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3/29 02:41:29
Name 니시노 나나세
File #1 20200329_023528.jpg (198.2 KB), Download : 74
출처 LPL유튜브
Subject [LOL] LPL에 올라온 역대 롤드컵 우승팀 랭킹


전체적으로 중국팀들을 고평가하는편.

그리고 14삼화나 15슼은 리스펙수준.

17삼성은 중국에서 우승한거라 평가가 좋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좋은데이
20/03/29 02:45
수정 아이콘
한국에선 14삼화랑 15슼은 대체로 갈리는 가운데 15슼을 좀더 위로 쳐주는 편이긴한데 저건 뭐 그렇다치고
13슼이 꽤 낮네요? 당시 느꼈던건 13슼, 12TPA 진짜 엄청났는데 대진도 험난했구요.
14/15를 제외하면 13슼/18IG > 12TPA/19FPX > 16슼/17삼성 느낌이네요 전..
다레니안
20/03/29 02:47
수정 아이콘
시대보정을 해야한다지만 우승팀과 그 아래팀간의 격차가 큰건 14삼화 15스크 못지않게 13SKT 12TPA도 압도적이었다고 보는데 역시 시간이 흐를수록 저평가가 될 수 밖에 없나 봅니다.
이정재
20/03/29 02:49
수정 아이콘
차이로 따지자면 EU메타 도입한 프나틱도...
한걸음
20/03/29 03:03
수정 아이콘
13슼은 나진 소드한테 엄청 고생했고, TPA 역시 M5랑 혈전 아니었나요? 15슼은 2차 타워 하나로 설명되고, 14삼화는 우승경쟁팀 삼블을 2만골 차로 그야말로 박살을 낸 걸 볼 때 12TPA, 13슼 보다 고평가 받을 수밖에 없다고 봅니다.
RedDragon
20/03/29 03:23
수정 아이콘
12 TPA 는 3:2 3:1 승이어서 압도적 까지는 아니었다고 봅니다. 근데 임팩트는 대단했죠...
한걸음
20/03/29 03:56
수정 아이콘
4강은 bo3 였을거에요
RedDragon
20/03/29 05:39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풀세트였던거만 기억이 나서..
감별사
20/03/29 02:47
수정 아이콘
이거 LPL에서 평가한 거예요? LPL팬들이 평가한 거예요? 아니면 저 Fionn이라는 espn기자가 평가한 거예요?
이불베개
20/03/29 03:08
수정 아이콘
기자의 평가를 옮겨 놓은 것입니다.
감별사
20/03/29 03:15
수정 아이콘
기자 개인의 평가였군요.
저는 또 LPL 선수들이나 감독들이나 중계진들 아니면 팬들이 저렇게 평가한 줄 알았네요.
20/03/29 02:59
수정 아이콘
LPL 입장에선 자기네 리그로 넘어와서 정복해버리는 모습을 똑똑히 지켜봤기 때문에 구 삼성을 더욱 고평가하는 것 같기도 합니다.
좋은데이
20/03/29 03:05
수정 아이콘
12,13,16 - 미국
14,18 - 한국
15,19 - 유럽
17 - 중국
이죠. 조별리그도 대만,싱가폴에서 했구요.
저격수
20/03/29 03:05
수정 아이콘
14 삼성은 해체된 뒤에 구성원이 모두 중국팀으로 갔다는 의미일 겁니다.
좋은데이
20/03/29 03:07
수정 아이콘
아아 그렇군요. 그럼 이해되네요.. 롤 엑소더스 이야기군요.
20/03/29 03:38
수정 아이콘
엑소더스와 그 이후의 행보를 의미한 거고, 본문은 ESPN 기자 Fionn의 주관적인 평가로 보이지만 실제로 LPL 신인선수들의 인터뷰를 보면 내 롤모델은 댄디 혹은 마타 따위의 얘기가 자주 등장할 정도로 구 삼성을 기억하는 이들이 아직도 많습니다. 최초의 국제대회 타이틀을 안겨준 것도 그들이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요. 물론 그런 영향을 차치하고 롤드컵 대회에서의 막강함만으로도 충분히 1위를 차지할만하다 생각합니다.
20/03/29 03: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17삼성이 좀 저평가되는거같아 아쉬웠는데 여기선 그래도 중간은 가서 좋네요 크크 나름 토너먼트 3대0 3대1 3대0 완벽했는데 조별리그 부진과 향로의 강렬함에 묻혔죠... 물론 저평가의 원인 중 제일 큰건 멤버 그대로가서 그 다음 스프링 바로 말아먹은거긴하지만요 크크
wersdfhr
20/03/29 03:28
수정 아이콘
그래도 역시 가장 충격적인건 2012년;;;

