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1/21 22:17:21
Name TWICE쯔위
File #1 SUB.jpeg (179.3 KB), Download : 61
출처 더쿠
Subject [서브컬쳐]  일본 만화가가 말한 애니 극장판으로 작가가 버는 돈.jpg


팬네임. 은혼 극장판 최고였습니다!!!의 질문


선생님께 질문입니다.

요번에 어머니가 '극장판 은혼'이 히트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그 정도로 인기가 있으면 분명히 (롯본기)힐즈에도 살고 있겠네~'라고 했습니다. 정말입니까?








생생한 답변을 드리자면 영화라는 건 아무리 관객이 많이 들어도 작가 손에 들어오는 건 아무것도 없습니다.

처음에 원작사용료라는 게 지불되는 것뿐입니다.

전체 흥행수입으로 보면 코딱지만한 액수죠.

돈 대부분은 슈에이사, 선라이즈 같은 더러운 악덕기업 손에 들어갑니다.

차라리 단행본을 파는 편이 훨씬 더 돈이 됩니다.

그런데도 왜 혈뇨를 흘리면서까지 영화에 협력했느냐고 물으면 세상에는 힐즈따위보다 멋진 물건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건 말이죠 어머님 당신의 마음입니다.

여러분 마음에 은혼이 전해질 수 있다면 저희는 골판지힐즈에 살아도 상관없습니다.

작가만은 그런 성실한 마음으로 작품을 만드는데 몰두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어머님 저희를 불쌍하게 여기시면 영화만이 아니라 단행본도 사서 인세로 저를 힐즈에 살게 해주세요.






한줄요약
극장판으로는 작가한테 돈이 안되니 단행본을 사달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던파망해라
20/01/21 22:18
수정 아이콘
저렇게 대놓고 까발리는게 은혼답다고 할지 크크크
20/01/21 22:19
수정 아이콘
단행본을 사딸라
꿀꿀꾸잉
20/01/21 22:19
수정 아이콘
애니를 영화화 하는 이유가 있었구나..
유료도로당
20/01/21 22: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계약하기 나름인것같은데... 처음에 일시불로 원작사용료만 받는 계약을 할수도 있지만, 예를 들어 주호민 작가의 경우 신과함께 영화를 런닝개런티로 계약했다고 들어서요.
TWICE쯔위
20/01/21 22:23
수정 아이콘
저긴 원작자뿐만 아니라 영화감독도 돈벌기 힘든 구조라... 아마 저런식의 계약이 대다수일겁니다.
이십사연벙
20/01/21 22:28
수정 아이콘
요는 누가 갑이고 누가 을인지에 따라서 계약관계가 변한다는 아주 심플한 내용이네요

