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2/23 15:58:09
Name 묻고 더블로 가!
출처 펨코
Subject [기타] 청년희망적금 가입 도중에 충격 받은 중국인들




Or4OZn6.png





5gw33lS.png




아아 이것이 바로 킹진국이라는 것이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연필깍이
22/02/23 16:01
수정 아이콘
외국인이 가입 가능하다니 크크크크크크크
RedDragon
22/02/23 16:05
수정 아이콘
소득이 국내에서 버는것만 잡힐텐데 그러면 외국에서 살면서 일하고 있는 외국인도 가입이 된다는 건가요?
유튜브 프리미엄
22/02/23 16:09
수정 아이콘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국내에서 과세되는 소득이 있는 외국인의 경우에도 소득요건을 갖추고 183일 이상 국내에 거주했다면 가입이 가능하다"며 "다만, 모든 외국인이 아니라 국내에 1년 중 일정기간 이상 거주하고 세금을 내는 경우에만 가능하다"고 말했다.

당연한 일이겠지만 외국에서 돈버는 외국인은 불가능하다네요.
RedDragon
22/02/23 17:11
수정 아이콘
아 국내거주 조건이 붙었군요.
엘든링
22/02/23 17:24
수정 아이콘
너무나도 친숙한.. 소득세법 거주자 기준..
츠라빈스카야
22/02/23 16:13
수정 아이콘
그게 가능하면 저어기 아프리카..까진 몰라도 동남아 등등에서 한국 은행 가입자가 폭주하겠죠. 전세계 대상으로 돈을 퍼준다는 소린데 이건 미국도 감당하기 힘들듯...
RedDragon
22/02/23 17:11
수정 아이콘
그렇겠죠..? 순간 놀랬습니다 크크;
오클랜드에이스
22/02/23 16:06
수정 아이콘
그걸 이제 알았어? 크크

아무리 헬조선 헬조선 해도 중국인 친구들이 한국 최저시급과 한국 평균연봉 들으면 놀라더군요.

근데 상해 베이징은 물가도 서울쪽하고 별 차이 없는데 한참 낮은 시급으로 살아야 하니 쟤내야말로 진짜 팍팍한 삶을 살고 있구나 싶기도 하고...
어둠의그림자
22/02/23 16:29
수정 아이콘
중국은 월 최저임금 기준이 낮은거지 최저시급이 그렇게 낮지는 않습니다.
티모대위
22/02/23 16:06
수정 아이콘
오잉 이걸 몰랐어?
flowater
22/02/23 16:07
수정 아이콘
대륙인들이여 봉기하라 ~~
22/02/23 16:07
수정 아이콘
통계상 3600이면 그래도 아직은 번듯한 월급쟁이 수준은 되죠
잘 번다고는 결코 못하지만 가난이라긴 쬐금 높지않나 싶은..
RapidSilver
22/02/23 17:26
수정 아이콘
3600이면 가입 가능한 연령대에서 20대 후반 30대 초반만 고려해도 중위소득을 웃돌죠
여덟글자뭘로하지
22/02/23 17:45
수정 아이콘
뭐 가난한 사람만 대상으로 하는게 아니라 청년층을 대상으로 하는거니까요.
21년 30대 중위소득이 평균 300 (남성 329 여성 252) 였으니, 그거 기준으로 딱 300잡고 3600 때린 거 같아요. 중간까지만 주겠다는거죠.
22/02/23 16: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
유튜브 프리미엄
22/02/23 16:08
수정 아이콘
?
부질없는닉네임
22/02/23 16:12
수정 아이콘
가불기죠
이런 것도 안 한다:역시 청년에게 무관심
이런 것을 한다:어떻게든 지지율 높여보고 갈라치기 하려고 한다
키르히아이스
22/02/23 16:13
수정 아이콘
???? 여기서 정권탓을 합니까????
Navigator
22/02/23 16:07
수정 아이콘
전 애초에 이런 제도를 왜 하는지도 이해가 잘 안되는데.. 거기다가 외국인은 이걸 왜 가입 가능하게 만든걸까요..
계피말고시나몬
22/02/23 16:20
수정 아이콘
검은 머리 외국인......
송운화
22/02/23 16:10
수정 아이콘
제 주변 30대 친구들은 저포함 다 탈락했습니다..
휴.. 생각보다 기준이 까다롭더라구요..
flowater
22/02/23 16:12
수정 아이콘
나이때문에 탈락하셨나보네요
송운화
22/02/23 16:33
수정 아이콘
은행에 물어보니 나이는 됐는데.. 소득때문에 떨어졌다고 하네요.. 세전 연봉 4천은 확실히 못넘는걸 알고있었는데.. 3600은 넘었나보더라구요..
메롱약오르징까꿍
22/02/23 16:47
수정 아이콘
2~6월사이는 20년 과세기준으로 받는다네요
다빈치
22/02/23 16:49
수정 아이콘
21년 말씀이시죠?
하아아아암
22/02/23 17:00
수정 아이콘
20년일거같아요 21년 소득기준이 그렇게 빨리 정리가 안될거라
다빈치
22/02/23 17:02
수정 아이콘
엇.. 20년 기준이면... 가능할수도 있는데! 희망을 가졌습니다
사는게젤힘드러
22/02/26 19:11
수정 아이콘
20년 기준맞습니다
22/02/23 16:11
수정 아이콘
저도 충격받았네요 외국인도 가입된다는 거에 크
추적왕스토킹
22/02/23 16:14
수정 아이콘
한국인 대비 중국인 신청자 및 합격자 비율 확인해봐야 할듯...

