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04/26 21:42:42
Name 고통은없나
File #1 1556281859.jpg (34.8 KB), Download : 24
출처 https://www.theguardian.com/business/live/2019/apr/26/us-gdp-growth-donald-trump-slowdown-daimler-rbs-business-live
Subject [유머] 방금 발표된 이번 1 분기 미국 GDP 성장률


당초 예상을 훌쩍 뛰어넘는 어닝 서프라이즈 기록..미국에게 불황은 없습니다.

미국은 연단위로 환산하기 때문에 한국식으로 계산하면  0.8% 입니다.한국은 1분기 -0.3% 나왔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그린우드
19/04/26 21:43
수정 아이콘
트럼프 재선각 오네요
세크리
19/04/26 21:49
수정 아이콘
2년 정도 전에 S&P 인덱스 샀었는데 이게 수익률 40%네요... 코덱스는 오르는척 하다가 다시 내려서 박스피더만
그린우드
19/04/26 21:51
수정 아이콘
2년이 아니라 한 3년 전에 사신듯 2년만으로는 그정도는 안되는게 2018년에 지수 내려가서 확 손해봤거든요
미야와키 사딸라
19/04/26 21:50
수정 아이콘
괜찮습니다 한국은 결국 킹득주도 경제성장느님이 캐리해주실 겁니다
19/04/26 21:53
수정 아이콘
단기 부양책으로 경기 살리는 건 아무나 한다!!!! 라고 비판해봤자 결국 체감 경기는 중요하니까요.... 이러다 진짜 재선될 지도....
고타마 싯다르타
19/04/26 22:49
수정 아이콘
현지평가는 어떤 가요? 트럼프의 대대적 감세가 약발 먹힌다고 찬양하나요?
19/04/26 22:51
수정 아이콘
그것은 어느 언론사냐에 따라서 완전히 다르고, 어느 당 지지자냐에 따라서 완전히 다릅니다. 미국도 한국처럼 어쩌면 그 이상으로 분열된 사회라서요....
19/04/27 01:03
수정 아이콘
다르기는 한데 저 (민주당 지지자) 는 이번이 감세로 득 봣습니다. 제 동생 (공화당 지지자) 은 이번 감세로 피 봣습니다. 아무래도 고소득 주고 집세가 비싸다 보니 집 잇는 사람들이 이번에 세금폭탄 맞앗어요. 저는 월세라 별 상관없엇고요
19/04/26 21:56
수정 아이콘
천조국 찬양해~

개인적으로 이번 추경 규모보고 굉장히 실망했는데, 정부도 경각심을 가지고 2차 추경 계획 잡으시고, 한은도 더 이상 높이, 고고히 나는 매가 되지 마시고 인하 좀 했으면 좋겠네요. 성장률 개판에 다른 나라들도 인하카드를 만지작 거리는데 허허. 4월 금통위는 뉘양스가 달라져서 그나마 다행인데 그 전까지는 그저 매 그 자체..

올해 반도체 꺽일거란 이야기는 재작년부터 솔솔 나왔었고 작년 3,4분기부터는 거의 확정적이었는데도 대처가 미진한 부분이 없진 않았죠.
아마도 가장 교과서적이고 클래식한 행보, 완화적 재정 및 통화정책 시늉만 했어도 이렇게 비판 받지는 않았을텐데.. 그것조차 안한게 안타깝습니다. 올해 홍남기 부총리로 바뀌고부터 클래식한 재정정책 쓰시려고 부지런히 돌아다니시던데, 부디 성과가 났으면 하네요..
haterose
19/04/26 21:59
수정 아이콘
추경을 하고 싶어도 기를 쓰고 막는 집단 때문에 되겠습니까?

