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2/04 12:09:23
Name 퀀텀리프
File #1 machumppub.jpg (150.7 KB), Download : 12
출처 거기
Link #2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52616
Subject [기타] 안되요 안돼요


피지알 몇 프로 ?
컨닝 금지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탐화
22/02/04 12:10
수정 아이콘
아 왜 저 일러스트를 보면 킹받지
22/02/04 12:10
수정 아이콘
잠갔다는 몰랐네요
비행기타고싶다
22/02/04 12:10
수정 아이콘
해 하
22/02/04 12:11
수정 아이콘
설겆이
내꺼
단언컨데
몰랐네요
22/02/04 12:17
수정 아이콘
설거지는 설겆이도 맞는걸로 알고있어요
과거에는 설겆이가 표준어여서..
CoMbI COLa
22/02/04 12:24
수정 아이콘
많은 분들이 그렇게 아시는데, 설거지만 표준어이고 설겆이는 비표준어입니다. 설겆다 라는 표현이 사어가 되었거든요.
jjohny=쿠마
22/02/04 12:36
수정 아이콘
'단언하는데' 이런 느낌으로 생각해서 '단언컨데'로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으신데,
'단언하건대'의 준말이라서 '단언컨대'입니다.

"-건대" https://ko.dict.naver.com/#/entry/koko/ba2bdc87107e47aba612ccd929aed87b
아따따뚜르겐
22/02/04 12:11
수정 아이콘
얻다 대고였다니
22/02/04 12:14
수정 아이콘
안돼도 틀렸습니다. 안 돼가 맞습니다.
jjohny=쿠마
22/02/04 12:27
수정 아이콘
'안돼'가 맞을 때가 있고 '안 돼'가 맞을 때가 있습니다.

https://ko.dict.naver.com/#/correct/korean/info?seq=1001470
https://ko.dict.naver.com/#/correct/korean/info?seq=4891

즉, '안되'를 '안돼'로 바로잡는 것은 타당합니다.
22/02/04 14:01
수정 아이콘
에이 저기서 쓴 건 누가 봐도 부정의 의미잖아요. 안쓰럽다는 의미의 안되다는 단독으론 거의 안 쓰이니까요.
jjohny=쿠마
22/02/04 14: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누가 봐도'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헉꿈님께서 이미 그렇게 상정하고 보셨기 때문에 그렇게 보이는 거고요,

'안돼/안 돼'가 단독으로 쓰이면 '돼'의 부정표현으로서 사용된 게 맞지만,(그래서 '안돼'는 틀린 표기이지만)
문장 안에서 사용되면 '안돼'가 맞을 때가 있습니다.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106146

저 표에는 문장 안에서 사용되는 표현들도 많기 때문에, '안돼' 표기가 틀렸다고 할 수 없습니다.
실제상황입니다
22/02/04 14:21
수정 아이콘
그 구분이 사실 명료치 않아서 실상 안돼나 안 돼나 거기서거기라고 보고, 실제 용례상으도 거의 구분이 없이 쓴다고 봅니다. 그 차이를 구분하는 것이 언어의 다양성이다! 라는 분들도 많지만 너무 미묘한 차이라서 저는 뭐 그냥 그러려니 합니다. 다르다 틀리다 정도 되면 모를까.

솔직히 말해, 띄어쓰기라는 게 뭐 그냥 그런 것이죠. 앞좌석은 띄어써야 하지만! 뒷자석은 붙여써야 된다! 뭐 이런 수준이랑 비슷. 또 가령 합성동사와 보조용언 띄어쓰기라든가. 교수들도 수시로 틀릴 거예요 아마.
jjohny=쿠마
22/02/04 14:26
수정 아이콘
네 저도 대체로 그러려니 합니다.
맞춤법에 비교적 민감한 편인데, 띄어쓰기만큼은 민감도가 전혀 올라가지 않더라고요.
실제상황입니다
22/02/04 14: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는 뭐 맞춤법도 그러려니 하는 편입니다. 그러려니 해야 하는 게 타당한 것들도 수두룩하다고 보구요. 당장 저 표에서도 설렘이 맞다고 하는데 저는 사실상 설레이다라는 기본형이 하나 더 추가된 상태라고 봐요. 그저 규정이 언어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거죠. 비슷한 예시로 바램이 있죠. 제가 봤을 때 바래다라는 기본형이 하나 더 추가된 거나 마찬가지입니다. 아니 아주 오래 전부터 추가돼 있었죠. 아 하여튼 규정대로만 따져보면 그렇다는 거니까~ 하면 뭐 그것도 그러려니 하긴 하는데... 그 규정에 좀 아쉬운 부분이 있다는 얘기도 해볼 수밖에 없는 것이고(그런 식의 잣대가 실제언어생활을 "규정"짓고 억압할 것이기 때문에)... 뭐 그렇습니다.
Foxwhite
22/02/04 12:16
수정 아이콘
외않되?
케이아치
22/02/04 12:18
수정 아이콘
다 알고 있엇던거긴 한데.. [치르다] 좀 추가해주면 좋겠네요 크크
크림샴푸
22/02/04 12:19
수정 아이콘
전 겨드랑이 암내/ 썩은내 사람들이 왜 이렇게 선호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고객문의 80% 이상이 "조취" 좀 취해주세요 로 보내더군요.... . 제발.. 겨드랑이 냄새에 취해달라는 요청은 그만요...