이것도 중국몽인가...
마카롱
22/02/23 16:17
수정 아이콘
신청 자격에 외국인이라고 되어 있는데 딱 집어 중국이라니 온통 생각이 중국 밖에 없나요.
추적왕스토킹
22/02/23 16: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벌점 4점), 표현을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날아라 코딱지
22/02/23 16:36
수정 아이콘
궁금하네요 뭘 얼마나 퍼다주었는지 좀 자세히 알려주실수 있나요?
대중국 적자가 그정도로 심각한가요?
마카롱
22/02/23 16: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조선족이신가...?] 인신공격까지 하시네요.
FreeRider
22/02/23 16:42
수정 아이콘
무역 흑자 1위는 적어도 10년간 중국으로 변동없을 것 같은데요
오징어게임
22/02/23 16:42
수정 아이콘
진심으로 궁금해서 그러는데 중국에 뭘 얼마나 퍼줬는지 이야기 좀 해 주심 안될까요?
모노레드
22/02/23 16:43
수정 아이콘
중국에 퍼다준 게 얼만지 저한테도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빈치
22/02/23 16:50
수정 아이콘
중국에 뭘 얼마나 퍼줬는지 고견좀 들려주시죠.
cruithne
22/02/23 17:03
수정 아이콘
글 써주세요 기대하고 있을게요
인증됨
22/02/23 17:13
수정 아이콘
커뮤니티 밖에 세상있어요
중국몽 소리에 뭐가 중국몽이냐고 하면 그저 중국몽중국몽 부들부들 거리기만 하는 인간들 너무 많이봐서 이젠 그냥 웃기네요
백년지기
22/02/23 16:15
수정 아이콘
외국인 신청요건이 1년 이상 거주 상태이고 국내에 세금 납부하고 있으면
신청할 수 있는 사회적 기여는 하고 있는 것 아닌가요?
산밑의왕
22/02/23 16:20
수정 아이콘
국내에 180일 이상 거주하고 세금도 정상적으로 납부했으면 그냥 사회적 구성원으로 봐야죠...
BLΛCKPINK
22/02/23 16:50
수정 아이콘
1년이상 세금낸게요? 글쎄요? 10년도 아니고
니가커서된게나다
22/02/23 16:54
수정 아이콘
관련법령 기준으로 국내에서 과세하는 거주민의 기준이 저걸거에요