그 집단은 지금 한국이 망하길 바랄거예요
19/04/26 22:03
수정 아이콘
음 그러게요. 그래서 작년부터 추경 좀 하게 해달라고 야당한테 이야기했던 거 같은데, 그 결과가 6조원 수준인게 너무 아쉽더라구요.
그래도 전 희망적으로 봅니다. 경기 어려운데 자꾸 긴축하고 SOC예산 감축하던 작년과 달리 올해는 그래도 클래식한 방법을 쓰려고 하셔서요
그린우드
19/04/26 22:04
수정 아이콘
이제 어느정도 정신차렸으니까 그 결과는 올해말이나 내년초부터 나오지 않을까 싶네요
블랙비글
19/04/26 22:10
수정 아이콘
추경할 때 보통 어느 야당이던 간에 대부분 반대하지 않나요? 반면 여당 지지자들은 지금 경제가 좋다고 주장하는 경우도 많으니까 그 논리대로라면 추경이 필요한지도 모르겠네요.
절름발이이리
19/04/26 22:01
수정 아이콘
경기 풀고 상황 넘어가려면 확장 재정이 교과서인데, 막상 경기 어려워 죽겠다는 사람들이 그 교과서를 비난하는 경우가 많은 아이러니한 상황이지요. 국가 경제를 가계부 정도로 생각하는 양반들이 많아서 닥치고 아끼자, 내 세금 쓰지말아라 주의..
고통은없나
19/04/26 22: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4대강도 사실 전 이러한 재정 확대 정책의 일환으로 생각했는데 야당측에서는 그렇게 기 쓰고 반대했으니까요.사실 가장 확실한 경제 활성화 재정정책이 토목산업 아니겠습니까.
절름발이이리
19/04/26 22:05
수정 아이콘
정당들이야 반대를 위한 반대에 매몰된 경우가 많아서 오히려 그러려니 하지만, 국민들이 정부가 돈 쓴다는 것의 의미 자체를 제대로 이해 못하는게 국가적으로 큰 문제라고 봅니다. 세금도 정작 많이 안내는 사람들이 목소리는 더 크죠.
고통은없나
19/04/26 22:06
수정 아이콘
그러게 말입니다.
아유아유
19/04/26 22:17
수정 아이콘
어익후, 정말 오랜만에 공감가는 의견입니다.껄껄
19/04/26 22:22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건 맞는데 그때도 4대강 말고 차라리 다른 토목을 하라는 이야기가 꽤 있었습니다. 토목건설 자체야 쓸만한 경기부양책이 맞지만 뭘 하는게 더 나은지는 고민이 필요하긴하죠.
몽키.D.루피
19/04/26 22:24
수정 아이콘
4대강 말고 차라리 다른 soc를 하라는 말은 보수진영 내부에서도 있었죠. 특히 전원책 씨가 토론회에서 그뉘앙스로 말한 적이 기억납니다.
19/04/26 22:46
수정 아이콘
(수정됨) 4대강은 해서는 안 되는 거였습니다.
환경전공자로서 말씀드리지만, 4대강 한다고 했을때 저 포함해서 대부분의 환경전공자들은 의야해했었어요. 환경 개선은 힘들고, 운하로서의 가치도 사실상 거의 없는데, 무리하게 추진한다구요.
4대강 담당했던 수자원공사측 지인들도 대부분 비슷한 의견이었구요.
건기원의 김이태 박사가 반대의견 냈다가 괜히 고초를 본게 아닙니다.
다른 SOC를 건설하는 거면 경기부양 측면에서도 쓸모가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게 4대강이 되서는 안되는 거였어요.
19/04/26 23:23
수정 아이콘
SOC를 해야지 허공에 돈을 뿌리면 안되죠..
Darkmental
19/04/26 22:08
수정 아이콘
반도체는 어짜피 사기업 영역이라 정부가 할수있는건 없어보이는데......
그린우드
19/04/26 22:13
수정 아이콘
반도체를 살리자는게 아니고 반도체뽕 꺼지기전에 다른 분야에 투자를 했어야한다는 말이죠
19/04/26 22:37
수정 아이콘
반도체를 살리자는 게 아니고 반도체가 벌어준 시간이 2018년이고, 반도체 외에 고생하던게 2018년이거든요. 특히 자동차..
그 기간동안 사실 까놓고 보면 일반적인 경기 부양책은 마땅히 쓰지 않았어요.. 그나마 인상적인게 기보나 신보 등 밀어붙이면서 벤처 및 중소기업 대출확대정도? 그 외에 재정도 흑자 재정, 미국금리 인상기조에 맞춰야했다지만 금리도 한 차례 인상했고. 최저임금도 꽤 크게 올랐죠. 기업들도 지배구조 정리한다고 정신이 없었고.

나열한 것들이 때놓고 보면 나쁜 정책이라고 이야기하는게 아니라 반도체가 벌어준 시간에 더 반도체에 의존하고 말았다는 말씀을 드리고자 하는 겁니다.
덴드로븀
19/04/26 21:57
수정 아이콘
중국이 발악을 해도 저걸 뭔수로 꺾나 싶어지긴 합니다.
19/04/26 21:59
수정 아이콘
중국 성장률이 더 높지 않나요? 차이가 예전에 비해서 많이 줄긴 했는데, 그래도 아직은 중국이 더 높을 겁니다.
아유아유
19/04/26 22:11
수정 아이콘
신뢰도가 아무리 없어도 그건 당연한거죠.
중.후진국의 성장률 퍼센티지 상승률은.
단위가 커지면서 그게 꺽이는거고, 그럼에도 미국의 저 성장률은 대단한거고.
한국도 사실 저 퍼센티지가 나오면 안됩니다.
19/04/26 22:44
수정 아이콘
그건 그렇습니다. 미국이 3.2% 나오는 건 말이 안되는 수준이긴 하죠.
바밥밥바
19/04/26 22:09
수정 아이콘
미국은 다 죽어도 4차산업혁명관련 기술이 나른나라를 아득히 넘어서서 도저히 무너지고 싶어도 무너질수가 없을겁니다
아유아유
19/04/26 22:11
수정 아이콘
여기서 2차전 각이???
고통은없나
19/04/26 22:13
수정 아이콘
확실한건 세계 불황은 아니죠.그저 잘나가는 국가와 아닌 국가가 갈리는거라고 봅니다.이걸 주식시장에서는 혼조세라고 하던가요.
아유아유
19/04/26 22:19
수정 아이콘
다른건 그렇다쳐도 마이너스 성장률이 나와선 안됐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걸 반도체 탓만 하는건 손바닥으로 하늘가리기죠.
19/04/27 01:38
수정 아이콘
그렇죠 마이너스 성장새는 정말...
감전주의
19/04/26 22:20
수정 아이콘
오늘 주종목 제외하고 마이너스 종목 다 정리해서 인버스에 몰빵했는데,
월욜에 나스닥 ETF로 갈아타야겠네요.