고객센터 직원이 스스로의 겨드랑이 암내에 취해서 쓰러지면 일은 누가 합니까.. 고객님들
모나크모나크
22/02/04 13:38
수정 아이콘
조취라는 말이 겨드랑이 냄새라는 뜻인지 처음 알았어요... 애초에 조취라는 말이 있는지도 몰랐음
StayAway
22/02/04 12:19
수정 아이콘
대부분은 공동 표준어가 되겠죠.
피우피우
22/02/04 14:42
수정 아이콘
몇 가지 경우를 제외하곤 표기나 발음의 문제가 아니라 문법의 문제인지라 그리 쉽게 표준어로 인정되진 않을 겁니다.

짜장면/자장면의 경우와 되/돼의 경우는 결이 아예 다르죠.
StayAway
22/02/04 14:45
수정 아이콘
꼬시다나 이쁘다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대중들이 많이 쓰면 문법적인건 부차적인 문제입니다.
결국 글의 가장 큰 역할중 하나는 말을 표현하는거니까요.
피우피우
22/02/04 14:48
수정 아이콘
표준어를 규정하는 게 표준어 이외의 말을 쓰지 못하게 금지하는 건 아니잖아요.
꼬시다나 이쁘다나 둘 다 표준어는 아니지만 대중적으로 널리 쓰이는 말로 계속 쓰이겠죠. 이런 식으로 많이 쓰이는 비표준어는 아주 많고요.

그리고 사실 표준어는 말에 관한 규정이고 글에 관한 규정은 아니죠. 글에 관한 규정은 한글 맞춤법이죠.
StayAway
22/02/04 14:56
수정 아이콘
꼬시다나 이쁘다는 표준어가 되었습니다.
피우피우
22/02/04 15:04
수정 아이콘
어 그러네요? 짜장면 표준어될 때에 인식이 멈춰있어서 그 뒤에 표준어 인정된 것들은 몰랐네요.

근데 둘 다 그냥 새로운 단어가 표준어로서 인정된 거지 새 문법이 인정된 게 아니니까 여전히 되/돼의 구분과는 결이 다르다는 건 변함이 없습니다.