저 기준에 맞으면 우리나라에 세금 내는 사람입니다
백년지기
22/02/23 17:06
수정 아이콘
성실하게 세금납부하고 국내에서 경제활동하면 복지 혜택 받을 만한 사회적 기여를 하고 있으면 사회 구성원이죠.
국적 포기 안하고 외국에서 거주하면서 경제활동하다 딱 건보혜택만 받아가는 한국인도 있는 판에.
닉네임을바꾸다
22/02/23 16:19
수정 아이콘
아마 저거 들면 외국인들 어지간하면 강제로 거주 연장해야할 각일려나 중간에 나가면 해지되면서 이자소득세 토해야할테니?
다빈치
22/02/23 16:51
수정 아이콘
저거 월 최대 50인가밖에 안됩니다; 한국 집값 비쌉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2/02/23 16:57
수정 아이콘
뭐 진지하게 말한건 아니지만요 크크
애초에 장기거주 할거 아니면 예적금같은걸 굳이 들진 않을테니...
ModernTimes
22/02/23 16:20
수정 아이콘
재원이 뭐길래 외국인도 가입시켜주나요.
그나마 우리 국적의 청년들이면 내 세금 좀 나가도 이해를 하겠는데 음..
닉네임을바꾸다
22/02/23 16:20
수정 아이콘
국내 거주자들의 소득이 재원이겠죠...거기엔 국내 거주 외국인도 포함될거고...
소믈리에
22/02/23 16:25
수정 아이콘
저 연봉 3600이 성과금이나 상여는 제외인가요?
카드영수증
22/02/23 16:29
수정 아이콘
당연히 포함이죠
22/02/23 16:30
수정 아이콘
연말정산이면 원천징수 기준이라 다 포함일겁니다.
22/02/23 16:31
수정 아이콘
연말정산 딱지 붙으면 전부 포함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2/02/23 19:27
수정 아이콘
나라가 국민이 돈을 버는게 성과금인지 뭐인지 관심이 있을리가 있나요 년 전체 소득이 중요하죠
날아라 코딱지
22/02/23 16:28
수정 아이콘
노년층을 위한 취업정책하나에 별욕이 다튀어나오던걸 생각하면
이런 청년세대 퍼주기 정책도 하지 말아 하는데 왜하는지 참
22/02/23 17:29
수정 아이콘
그건 그걸로 개선시킨 실업률을 정말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서 개선 시킨거마냥
전체 실업률 감소로 잘 포장해서 홍보에 써먹었으니까 욕을 쳐먹은거죠
이번껄로도 그러면 욕먹을겁니다
22/02/23 16:32
수정 아이콘
뻑하면 외국인 포함시켜주네
BLΛCKPINK
22/02/23 16:36
수정 아이콘
외국인은 왜..?
오우거
22/02/23 16: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벌점 2점), 표현을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22/02/23 16:54
수정 아이콘
저는 반대로 제가 해외에 취업했는데 그 나라 국민과 다를바 없이 모든 경제적 의무를 성실히 수행했음에도
혜택에 있어선 예외적용이 된다면 저는 차별이라 생각할 것 같아요
복타르
22/02/23 16:43
수정 아이콘
정치 이야기하고 싶어서 안달나신 분들을 위해
친절하게 선게가 열려있으니 선게를 마음껏 이용해주세요.
판을흔들어라
22/02/23 16:52
수정 아이콘
이번에 청년희망적금 말 나온게 20,21년 소득 없고 올해 취직한 사람들은 자격조건 탈락이고 다음정권에서 해준다는 보장도 없는데 윗댓글 언급대로 외국인들은 가입이 가능한 점 때문이더라구요. 설계가 어딘가 미스난 듯한 느낌