기존에 있던 것도 수익이 아주 좋습니다. 역시 미국이 짱
19/04/26 22:23
수정 아이콘
저도 그래야겠네요 아메리카 넘버원!
그린우드
19/04/26 22:29
수정 아이콘
중국주식에 투자했던 제가 어리석었죠. 오직 천조국만을 믿읍시다.
F.Nietzsche
19/04/27 10:20
수정 아이콘
중국인덱스 연초에서 28프로 먹고 있는데요?
그린우드
19/04/27 10:38
수정 아이콘
2018년 2월 텐센트 들어갔다가 고점에서 물리고 눈물뽑으면서 손절했습니다 ㅠㅠ
Lord of Cinder
19/04/26 22:48
수정 아이콘
세계의 자금이 나스닥으로 계속 모이는 소리가...
19/04/26 23:26
수정 아이콘
경알못이긴 하지만 미국에 경기침체가 없었던 것도 아니고 살짝 무리하게 약 빠는 느낌입니다.
19/04/27 00:28
수정 아이콘
지하철 기차 뚫는게 안전빵이긴 합니다....
19/04/27 00:48
수정 아이콘
연환산이긴 하지만 3.2%만큼 증가한 수치만 따져도 한국 GDP 총규모의 40% 정도되니까 말다했죠.
19/04/27 01:38
수정 아이콘
연율 3.2%고 분기론 0.8%인데 잘 나온건 맞지만 뭐 대박이다 이정도는 아니라고 봅니다만...연율로 하면 원래 되게 높게 나오죠. 일본도 작년 2분기엔 연율 2.8%였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5043 [기타] 2023년 세계 경제 지도 [24] 무딜링호흡머신10953 24/02/11 10953
477487 [기타] 미국 자동차그룹별 판매량 근황 [32] 길갈10830 23/04/10 10830
466142 [게임] PSN+ 가입자수와 게임패스 가입자 수 근황 [24] Leeka9964 22/11/03 9964
462033 [기타] 대통령의 중요성 [9] 니시무라 호노카10670 22/09/08 10670
453641 [기타] 올해 중국 예상 성장률 최대 3%까지 떨어져... [4] 된장까스5752 22/05/05 5752
441374 [텍스트] 흔한 주갤럼의 투자원칙.txt [56] 18688 21/11/28 18688
426079 [유머] 그회사 주식 근황 [21] 마리오30년15650 21/06/28 15650
419225 [기타] 세계에서 경제가 가장 복잡한 나라 [36] 와칸나이13212 21/04/11 13212
404991 [유머] OECD 회원국 년도별 경제 성장률 [22] KOS-MOS8988 20/11/24 8988
391869 [기타] 2020년 1분기 글로벌 반도체 업체 실적 [29] 아케이드10983 20/07/14 10983
351307 [유머] 방금 발표된 이번 1 분기 미국 GDP 성장률 [44] 고통은없나11708 19/04/26 11708
193197 [기타] [기타] 이것이 바로 생색내기 [1] 아이지스5227 14/01/31 5227
135254 [유머] 경제 성장률 급락 [12] 피로링7421 12/09/28 7421
53023 [유머] 국민여러분 모든게 오해입니다 .747공약 달성은 확실합니다. [12] 애플보요5793 08/10/23 5793
48247 [유머] 누가 썼을까요? [7] Signal-Terran6699 08/05/01 6699
30306 [유머] 외국 교과서들 "한국은 경제 선진국" 극찬 [11] 서형선7542 06/08/17 7542
11442 [유머] 정말 웃긴 국민연금의 비밀!!!(펌) [20] 라우11389 05/03/07 11389
3676 [유머] [펌] 인터넷 이용자 3천만명시대 눈앞 [8] TheInferno [FAS]4280 04/02/27 428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