1편에 천만 들었으니 2편이야 원작자가 갑이겠죠...
유료도로당
20/01/21 22:34
수정 아이콘
신과함께 영화 1,2편 개봉 자체는 1년의 텀이 있지만, 촬영과 제작은 동시에 진행한걸로 알고있습니다. 한번에 2편까지 다 만들어놓고 공개만 시간차로 한거죠. 아마 계약도 처음 한번에 다 하지않았을까 생각합니다.
유니언스
20/01/21 22:35
수정 아이콘
제가 들어본 일본 영화계라면 저 방식이 주류라고 해도 이상하지가 않아서...
모쿠카카
20/01/21 22:35
수정 아이콘
일본은 일명 제작위원회라는 시스템으로 각각 분야별로 회사가 투자하고 정작 제작자들한테는 처음에 정해준 돈만 주는 시스템이라
흥행하든 망하든 런닝 개런티가 없어서.. 카메라를 멈추면 안돼도 예산에 비하면 엄청 흥행했지만 제작사나 감독한테 돌아간건 없다고 하죠
마스터충달
20/01/22 03:36
수정 아이콘
진짜 제작위원회가 일본 영화계를 망...
20/01/21 22:36
수정 아이콘
일본 영화시장이랑 한국 영화시장이 차이가 엄청나다고 들었습니다.
한사영우
20/01/21 22:37
수정 아이콘
일본쪽에서는 아예 감독을 하거나 다른방식으로 애니에 참가하면 모를까 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작사용료밖에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처음에만 돈을 받는거죠. 그것도 1편이 성공해서 2편은 더 받고 싶어도 그것도 안되는 구조라고 알고 있습니다.
3.141592
20/01/21 22:40
수정 아이콘
일본 영화계는 좀 특이해서(그쪽 문화계는 다 특이하지만) 투자자와 극장이 절대다수를 가져가는 계약 이외가 거의 불가능할겁니다. 영화감독도 아무리 흥행시켜도 거의 개런티를 못받는 구조니까요. 하물며 원작자는 드래곤볼 원작자 정도나 가능할지..?
유료도로당
20/01/21 23:03
수정 아이콘
일본은 확실히 뭔가 이상한 포인트에서 자기들만의 특이함이 남아있는 부분이 많은듯합니다.. 크크
소녀전선
20/01/21 23:00
수정 아이콘
저기는 한국이 아니라 일본입니다 선생님,,
독수리가아니라닭
20/01/21 23:08
수정 아이콘
일본은 다들 저런 식인 것 같습니다. '야 어차피 애니화든 영화화든 되면 단행본이 매대에서 좋은 자리에 깔리니 그거면 되는 거 아니냐'라는 식이죠.
강미나
20/01/21 23:12
수정 아이콘
그래도 시장이 워낙 크다보니 내 노력을 이거 받고 팔라고? 하기엔 너무 큰 돈이라고 하더군요.
모리 히로시 같은 경우는 모든 것이 F가 된다가 드라마화 되고 나서 그동안 번 만큼을 또 벌었다고....
절름발이이리
20/01/21 23:44
수정 아이콘
한국 웹툰이야 대개 2차판권이 작가에게 있으니 계약하기 나름이지만, 일본은 그 권리가 출판사 보유입니다. 즉 애초에 작가는 미디어믹스나 캐릭터상품등 계약의 주체가 아닙니다. 출판 잡지 연재를 포기하면야 권리를 가질 수 있겠지만 현실적으로 어렵죠.
솔로15년차
20/01/22 01:48
수정 아이콘
계약하기 나름이긴한데, 일본에선 작가가 흥행수익을 얻으려면 지분도 참여해야할겁니다. 작가가 직접 지분에 참여한다면 아마 그건 환영할거예요.
그리고 그게 아니더라도 홍보효과는 있으니까요.
ioi(아이오아이)
20/01/21 22:35
수정 아이콘
저긴 영화제작위원회인가 뭔가 하는 데가 주도하는 곳이라 영화로 돈 벌기 쉽지 않죠
本田 仁美
20/01/21 22:44
수정 아이콘
일본 작가들이 판권을 가지고 한국에서 계약을 해서 극장판을 일본으로 수출하는 형태로 하는 방법은 어떨까요?
비오는풍경
20/01/21 22:58
수정 아이콘
굳이 그런 시도를 할 한국 기업이 없죠
20/01/21 23:04
수정 아이콘
올드보이 같이 일본만화를 한국에서 영화화한 케이스가 있긴한데 어떤 식으로 계약 되었는지 궁금하긴 하네요.
Chasingthegoals
20/01/22 01:40
수정 아이콘
올드보이는 만화 자체가 인기가 없어서 헐값에 판권을 산 걸로 알고 있습니다. (찾아보니 2만불)
나중에 영화를 완성하고 일본에 수출할 때 2백만불을 받고, 영화가 흥행하면서 출판사에서 굉장히 배가 아팠다는 후문이 있었습니다.
덤으로 리메이크 판권까지 3백만불까지 팔았으니, 그야말로 초대박.
절름발이이리
20/01/21 23:41
수정 아이콘
2차 판권을 작가가 가지게 계약하는 일본 만화잡지가 거의 없을 겁니다. 그깟 잡지 안 실겠다 라면 가능하겠지만 고료 안받고 창작 생활 가능한 작가는 극소수죠. 다시 말해서 2차 판권을 소유한 채로 연재되는 만화란 존재하기 어렵습니다. 잘해야 동인 작품들 정도인데, 이쪽 연재 속도는 극히 느리고 이런 작품 중에서 인기작이 나올 확률은..
本田 仁美
20/01/21 23:57
수정 아이콘
계약 관계가 그렇게 되있으면 힘들겠네요.
퀀텀리프
20/01/21 22:50
수정 아이콘
일본 영화 경쟁력이 떨어지는 이유군요
20/01/21 23:03
수정 아이콘
실제로 일본 만화가 수입은 인세가 다입니다. 원고료는 화실운영비랑 퉁쳐서 마이너스나 안되면 다행이고요.