2011년이야 논외로 치더라도 TPA 우승 예상한 사람은 최소한 한국에는 없었을듯
20/03/29 03:34
수정 아이콘
12 tpa 우승이 진짜 압도적인데 8위라니 크흠..
하늘의이름
20/03/29 03:35
수정 아이콘
2017 삼성도 아주 압도적이었죠. 스토리도 3:0으로 지난 우승팀을 박살냈기 때문에,,
그저 상대적으로 인기팀이 아니었을뿐.
랜슬롯
20/03/29 03:54
수정 아이콘
TPA는 리그 시작전엔 예상 못했지만, 롤드컵 시작하고 나서는 우승할 것같다라는 생각을 하긴했습니다. M5를 이긴건 솔직히 진짜 충공깽이였구요.
코우사카 호노카
20/03/29 04:06
수정 아이콘
17 삼성은 조별부진이 커서 크다고 봐서 저위치가 맞는것 같고 14 한단계 내리면 제 생각이랑 비슷..
이 아니라 13도 17위로..
묻고 더블로 가!
20/03/29 04:22
수정 아이콘
17 삼성이 19 fpx보다 낮을 이유는 딱히 없어보이는데...
대학생이잘못하면
20/03/29 04:24
수정 아이콘
전 14삼화랑 15슼은 다른 의미로 넘사벽이었다고 생각합니다
15슼은 당시 메타에서 모든 부분에서 압도적 우위를 점했고
14삼화는 아예 자기들만 다른 메타에서 게임을 했고요
둘 중 뭐가 더 대단한지는 그냥 개취 차이가 아닐까 싶기도...
더치커피
20/03/29 07:07
수정 아이콘
1,2,3위의 공통점은 '초반부터 터뜨린다'인 거 같네요
라인전에 비해 한타에 강점있는 팀들이 상대적으로 순위가 낮은듯
의미부여법
20/03/29 07:49
수정 아이콘
14삼성을 15skt보다 중국에서 높게 치는건 자국팀 이기고 우승해서...
20/03/29 08:50
수정 아이콘
12 TPA는 배틀로얄때문에 그렇지 멤버 각자는 북미나 한국 솔랭에서 유명한 사람들이었죠.
그나마 덜 알려진 원딜도 까보니 세체원이었고
아스미타
20/03/29 09:00
수정 아이콘
14삼화는 다른 게임을 했었죠
15슼은 같은 게임인데 슼 혼자 너무너무너무 쌧고..
20/03/29 09:58
수정 아이콘
조별리그서부터 결승까지 얼마나 압도적이었는가로 순위를 매긴 게 아닐까 싶네요. 14삼화와 15슼은 해당 대회에서 어느 팀과 붙어도 질 수가 없겠다 싶긴 했었음..
차은우
20/03/29 11:14
수정 아이콘
https://twitter.com/FionnOnFire/status/1242541586530979842?s=19

원문인데 아래에 바로
<A lot of these are coin flips
SSW vs SKT 15 is really a difficult pick>라고 적었네요
취향차로 봐도 괜찮을거같아요
가을의전설
20/03/29 12:13
수정 아이콘
17삼성은 토너먼트에선 좋았으나 조별에서 rng 에게 2판 다 탈탈 털리는 바람에 찝찝하죠...
20/03/29 12:52
수정 아이콘
다른건 몰라서 17 삼성은 스토리가 너무 좋음. 레전드 네버 다이.
20/03/29 15:17
수정 아이콘
그들만의 선정이니 존중은 합니다만 한편으로 제정신으로 선정한건지 싶고 지들과 관련이 조금이라도 연관된 순위가 고순위네요 그래서 그냥 무적이자 압도 역대최강인 15SKT가 지들 중국팀과 결승이였단 이유로 14SSW를 1위로 놓았다는데 개소름
창술사
20/03/29 17:12
수정 아이콘
적절한 평가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81523 [LOL] 브론즈: 나 라인전 어떻게 이기는지 알았어! [5] 가스불을깜빡했다7666 20/03/31 7666
381522 [유머] 스님의 가르침은 으뜸이니 [8] 쵸코하임9162 20/03/31 9162
381521 [기타] AMD 젠2,4천대모바일프로세서 탑재 노트북 근황.. [13] Lord Be Goja7710 20/03/31 7710
381520 [유머] 코스피근황 [57] 불행12788 20/03/31 12788
381519 [LOL] EG 순위결정전 마지막 한타 [22] 미원7160 20/03/31 7160
381518 [유머] 조조와 원소.. 결정적인 차이..jpg [42] 꿀꿀꾸잉10387 20/03/31 10387
381517 [게임] 떡밥 흘리자마자 나와버린 리마스터 .. [13] Lord Be Goja11112 20/03/31 11112
381516 [기타] 도쿄 근황 (코로나 아님) [27] SURL12310 20/03/31 12310
381515 [유머] 위협 운전 신고 가능? [23] 길갈10152 20/03/31 10152
381514 [기타] 배우 유인영이 키가 큰 이유.jpg [15] 살인자들의섬17536 20/03/31 17536
381513 [기타] 한신의 반란.jpg [11] 은장식10043 20/03/31 10043
381512 [유머] 의외로 한국인 [12] 불행10879 20/03/31 10879
381511 [게임] 넥슨의 신작 [8] Lord Be Goja8682 20/03/31 8682
381510 [게임] [동숲]제발 인기주민이냐 아니냐 그런거 신경쓰지말자 [8] 고라파덕9031 20/03/31 9031
381509 [게임] 헤쳐모여 군인의 숲 [24] 카루오스10769 20/03/31 10769
381508 [유머] 씨젠 외국인 세력 다량 매집중.jpg [13] 삭제됨12742 20/03/31 12742
381507 [연예인] snl - 게임가게 아저씨의 초간단 요리 [7] 니나노나9762 20/03/31 9762
381506 [게임] [WOW] 와우 전문 스트리머의 어제와 오늘.AOJ [10] 이호철7840 20/03/31 7840
381505 [동물&귀욤] 어린이집에서의 대화 [2] 니나노나6643 20/03/31 6643
381504 [기타] 민식이법 1호(?) 사고.gif [167] AKbizs19709 20/03/31 19709
381502 [LOL] LCS NA 스프링 시즌 완료! [19] 5925 20/03/31 5925
381501 [연예인] 호랑이 vs 사자 (이말년 주호민 토론) [2] 니나노나6903 20/03/31 6903
381500 [게임] [발로란트] 게임 플레이 미리보기 [17] 이호철7449 20/03/31 744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