하셨는데 참 끝까지 인정과 존중이란 걸 하지 않으시네요.
에엑따
22/02/24 05:13
수정 아이콘
그냥 잘 모르는 제삼자의 사견입니다만, 제생각에 님 말씀은 주어가 리니지가 아닌 다른 모든 게임 중 하나였으면 충분히 타당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그냥 제삼자가 볼때 리니지는 게임의 범주를 이미 넘어선 것 같습니다.
다마스커스
22/02/24 00:30
수정 아이콘
(수정됨) 김실장 유튜브 영상에서도 언급된 것처럼, 구글이 실접속자 수를 공개하면 되는 일입니다.
하지만, 자신의 이익에 반하는 그런 행동은 절대로 하지 않겠죠.
벌점받는사람바보
22/02/24 04:03
수정 아이콘
내나 리니지 뮤 로한 같은게임들이 유저수 적고 플레이타임 길고
p2w 으로 경쟁하는 시스템이라 보통 고래라고 부르는 핵과금러들이 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49168 [LOL] 봐도봐도 모르겠는 솔랭의 신비함 [26] 피카츄볼트태클7303 22/02/26 7303
449167 [유머] 당신은 20년만에 깨어났습니다. [30] 카루오스10984 22/02/26 10984
449165 [연예인] 강남, 귀화 시험 결과 [26] 아롱이다롱이13000 22/02/26 13000
449164 [유머] 퉁퉁이 이슬이 이부자리 피규어 [14] KOS-MOS9158 22/02/26 9158
449163 [유머] 여초에서 난리난 남자 연애 꿀팁.instiz [86] 삭제됨15004 22/02/26 15004
449162 [유머] PC방에서 아들 발견한 엄마.gif [3] 일사칠사백사10979 22/02/26 10979
449161 [게임] 엘든링 잡몹이 쓰는 스킬.gif [36] 일사칠사백사9586 22/02/26 9586
449159 [유머] 우크라이나 영공 근황.twt [24] 김유라12452 22/02/26 12452
449158 [스포츠] 대동아공영권 [28] 암모니아10891 22/02/26 10891
449157 [유머] 맞는말 대잔치 [23] 소믈리에11839 22/02/26 11839
449156 [방송] 세기말에 구성한 2000 밀레니엄 슈퍼내각.JPG [23] 비타에듀8625 22/02/26 8625
449155 [방송] 이환경 유니버스 - 야인시대 X 연개소문.AVI [2] 비타에듀4642 22/02/26 4642
449154 [유머] 러시아군의 보급품 조달방법 [22] 삭제됨11042 22/02/26 11042
449153 [연예인] 영원히 암흑기에 빠진 한국음악.TXT [64] 비타에듀15149 22/02/26 15149
449152 [유머] 폰허브 러시아 ip 차단 [22] 삭제됨10414 22/02/26 10414
449151 [LOL] 2022 T1의 현주소 [10] roqur7686 22/02/26 7686
449150 [유머] 33만원짜리 사무용PC내부 모습.jpg [45] VictoryFood12389 22/02/26 12389
449149 [기타] 갤탭8에서 3디마크를 원신이름으로 실행하면?? [21] Lord Be Goja6277 22/02/26 6277
449148 [게임] 분명 합법인데 불법하는 것처럼 보이는 짤 [6] 달은다시차오른다7726 22/02/26 7726
449147 [유머] 우크라이나- 한국에 사이버보안 도움 요청 [11] 맥스훼인7375 22/02/26 7375
449146 [기타] 마침내 시행되는 국내 프로토(스포츠토토) 제도 [12] 닭강정6771 22/02/26 6771
449145 [기타] 일본인은 우크라이나인의 심정을 압니다.twitter [54] 이호철10577 22/02/26 10577
449144 [기타] 2019 우크라이나 대선 경험해보기 [47] 옥동이9894 22/02/26 989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