애니화 등 판권수익을 기대해봄직한 작품이면 모를까...(이것도 인기를 끌어야 가능한거고요)
20/01/21 23:32
수정 아이콘
원작자가 못 버는건 백번 이해한다쳐도
감독이 돈을 못 버는건 정말 미친 업계네요.
절름발이이리
20/01/21 23:46
수정 아이콘
위에서 말했지만 작가들은 2차 판권이 없고 출판사의 의사 결정으로 미디어믹스등이 일어납니다. 근데 또 막상 출판사도 미디어믹스 자체로 돈을 벌진 않습니다. 애니화 되면 판매량이 뛰니까 내는거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화책 판매량이 워낙 커서 유지되는 모델이긴 한데..
raindraw
20/01/22 09:38
수정 아이콘
일본 영화가 쇠퇴하는 이유 중 하나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75591 [서브컬쳐] 원피스 넷플릭스에서 실사화 [32] 중년의 럴커9083 20/01/31 9083
374751 [서브컬쳐]  일본 만화가가 말한 애니 극장판으로 작가가 버는 돈.jpg [31] TWICE쯔위11045 20/01/21 11045
374288 [서브컬쳐] 흔한 히어로물 애니 [7] 광배맛혜원7075 20/01/15 7075
372939 [서브컬쳐] 아프리카tv 인기 남캠 셀카.jpg [24] 청자켓11536 19/12/30 11536
372914 [서브컬쳐] 장문)드래곤볼과 나루토 편집자가 말하는 점프의 속사정.txt [33] 공원소년19037 19/12/29 19037
372552 [서브컬쳐] 해외에서 인기많다는 한국웹툰 [20] 불행12776 19/12/25 12776
371303 [서브컬쳐] 이세계에서는 나도 인기스타? [26] Lord Be Goja9010 19/12/09 9010
370555 [서브컬쳐] 드래곤볼Z 애니가 질질 끌었던 이유.jpg [25] TWICE쯔위11988 19/11/29 11988
369046 [서브컬쳐] 펭수 카카오톡 이모티콘.jpg [21] 손금불산입9474 19/11/14 9474
368387 [서브컬쳐] 원피스의 11년 연속 연간 최다판매 부수 1위 위치가 위험 [66] Cand10125 19/11/07 10125
368344 [서브컬쳐] 모야겜에서 히로인보다 인기 많은 캐릭 [19] 길갈8146 19/11/06 8146
365824 [서브컬쳐] 기생충 미국 개봉 첫날 반응.jpg [28] 감별사14998 19/10/12 14998
365321 [서브컬쳐] 스타워즈 영화팬들은 잘 모르는 중요인물.jpg [26] 예니치카11557 19/10/06 11557
360508 [서브컬쳐] 의외로 인기가 많다는 별 [11] 치열하게9469 19/08/17 9469
356810 [서브컬쳐] 네이버 인기웹툰 작화 근황 [26] roqur12327 19/07/04 12327
356318 [서브컬쳐] 료즘 병영잡지 근황 [7] Lord Be Goja8091 19/06/29 8091
353479 [서브컬쳐] 뭉치면 살고 [12] 김유라8662 19/05/21 8662
352091 [서브컬쳐] 마크로스 시리즈 최신 인기투표 [26] ZZeTa11493 19/05/06 11493
351083 [서브컬쳐] [스포] MCU 인피니티사가 종료를 기념하여 해보는 인기투표. [스포] [17] ZZeTa10801 19/04/24 10801
350512 [서브컬쳐] 브라우저 근황.Manga [22] Lord Be Goja11154 19/04/18 11154
349689 [서브컬쳐] 여자그려놓고 남자라고 우기기가 인기인 이유.twt [42] Lord Be Goja12884 19/04/08 12884
348734 [서브컬쳐] 인기가 줄어든거 같은 마지막 (?) 햄버거 증정행사 [12] 치열하게7707 19/03/28 7707
348589 [서브컬쳐] 네이버 인기웹툰 '여신강림', 연재 1주년 기념 작가 실물공개 인터뷰.jpg [56] 삭제됨12139 19/03/27 1213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