그리고 다른 곳에서 본건데 한국이 고기도 못 먹을 정도로 가난하지 않다고 진지하게 중국에서 방송한 적이 있다더군요. 한국 가난하다는 찌라시 인식이 팽배하다고
22/02/23 18:01
수정 아이콘
신기하네요.
1인당 GDP만 봐도 중국이랑 3배 차이는 나는데, 쟤네는 경제관념이 없나봐요.
葡萄美酒月光杯
22/02/23 19:18
수정 아이콘
진지하게 한국이 못산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얼마 없다고 생각합니다. 고기 어쩌고는 한국 드라마 영화 이런것들에 고작 삼겹살정도 가지고 오늘 기분낸다 어쩌고 혹은 고기 먹느라 얘기 안하고 먹기만 하고 혹은 고기먹으러 간다고 점심 굶고 맨날 라면 먹고 이러는 클리세? 밈을 왜? 하고 생각하는거죠.
대체적으로 중국은 소득이 한국보다 낮은 만큼 식재료가 싸고 그것과 별개로 중국인들 특히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한국과 비겨서 먹는거에 돈을 더 안 아끼는 느낌이긴 합니다
어둠의그림자
22/02/23 20:39
수정 아이콘
그 고기론이라는게 대충 09년도부터 돌던건데 지금은 많이 철 지난 떡밥입니다.
백수아닙니다
22/02/23 16:57
수정 아이콘
어디서 들은건 있어가지고 크크
공인중개사
22/02/23 17:04
수정 아이콘
지금은 2022년인데 2021년이 아니라 2020년 기준으로 지급하다가 예산이 다 떨어질거같아서 문제죠
22/02/23 17:10
수정 아이콘
21년도분의 집계는 올해 5월의 종합소득세신고가 끝나야 확정되기 때문에 20년 기준으로 할 수 밖에 없긴해요
하반기에 실행되는 정책이라면 모를까 전반기에 공표되는 모든 기준은 전전년이 될 수 밖에 없는걸로 알아요
공인중개사
22/02/23 17:21
수정 아이콘
넵넵 말씀하신 내용 기사보고 확인했는데, 예산 추가 확보가 안되면 정부는 욕 좀 먹을 거 같습니다.
메롱약오르징까꿍
22/02/23 17:14
수정 아이콘
수요예측 실패해서 예산증액신청한다고 들었어요
닉네임을바꾸다
22/02/23 17:15
수정 아이콘
어디 보아하니 금융위인가 어디에서 일단 조건되면 다 받으라 했다고...
라라 안티포바
22/02/23 17:11
수정 아이콘
저도 이건 자국민 우선주의 원칙이 적용되야하는 사안이 맞다고 봅니다.
22/02/23 17:11
수정 아이콘
저 2020년 기준이더군요.. 그때 국비학원 다닐때였는데

