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2/23 11:55:28
Name Lord Be Goja
File #1 전성.png (680.2 KB), Download : 14
File #2 아키_(2).png (30.7 KB), Download : 6
출처 기글하드웨어 / 어낸드텍/노트북체크/AMD공식
Link #2 https://gigglehd.com/gg/mobile/11804644
Subject [기타] 설계<< 공정이 되버린 컴퓨터업계..





-------------------------------

1.퀄컴,삼성,구글, 디멘시티등 누가 설계했냐보다 TSMC의 공정을 이용할수 있었냐에 따라 갈려버리는 모바일AP전성비..

2.같은 아키텍쳐 우려먹기하면서 클럭만 좀 높이면 신제품이냐고 나오기전엔 좀 까이던 6900hs가 그냥 신공정빨로 노트북배터리 타임을 확 늘려버림

3.삼성에서 생산하던 이전 세대gpu와 거의같은구조를 쓰면서 덩치를 엄청키운다고 알려져있는 지포스4천시리즈를 tsmc에서 생산하려고 도개자하는 황회장..



애플M1칩 ...삼성 파운드리에서 증명해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2/02/23 11: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실 안드로이드 AP 설계는 사실상 ARM만 해서...(설계가 똑같...읍...GPU 뭐 붙이냐의 차이...)
애플만이 ARM 명령어셋만 호환되게 자체 커스텀 제작 아키텍쳐를 쓸걸요 크크
그리고 X86은 원래 공정빨로 전성비 개선해오던...
22/02/23 11:58
수정 아이콘
이러면 삼성 망한건가요?
22/02/23 12:01
수정 아이콘
저는 파운드리'만' 보면 현 상황이 좋은 상황이라 생각합니다.
그냥 1위업체의 격차가 더 벌어진게 문제죠.
MissNothing
22/02/23 13:51
수정 아이콘
좋진 않습니다. 삼성의 가장 큰 약점이 갤럭시도 있고 자사 AP도 개발중이라는 거죠.
TSMC가 공장이 터져나가서 수주가 안되면 삼성쪽에 당연히 일이 떨어지겠지만... 결국엔 경쟁회사에 자기 설계도를 넘겨주는꼴인데, 그 밑에 지금 TSMC랑 삼성이랑 규모로 경쟁할 3위급 파운더리 업체 하나만 있었어도 삼성은 손에 쥐고있는거 뭐든 포기해야 하는 상황까지 갔을지도 모릅니다.
TSMC 공장 벽에 "고객과 경쟁하지 않는다" 라고 적혀있답니다...(...)
DownTeamisDown
22/02/23 13:54
수정 아이콘
문제는 그런회사 나오기가 힘들겁니다.
인텔? 삼성하고 비슷한 문제가 있고....
중국? 거기는 나라가 뺏을것 같고
그래서 마땅히 자금력 있는 후발주자가 없는 상황입니다.
몽키매직
22/02/23 14:53
수정 아이콘
있던 파운더리도 나가떨어지는 게 그 바닥이라 앞으로 '고객과 경쟁하지 않는' 파운더리는 TSMC 이외에 나오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TSMC 도 설계를 하지 않는 게 현재는 강점으로 작용하지만, 대신 공정 경쟁에서 한 번 밀리면 대안 사업이 없기 때문에 위험할 수 있어요. 인텔은 2세대 정도 공정이 완전히 망했는데도 버티잖아요. 본인들이 설계도 하고 다른 사업도 있으니까 가능... TSMC 는 파운더리 경쟁에서 밀려나면 GF 처럼 됩니다. 삼성, 인텔은 파운더리 산업 전체가 안 좋은 시기가 와도 버틸 수 있지만 TSMC 는 그게 아니라 그 쪽도 고민이 많습니다.
만사여의
22/02/23 15:25
수정 아이콘
레거시가 아닌 선단공정 할 수 있는 회사가 TSMC, 삼성, INTEL 세 업체 밖에 없어요
고객과 경쟁하지 않는 회사는 TSMC가 유일 합니다
삼성이 파운드리 본격적으로 시작한 기간을 생각해 보면 짧은 시간에 많은걸 이룬거 맞습니다
몽키매직
22/02/23 12:07
수정 아이콘
삼성은 첨단 공정 후발 주자이고 TSMC 와 이런 식으로 1:1 비교가 되는 것 자체로도 상당한 성과입니다.