꼬시다, 이쁘다의 경우와 유사하게, 위에 실제상황입니다 님이 적어주신 것처럼 '설레이다'나 '바래다'같이 새 기본형을 인정함으로써 표준어로 새롭게 인정할 수 있는 것들이 있는 반면.. 되/돼를 구분하는 건 문법의 문제라 '안 되'를 인정하는 건 쉽지 않겠죠.
StayAway
22/02/04 15:07
수정 아이콘
꼬이다 꼬시다는 뭐 그럴수도 있는데
음.. 되/돼 같은 문법으로 따져도 이쁘다는 문법적으로 전혀 맞지가 않아요..
전 문법적으로 오류가 있더라도 통상적으로 널리 쓰이면
그 또한 표준어로 인정되는 경우가 많다 뭐 그런이야기니까요.
StayAway
22/02/04 15:03
수정 아이콘
문법적으로 따지면
고소하다의 경상도 방언 혹은 꾀다의 잘못된 표기인 꼬시다가 표준어가 될 이유가 없고
어여쁘다에서 나온 예쁘다의 서울 방언인 이쁘다가 표준어가 될 이유가 없죠.
실제상황입니다
22/02/04 15:11
수정 아이콘
되냐 돼냐는... 문법상 종결어미 "어/아"와의 결합유무랑 관련이 있기 때문에 그렇게 볼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 문법체계 자체도 바뀔 수는 있다고 봅니다만... 가능성은 작지 않나 싶네요.
실제상황입니다
22/02/04 15:07
수정 아이콘
둘 다 표준어입니다. 그리고 이게 비표준어 배제의 현실이기도 합니다. 표준어로 계속 포섭되는 거죠. 그만큼 규범이 언어현실을 반영하는 속도가 느리다는 뜻도 되고. 물론 뭐 이것도 결로 따지자면 짜장면 쪽에 가깝다고 보지만요.
피우피우
22/02/04 15:12
수정 아이콘
짜장면과 결이 비슷한 것들은 표준어로 더 많이 인정해줘도 사실 아무 문제없죠. 둘 다 그런 이유에서 표준어가 되었을 거라고 생각하고요.
실제상황입니다
22/02/04 15: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근데 저는 그... 역할이냐 역활이냐처럼 한자어의 경우에는 구분의 실익이 크지 않나 싶어서 좀 보수적이긴 합니다. 얘기하다 보니까 저도 잘 모르겠다 싶어지네요.. 그냥 역활이라 그럴 수 있을 것 같기도 하고...
페로몬아돌
22/02/04 12:19
수정 아이콘
되팔렘도 대팔렘일려나 크크크
22/02/04 12:26
수정 아이콘
되팔렘은 도로 파는걸 뜻하니까 그대로 두면 됩니다 크크
카마인
22/02/04 12:58
수정 아이콘
대팔룀!
서쪽으로가자
22/02/04 12:22
수정 아이콘
오른쪽은 거의 제대로 알고 있는데, 왼쪽은 모르거나 헷갈리는 것들이 꽤 있네요
랜슬롯
22/02/04 12:22
수정 아이콘
역활 역할이 꽤 오래 헷갈렸습니다. 요샌 안틀리긴한데..
카루오스
22/02/04 12:23
수정 아이콘
우리의 바램이었어~
22/02/04 12:2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되/돼 는 돼가 되어가 줄어든것이기 때문에 되어를 넣어보면 쉽습니다 안 되어요= 안 돼요(O)
~가 되면(O) ~가 되어면(X)
kartagra
22/02/04 12:25
수정 아이콘
돼 는 되어요로 바꿔보고 말 된다 싶으면 거의 들어맞습니다. 사실 저도 소설쓰다보니 되 돼 헷갈려서 죄다 되어로 바꿔버림 크크. 뵈 봬도 마찬가지죠. 뵈어요->봬요 이거라.
어차피 인터넷에서 띄어쓰기야 크게 신경 안 쓰긴 하는데, 현실에서도 자주 실수하는 띄어쓰기는 전 '수밖에'가 있네요. 자꾸 '그럴 수 밖에'이런 식으로 쓰게 됨.
Jon Snow
22/02/04 12:26
수정 아이콘
요즘엔 내요 쓰는게 제일 거슬립니다 크크
카마인
22/02/04 12:58
수정 아이콘
이리 내요!
22/02/04 12:28
수정 아이콘
붉어지다 - 불거지다 / 들어내다 - 드러내다 가 없네요. 자주 보이는데…
김하성MLB20홈런
22/02/04 12:43
수정 아이콘
크크 저도 딱 이거 얘기하려고 스크롤 내렸는데 먼저 댓글 다셨네요
jjohny=쿠마
22/02/04 12:44
수정 아이콘
붉어지다랑 들어내다는 의미에 따라서 맞는 경우도 있어서 '틀린 말' 란에 넣을 수가 없을 겁니다.
22/02/04 12:29
수정 아이콘
설레임은 동명 아이스크림 때문에 익숙하긴 하지만 그 자체의 어감도 설렘보다 더 설레는 느낌이라..
22/02/04 12:29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어서오고
22/02/04 12:30
수정 아이콘
바램 바람 설레임 설렘 정도는 둘 다 표준어로 해도 될거같은데...바람 바램은 뭐 문법 때문에 안된다는 글을 본거같기도 하고
태양의맛썬칩
22/02/04 12:31
수정 아이콘
저는 ‘되’ 대신에 ‘하’를 넣어보고
‘돼’ 대신에 해’를 넣어보는 식으로 구분합니다
22/02/04 12:31
수정 아이콘
~하더라도 를 ~하더라고 로 쓰는게 제일 거슬렸었는데 요즘은 잘 안보이는것같기도...
22/02/04 12:34
수정 아이콘
뒷자석 뒷좌석
abyssgem
22/02/04 12:36
수정 아이콘
어지간해선 맞춤법 틀리지 않는 편이라고 자부하는데 금새/금세는 몰랐네요.