결국 그림의 떡
메롱약오르징까꿍
22/02/23 17:16
수정 아이콘
7월부터는 21년 기준으로 신청받을수있다네요
22/02/23 20:45
수정 아이콘
오 정말요? 감사합니다
이부키
22/02/23 17:12
수정 아이콘
세금 내는 월급쟁이 외국인들이면 뭐 하게 할수도 있죠
22/02/23 17:15
수정 아이콘
사실상 청년 복지에 해당되는 금융 상품이라 외국인까지 적용되는건 뭔가 문제가 있는게 맞죠.
코우사카 호노카
22/02/23 17:55
수정 아이콘
청년 희망 예금 이름 부터 외국인이 받는게 맞나 싶은데
내가 외혐인가..?;;
Lina Inverse
22/02/23 18:30
수정 아이콘
외국인도 일정기간 이상 세금낸거면 뭐 받을수 있지않나요? 너무 나이브한 생각인가
읽음체크
22/02/23 19:04
수정 아이콘
일정기간 이상 세금냈더라도 소득컷/나이컷 당하는 한국인들이 대다수일껀데요.
저 제도는 기여분에 비해 더 혜택받는게 맞습니다. 성실한 납세자가 세금의 반대급부로 당연히 누려야할 범위가 아님.
탑클라우드
22/02/23 18:45
수정 아이콘
저는 현재 베트남에 거주 중인 한국인인데요, 정말 세금은 모조리 다 내고 외국인이라 안되는 것들이 너무 많아서 시시각각 화가 치밀어오릅니다.
1년 중 과반을 해당 국가에 거주하고 정당하게 세금 납부하고 있다면 국적과 상관없이 혜택은 동등하게 부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꿈트리
22/02/23 19:45
수정 아이콘
선진국과 후진국의 차이겠죠. 서유럽은 학생의 경우도 자국민과 거의 동일한 혜택을 주니까요.
저도 외국에 좀 있어봤는데, 짜증나는 현실이죠 유.유
피우피우
22/02/23 20:40
수정 아이콘
서유럽은 진짜 세금만 내면 사실상 자국민이나 다를 바 없이 복지 누릴 수 있는 곳이 많다더라구요. 세금 내는 사람에게 혜택을 준다는 점에서 전 외국인도 당연히 포함해야 하는 것 같습니다.
22/02/23 19:11
수정 아이콘
중국 1인당 gdp 1만달러 된지 얼마 안됐죠. 암튼 저도 대상 안될정도로 벌고 싶은데 가입대상자인게 슬프네요
개까미
22/02/23 20:15
수정 아이콘
나이에서 컷 되는게 너무 슬펐습니다...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49169 [LOL] 엄티 탈룰라 [23] roqur6981 22/02/26 6981
449168 [LOL] 봐도봐도 모르겠는 솔랭의 신비함 [26] 피카츄볼트태클7306 22/02/26 7306
449167 [유머] 당신은 20년만에 깨어났습니다. [30] 카루오스10986 22/02/26 10986
449165 [연예인] 강남, 귀화 시험 결과 [26] 아롱이다롱이13000 22/02/26 13000
449164 [유머] 퉁퉁이 이슬이 이부자리 피규어 [14] KOS-MOS9159 22/02/26 9159
449163 [유머] 여초에서 난리난 남자 연애 꿀팁.instiz [86] 삭제됨15005 22/02/26 15005
449162 [유머] PC방에서 아들 발견한 엄마.gif [3] 일사칠사백사10979 22/02/26 10979
449161 [게임] 엘든링 잡몹이 쓰는 스킬.gif [36] 일사칠사백사9587 22/02/26 9587
449159 [유머] 우크라이나 영공 근황.twt [24] 김유라12455 22/02/26 12455
449158 [스포츠] 대동아공영권 [28] 암모니아10892 22/02/26 10892
449157 [유머] 맞는말 대잔치 [23] 소믈리에11840 22/02/26 11840
449156 [방송] 세기말에 구성한 2000 밀레니엄 슈퍼내각.JPG [23] 비타에듀8626 22/02/26 8626
449155 [방송] 이환경 유니버스 - 야인시대 X 연개소문.AVI [2] 비타에듀4645 22/02/26 4645
449154 [유머] 러시아군의 보급품 조달방법 [22] 삭제됨11045 22/02/26 11045
449153 [연예인] 영원히 암흑기에 빠진 한국음악.TXT [64] 비타에듀15152 22/02/26 15152
449152 [유머] 폰허브 러시아 ip 차단 [22] 삭제됨10417 22/02/26 10417
449151 [LOL] 2022 T1의 현주소 [10] roqur7688 22/02/26 7688
449150 [유머] 33만원짜리 사무용PC내부 모습.jpg [45] VictoryFood12392 22/02/26 12392
449149 [기타] 갤탭8에서 3디마크를 원신이름으로 실행하면?? [21] Lord Be Goja6280 22/02/26 6280
449148 [게임] 분명 합법인데 불법하는 것처럼 보이는 짤 [6] 달은다시차오른다7727 22/02/26 7727
449147 [유머] 우크라이나- 한국에 사이버보안 도움 요청 [11] 맥스훼인7376 22/02/26 7376
449146 [기타] 마침내 시행되는 국내 프로토(스포츠토토) 제도 [12] 닭강정6772 22/02/26 6772
449145 [기타] 일본인은 우크라이나인의 심정을 압니다.twitter [54] 이호철10582 22/02/26 1058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