다만, 후발 주자가 시장을 뚫고 들어가는 게 매우매우 힘든 업계라 파이를 더 넓힐 수 있을 지가 미지수인 상태...
Lord Be Goja
22/02/23 12:07
수정 아이콘
현재 gf- 기술력 4위이하 업체들은 최신공정 경쟁을 아예포기했고,3위 인텔은 아직 내상회복중이며,중국에사 밀던 자체파운드리 기술들이 투자금부족으로 죄 멸망해버려서..(한업체당 고작 수조원씩 밖에 안썼더군요)거기다가 tsmc의 생산가능량을 능가하는 주문들이 밀려들기 때문에 삼성은 일거리가 끊기지 않습니다.
3나노에사 새로운 도전을 하던데,그거만 안망하면될거같네요
앙겔루스 노부스
22/02/24 03:49
수정 아이콘
중국이 반도체 굴기한다고 5년간 1천억달러 투입한다는 기사 보고, 섬상은 이미 혼자서 그 정도 매년 하는데? 했던 기억이 나네요. 중국이 돈치트로 뭐든 한다지만, 그 중국조차도 돈치트가 안되는 반도체업계...
티모대위
22/02/23 12:13
수정 아이콘
삼성 파운드리는 지금 오히려 불타오르고 있던데요. TSMC와의 초격차를 반드시 따라잡고 1위로 올라서겠다는 생각이던데
TSMC 최신공정을 아무나 들어가는 것도 아니라서 고객들이 줄서있는지라, 삼성은 돈 벌 구석이 아직 많기도 하고요. 그래서 삼성 파운드리는 앞으로 좋아질 가능성이 더 높고
다른 사업부도, TSMC가 삼성한테만 주문 안받거나 하는게 아닌이상 지금 상황이 나쁠게 없지싶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2/02/23 12:19
수정 아이콘
저렇게 돈으로라도 자리차지하려하다 밀려나면 올 곳이 없어서...인텔은 위탁받아서 생산은 아직 안할거고
DownTeamisDown
22/02/23 13:50
수정 아이콘
삼성이 망하지는 않을겁니다.
TSMC가 공급량을 늘리는데도 한도가 있는데다가
1,2위 차이나는것보다 3위 아래하고는 차이가 훨씬 더크거든요. 3위 인텔은 아직 파운드리 영업이 궤도에 안올라서 논외로 봐야하고요.
interconnect
22/02/23 14:47
수정 아이콘
밝은 면과 어두운 면이 있습니다.
밝은 면은 TSMC, 삼성, 인텔말고는 현실적으로 따라올 수 회사가 없다는 게 증명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반도체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해서 삼성 파운드리도 지금 생산하기 벅찰 정도입니다.
어두운 면은 TSMC와 삼성 간 격차가 쉽사리 좁혀지기 좀 어려워보이고 TSMC 이 지금 짓고 있는 어마어마한 라인 활성화되는 시점과 반도체 수요 떨어지는 시점이 겹치면 삼성에 위기가 올 수도 있어 보입니다. 워낙 돈이 어마어마하게 들어가는 산업이라 가는 것도 한 순간일 것 같아요.
카사네
22/02/23 12:01
수정 아이콘
외계인이 저기로 이주를 했나...
nm막장
22/02/23 12:07
수정 아이콘
인텔에 있던 외계인들이 이직했다 합니다
벌점받는사람바보
22/02/23 12:11
수정 아이콘
인텔 한번 밀려났더니
돌아올수가 없어보이네요 크크크
닉네임을바꾸다
22/02/23 12:14
수정 아이콘
(수정됨) 흐음 일단 12세대가 괜찮아서...
까놓고말하면 설계능력에선 아직 덜 죽었죠...공정이 진척이 멈췄던거지...그래서 공정 바뀌고 신설계 적용하고 이러니까 성능에선 업치락뒤치락이 되고 있는거 아니겠습니까...
22/02/23 12:17
수정 아이콘
배터리타임이 2배나 늘 수가 있나??? 대단하네요
22/02/23 12:27
수정 아이콘
돈 벌 구석이 없으면 문제가 되는데 일단은 아직 돈벌수있는 창구는 있어서 고객사가 있는동안 얼마나 따라잡느냐의 싸움이 되는듯 싶으요
겨울삼각형
22/02/23 12:35
수정 아이콘
??? : 2등도 잘한거야~
Bronx Bombers
22/02/23 12:36
수정 아이콘
일단 EUV 공정을 제대로 구현할 수 있는 곳이 TSMC와 삼성뿐이라.....