今+사이의 준말로 생각해서 항상 '금새'가 맞다고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今時에'의 준말인 '금세'가 맞는군요. 역시 우리말은 만만치 않음
jjohny=쿠마
22/02/04 12: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본문에 있는 내용들 중에 금새-금세를 제일 마지막에 알았습니다.
아마 그 때도 PGR에서 알았던 것 같은데, 그 날의 충격이 아직도 기억에 남아 있습니다. 히익
초보트레이너
22/02/04 12:36
수정 아이콘
맞히다와 맞추다의 용법도 많이 틀리더라구요. 요즘은 그냥 그러려니하고 넘깁니다.
과수원옆집
22/02/04 12:36
수정 아이콘
제가 장염 걸렸을때, 제가 좋아하는 누나와 친구가 모두 '장염 빨리 낳길 바래'라고 해줬습니다ㅠㅠ
abyssgem
22/02/04 12:46
수정 아이콘
'낳다'는 몸 밖으로 내보낸다는 의미가 있으니 꼭 틀린 말이라곤 할 수 없습니다? 카카
지니팅커벨여행
22/02/04 12:48
수정 아이콘
그린라이트였군요. 그래서 사귀셨나요?
과수원옆집
22/02/04 13:05
수정 아이콘
다른 차에 추월 당했습니다...
22/02/04 13:18
수정 아이콘
저런… 상처가 빨리 낳으시길 바랩니다
과수원옆집
22/02/04 13:31
수정 아이콘
15년전 상처가 다시 아려옵니다 으아아아
김하윤
22/02/04 14:22
수정 아이콘
상처가 잘 낳길 바람 니다 크크
지니팅커벨여행
22/02/04 14:58
수정 아이콘
그 상처는 애를 낳으셔야 치료가 될 법한...
벌점받는사람바보
22/02/04 12:52
수정 아이콘
제 맞춤법 상태가 심각하네요 --;
22/02/04 13:02
수정 아이콘
며칠이랑 설거지 틀리는 분들이 많더라구요
22/02/04 13:03
수정 아이콘
웬지 / 왠지(O) 도 추가했으면..
미네르바
22/02/04 13:06
수정 아이콘
무적권 / 무조건(O) 무적의 주먹은 좀..
22/02/04 13:11
수정 아이콘
금새/금세는 완전히 처음 알았어요.
이렇게 또 하나 배워갑니다.
유자농원
22/02/04 13:14
수정 아이콘
외않된데?
썬업주세요
22/02/04 13:35
수정 아이콘
지껄이다
하자마자
메타몽
22/02/04 13:44
수정 아이콘
설겆이로 알고 있었는데 설거지 였군요!? (+내 거)

그 외에는 금세, 어떡해, 일일이가 알면서 헷깔리는 단어네요
Remainder
22/02/04 13:44
수정 아이콘
바람은 아는데 별로 쓰고싶지 않아요 크크 바랐다.. 너무 어색함
뺙뺙뺙
22/02/04 13:45
수정 아이콘
되, 돼는 분명 알고 있는데
약간 탈트오듯이 이게 맞나 싶을때가 있음
22/02/04 14:01
수정 아이콘
설레임... 이 정도는 좀 봐줘도 되지 않나;
시무룩
22/02/04 14:03
수정 아이콘
공무원 시험 대비 중이라서 다 본 거네요 크크
문제 풀 때 헷갈리지 않으려고 최대한 인터넷에 글 쓸 때도 맞춤법 다 지키려고 하는데 쉽지 않네요
특히 띄어쓰기는 배워도 헷갈리고 ㅠㅠ
이민들레
22/02/04 14:20
수정 아이콘
안됌>안됨
SG워너비
22/02/04 14:39
수정 아이콘
얻다 대고가 맞다니
피우피우
22/02/04 14:40
수정 아이콘
사실 저기 올라온 것들은 틀리는 경우가 오히려 드물어서 괜찮은데
던/든 구분하는 건 맞게 쓰는 사람을 본 적이 거의 없어요.
'-든'을 써야할 자리에 '-던'을 쓰는 걸 볼때마다 혼자 스트레스 받고 있습니다 크크..
지니팅커벨여행
22/02/04 15:02
수정 아이콘
그러던 말던 신경쓰지 마시고 늘 했든대로 하세요~
동굴범
22/02/04 18:12
수정 아이콘
저 중에 몇개는 언젠가는 공동 표준어가 될 가능성이 높네요.
어따 대고, 오랫만에, 바램. 설겆이, 몇일, 내꺼 등등..
황제의마린
22/02/04 19:31
수정 아이콘
설레임은 오타라고 보기에 뭔가 참.. 애매하네요

