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11/04 21:25:39
Name 가스불을깜빡했다
File #1 9b7ba53118e62d7dedadebb36ebf6db0.jpg (86.6 KB), Download : 46
출처 ogn
Subject [LOL] 이번 우승으로 G2가 넘어설 수 있는 팀


만약 이번에 G2가 롤드컵을 우승한다면

단일 년도 기준으로 최고의 기록을 가지고 있던 15 SKT의 기록을 뛰어넘게 됩니다(15 MSI 준우승)

깨지지 않는 기록은 15 SKT의 롤드컵 승률 정도... (15승 1패)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차은우
19/11/04 21:28
수정 아이콘
근데 개인적으로 궁금했던건데 경기력 제외하고 단순 커리어만 보면 16 skt가 커리어는 제일 좋지않나요?
15가 스프링우승-서머우승-롤드컵 우승
16이 스프링우승-msi우승-롤드컵 우승인데 리그우승보다 msi 우승이 더 위상이 높지 않은가 싶어서요.
가스불을깜빡했다
19/11/04 21:29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니 그렇기도 하네요
HA클러스터
19/11/04 21:33
수정 아이콘
워낙 15 SKT의 포스가 남다르다 보니 약간의 위상차이보다는 그쪽에 눈이 먼저 가는거지요. 16년에 그랜드 슬램이라도 했으면 다르겠지만 그렇지도 못했고...
차은우
19/11/04 21:38
수정 아이콘
하긴 그러겠네요 크크 서머부터 롤드컵까지 한번도 질거라는 생각이 안들었으니...
cienbuss
19/11/04 21:39
수정 아이콘
그렇죠, 리라도 있기 전이라 국제대회는 다 먹었으니까요. 그리고 이러면 정신승리라 생각하실 분들도 있을 것 같은데. 적어도 15~17LCK는 당시 롤드컵에서 3연 내전결승 할 정도로 압도적이었던거 생각하면 리그우승의 난이도도 차이난다고 봅니다.

이게 축구처럼 4대리그가 골고루 해먹었던 게 아니라 역사가 짧아서 유럽, 대만, 한국~~~~~~, 중국 이었어서.

물론 절평으로 보자면 무조건 뒤의 팀 우위고, 상향평준화나 다른 리그 투자규모 고려할 때 G2의 성취가 난이도가 더 높았다고 볼 수도 있지만요.
19/11/04 21:41
수정 아이콘
우승만 따지면 그렇긴한데 15 skt는 스프링우승-msi 준우승-서머우승-롤드컵우승이고
16skt는 스프링우승-msi우승-서머3위-롤드컵우승이라...
서머 3위한데서 포스가 꺾인 것도 있고 당시엔 lck 우승이 롤드컵 우승이랑 난이도 견줄만하다 이런 인식이 있었죠.
아저게안죽네
19/11/04 21:57
수정 아이콘
16땐 락스라는 라이벌이 있었고 롤드컵에서도 거의 한끝차 승부를 펼친 반면 15는 롤드컵 기간중엔 억제기는 커녕
2차타워 넘본 팀조차 두팀 뿐이었으니 포스가 남다르긴 했죠.
19/11/05 00:35
수정 아이콘
사실 2차타워도 거의 안까졌다는 측면에서 생각해보면,
g2가 우승한다해도 저팀을 넘었는가? 생각해볼 문제죠.
프레이야
19/11/04 21:36
수정 아이콘
15승 1패는...... 정말 넘어서기 어렵겠네요 앞으로도. 이렇게 실력이 상향평준화가 되버린 이상에...
잘생김용현
19/11/04 21:37
수정 아이콘
딱 1년 반짝했던 마형이 그리도 빠가 많은 이유 = 15SKT 고평가 이유 라고 봅니다.
15 마형 16 페이커 17 룰러 18 루키는 진짜....
온리진
19/11/05 08:02
수정 아이콘
그 반짝이 빤~~~~~~짜~~~~~~~~~아~~~~~악!!!!!!!!!!!!!
이었어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68155 [LOL] 도인비의 팀 영향력...jpg [25] 은여우11576 19/11/04 11576
368154 [LOL] 이번 우승으로 G2가 넘어설 수 있는 팀 [11] 가스불을깜빡했다7017 19/11/04 7017
368152 [LOL] 누구랑 정말 비교되는 넥슨 [6] 차은우7138 19/11/04 7138
368149 [LOL] G2의 승리가 곧 우리 한국의 승리인 이유 [8] 에셔7372 19/11/04 7372
368141 [LOL] 발전한 G2..? [3] 8223 19/11/04 8223
368140 [LOL] 라이엇 영어중계진의 소드디스 [3] telracScarlet8153 19/11/04 8153
368126 [LOL] 서양인 선수 중에 포지션 랭킹에서 가장 높은 위치를 먹을 수 있는 선수.JPG [38] 신불해9824 19/11/04 9824
368125 [LOL] 페이커는 과연 어디까지 내다본 것인지.. [14] 대문과드래곤8440 19/11/04 8440
368122 [LOL] 다시 듣고 싶은 "그 밈"..jpg [7] 삭제됨7779 19/11/04 7779
368121 [LOL] 해외 메이저 리그의 차이 [20] Leeka8209 19/11/04 8209
368120 [LOL] 스플라이스 정글러 Xerxe FA행.jpg [29] Ensis5816 19/11/04 5816
368118 [LOL] 서양권의 승리 [22] 카바라스6771 19/11/04 6771
368116 [LOL] 작년 msi 킹존 준우승 반응 [31] 고라파덕7266 19/11/04 7266
368115 [LOL] 지금 불현듯 생각난 pgr글.jpg [17] 키키스8738 19/11/04 8738
368113 [LOL] G2를 막을 수 있는 단 하나의 팀 [21] N'Zoth7349 19/11/04 7349
368111 [LOL] 좁쌀의 다전제 승부의 신 [26] 발틴8146 19/11/04 8146
368109 [LOL] skt vs g2 밴픽...씨맥이 언급한다면.jpg [21] Star-Lord8134 19/11/04 8134
368107 [LOL] 도인비 닮은꼴 [9] 안초비6537 19/11/04 6537
368102 [LOL] 롤드컵.. 게임 끝날때마마 방문하는 사이트.jpg [11] 삭제됨7027 19/11/04 7027
368099 [LOL] 정말 순수하게 게임을 사랑하는 것 같은 선수.jpg [20] 신불해10173 19/11/04 10173
368092 [LOL] 테디가 생각하는 가장 잘하는 봇듀오?? [13] 스톤에이지7102 19/11/04 7102
368080 [LOL] 어제 경기로 새삼 확인하는 것.jpg [5] 수부왘9872 19/11/04 9872
368079 [LOL] 롤드컵4강직전 롤종원의 분석 [19] Yureka9725 19/11/04 972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