다만 예전에는 캐파 및 점유율만 TSMC가 앞서고 최신공정 도입 및 양산에서는 삼성이 앞서고 있었는데 EUV 와서 이제 둘 다 TSMC가 앞서가는 추세입니다. 최신공정에서조차 TSMC가 뒤집어서 점유율 차이가 지금보다 더 벌어질거라는 추측도 많고요.
닉네임을바꾸다
22/02/23 13:13
수정 아이콘
뭐 선단공정에서도 잘 따라갔을때가 6대 4정도였으니까 뭐...
22/02/23 12:41
수정 아이콘
Tsmc 쫓아갈 체급만 유지하면 호재입니다.
유지하다가 넘어서면 더 좋구요
22/02/23 12:56
수정 아이콘
힘내라 삼성...
22/02/23 13:10
수정 아이콘
삼파는 생각보다 수율 잡는 게 힘에 부치다는 소문이 돌던데....삼성도 헤매는 거 보면 인텔은 언제 라인 깔아서 언제 폼이 올라오려나 싶습니다.
오늘하루맑음
22/02/23 13:46
수정 아이콘
14나노로 일내야...
한방에발할라
22/02/23 14:11
수정 아이콘
tsmc도 딱히 수율이 좋지가 않습니다. 그래서 amd제품도 좀 딜레이 될 거라는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어요
샤르미에티미
22/02/23 13:41
수정 아이콘
상황 보면 삼성이 TSMC 잡을 가능성은 없어 보이고 격차가 더 벌어질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길게 보면 1위의 발전 속도보다 2위의 발전 속도가 빠를 수 있는데, 기술 발전은 올라갈 수록 더뎌지니까요. 그래도 독보적인 위치가 변하진 않을 것 같네요. 1위 업체가 돈도 더 많이 쓰고 인프라도 더 키우는 모양새에 정부 지원까지도 넘사벽이니 진짜 외계인이 몇 나타나서 단계를 끌어올리지 않는 한은 2위 업체로 만족해야죠.
DownTeamisDown
22/02/23 13:57
수정 아이콘
TSMC도 머리가 있으면 삼성을 죽이면 안됩니다.
죽이면 미국이나 다른나라가 반독점 같은거로 때려서라도 쪼갤거에요.
그래서 적당히 삼성정도는 살 수 있게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handrake
22/02/23 15:00
수정 아이콘
파운드리는 진입장벽이 생각보다 높은 모양이군요. 후발주자들이 영 힘을 못쓰네요.
Lord Be Goja
22/02/23 15:05
수정 아이콘
기존 회사들이 펜티엄4 말기에 쓰던 90나노급 공장을 지금 지을때 드는 비용이 2조원정도고 최신공정은 20조원정도 든다더군요
연구개발비같은거 다 빼고도 그정도니.. 3-4년전 공정을 목표로 회사당 수조원밖에 안 지원했던 중국의 반도체굴기는 성공하기가 너무 어려웠죠
Bronx Bombers
22/02/23 15:12
수정 아이콘
굳이 파운드리라서가 아니라 제조업 자체가 돈 놓고 돈 먹기 사업인데 특히 반도체는 그 놔야하는 돈이 수 조원도 아니고 수십 조원 수준이라 신규 업체가 진입하기엔 국가 단위로도 감당이 안 되는 수준입니다. 삼성이 파운드리에서 들인 돈에 비해 생각보다 돈을 못 범에도 버티는 이유는 메모리에서 압도적인 위상을 갖고 있어서구요.
우리아들뭐하니
22/02/23 15:41
수정 아이콘
아니 지금 5900HS인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49247 [유머] 푸틴 발표시 국방부장관의 표정 [8] 맥스훼인12371 22/02/28 12371
449246 [기타] 푸틴의 tv 연설 내용 + 미국 CBS " 러시아군, high alert 태세로 전환 " [61] 아롱이다롱이16750 22/02/27 16750
449244 [서브컬쳐] 이시국 가장 고민스러울 작가 [4] 길갈8835 22/02/27 8835
449243 [게임] 포켓몬스터 신작 발표 [28] 及時雨7215 22/02/27 7215
449242 [동물&귀욤] 수리부엉이를 구조할땐 ??을 쓰면 된다. [16] 덴드로븀8680 22/02/27 8680
449241 [기타] [속보] 푸틴, 핵무기 발사 준비 태세 명령 [73] 챨스15964 22/02/27 15964
449240 [기타] BJ감스트 여자친구 공개 [19] 묻고 더블로 가!17642 22/02/27 17642
449238 [유머] 간장계란밥 대결에서 패배한 백종원.jpg [15] 캬라12924 22/02/27 12924
449237 [유머] 여친하고 처음 모텔 갈 때 꿀팁 [23] KOS-MOS11700 22/02/27 11700
449236 [유머] 크라운제과 시대별 라인업 [14] Croove8756 22/02/27 8756
449235 [기타] 우크라이나 헤르손에 은행강도 출연 판을흔들어라7292 22/02/27 7292
449234 [기타] 아 서렌 좀 치라고!! [12] This-Plus8041 22/02/27 8041
449233 [유머] 부칸의 고속도로 남침 전술 [39] 맥스훼인10239 22/02/27 10239
449232 [기타] 피클은 왜 울퉁불퉁하게 자르는 걸까요? [13] 나스닥7798 22/02/27 7798
449231 [유머] 러시아 "서방 제재 계속하면 국제우주정거장 보급 끊겠다" [29] TWICE쯔위12514 22/02/27 12514
449229 [방송] 예술적인 도네 타이밍 [7] 닭강정9416 22/02/27 9416
449228 [기타] 서울 침공 난이도 3탄 [57] 카루오스12332 22/02/27 12332
449227 [기타] [오피셜] 독일, 군비증강 공식 선언 [54] 아롱이다롱이10407 22/02/27 10407
449226 [게임] 현 게임 리뷰 사태들의 근본적인 원인.jpg [3] 캬라6052 22/02/27 6052
449225 [기타] 손님이 오자마자 내쫓아버리는 카페 사장님 [16] 묻고 더블로 가!10703 22/02/27 10703
449224 [유머] 생방송에서 실수하는 우크라이나 민병대원 [12] 삭제됨9436 22/02/27 9436
449222 [LOL] 한시간 뒤면.. [23] 구라쳐서미안7688 22/02/27 7688
449221 [기타] 서울 침공 난이도 2탄 [131] 카루오스14493 22/02/27 1449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