내일 컴퓨터가 와서 기분이 설렘

내일 컴퓨터가 와서 기분이 설레임

별로 틀린걸 모르겠는데
Just do it
22/02/04 20:11
수정 아이콘
어우... 진짜 한글도 참 어렵네요.
저도 많이 틀린게 쓰는게 많은듯
학교다니던 시절 공부하듯이 안하면 어떻게 고치죠;
퀀텀리프
22/02/04 23:41
수정 아이콘
암말도 안하면 맞춤법 안틀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48312 [게임] 햄탈워3 메타크리틱 점수 공개 [7] EpicSide4827 22/02/15 4827
448311 [유머] 절대 곱게 안 보내주는 세 나라 [11] 길갈11538 22/02/15 11538
448310 [유머] 친한 회사 사람의 기준.txt [92] KOS-MOS14038 22/02/15 14038
448309 [유머] 전라도에서 팥죽을 시키면 나오는 것.jpg [27] KOS-MOS9001 22/02/15 9001
448308 [LOL] 두 눈이 썩어버리는 LCK 최고 원딜러들의 배틀 [1] League of Legend7139 22/02/15 7139
448307 [유머] 답답이들 인성질로 되갚아주는 인성꾼 모짜르트 [2] League of Legend6315 22/02/15 6315
448306 [서브컬쳐] 퍼리 업계에 존재하는 저주받은 밈 [5] 인간흑인대머리남캐6301 22/02/15 6301
448305 [게임] [하프라이프2] 17번 지구 관광객 [1] 우스타4813 22/02/15 4813
448304 [유머] 초코롤 만들어 혼자 먹다 들킨 백종원 [3] 42년모솔탈출한다9971 22/02/15 9971
448302 [유머] 요새 사람들이 항상 불행한 이유.jpg [49] 삭제됨14378 22/02/15 14378
448301 [유머] 그녀가 모태솔로인.eu [13] KOS-MOS10511 22/02/14 10511
448300 [서브컬쳐] 국산 애니 유부녀 캐릭터 인기 순위(수정끝) [19] Lord Be Goja7848 22/02/14 7848
448299 [기타] 췌장암을 유발하는 음식 5가지.jpg [31] 김치찌개8521 22/02/14 8521
448298 [유머] 카풀 중 조수석 여자가 뒤로 눕는 이유.jpg [22] 김치찌개11239 22/02/14 11239
448296 [유머] 흔한 자국내의 군대 재배치 [12] 길갈8455 22/02/14 8455
448294 [기타] 땀 흘리는 운동, 매일 하면 효과 없다.jpg [15] 김치찌개9068 22/02/14 9068
448293 [유머] 스페이스 간담브이V 아시면 ✋손.jpg [17] 김치찌개4878 22/02/14 4878
448292 [유머] 경상도에서 떡국먹을때 넣는다는 재료.jpg [30] 김치찌개8368 22/02/14 8368
448290 [기타] 아프리카에서 압도적 인기를 누리고 있는 이모티콘 [13] 묻고 더블로 가!12984 22/02/14 12984
448289 [유머] 현재 카카오톡 인기 이모티콘 10위! [43] 삭제됨12966 22/02/14 12966
448288 [기타] 눈 가리고 재밌는 체험해보기 [8] 묻고 더블로 가!7212 22/02/14 7212
448287 [유머] 니 신랑 니 아들 기분 나빠요.txt [43] KOS-MOS11601 22/02/14 11601
448286 [기타] 최근 독일이 욕 먹는 이유 [20] 판을흔들어라11557 22/02/14 1155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