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6/07/24 15:44:19
Name 릴리스
출처 유투브
Subject [스타1] 주작 제외 진정한 스1 최악의 사건

증강현실 스튜디오 기술을 홍보하라고 mbc 고위 관계자가 캐스터에게 언질했고 그에 따라 김철민 캐스터가 열심히 홍보하고 있다가 이영호, 이제동이 등장하자 관중(이라지만 실제 스튜디오를 보지도 못하는 곳에 격리되어 있었던 사람들)들이 다 비웃음

이영호, 이제동의 첫 결승전 승부라 엄청난 관심이 집중된 상태였고 1:1로 팽팽하게 진행되었음. 3경기는 테란이 저그 상대로 매우 유리한 오드아이라는 맵이었는데 이제동이 간크게 노스포닝 3해처리를 성공해서 유리하게 시작해 전투에서 이득보고 멀티를 늘려나갔고 이영호는 7시 멀티를 저지하기 위해 바이오닉 병력을 계속 투입하며 혈전을 벌이고 있었던 상황에서 정전이 터지고 경기 자체가 날아가고 이제동 우세승이 선언되고 4경기에서는 이영호가 멘붕해서 전략쓰다 안통하고 바로 지지치고 끝..

제가 직접 처음부터 끝까지 생방송으로 다 봤는데 등장씬 이전에 증강현실 스튜디오에서 임성춘, 정인호 해설이 계속 경기 예측으로 시간끌고 광고도 많아서 거의 1시간을 쓸데없이 날려서 정말 짜증났었죠. 거기다 등장씬은 너무 허접해서 저도 실제로 웃었습니다. 역대 최고의 테저전으로 볼 수 있던 명경기가 정전으로 사라지니 헛웃음이 나오더군요. 이제동은 우승했어도 기분이 별로 안좋아 보였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페이커센빠이
16/07/24 15:46
수정 아이콘
증강현실머시기는 둘째치고 정전만 아니었으면 이제동우승이 폄하되진 않았을텐데 두고두고 아쉽죠.
릴리스
16/07/24 15:47
수정 아이콘
솔직히 3경기는 정전아니었으면 그 힘든 맵에서 이영호를 이긴 명경기로 기록되었을텐데 우세승으로 기분 다 잡쳤죠. 거기다 4경기는 이영호가 전략 안통하자 바로 지지치고 끝내서 허무했습니다. 만약 정전없었으면 임이최동호가 되었을텐데 이것때문에 이제동이 또 모두에게 인정받지 못하고 넘어가게 되었죠.
이진아
16/07/24 15:46
수정 아이콘
정전록은
- 스튜디오
- 정전사태
- 이후의 대응
- 근데 그게 희대의 리쌍록 결승

뭐 하나같이 최악중의 최악이었죠
16/07/24 15:46
수정 아이콘
역대급 결승이죠..크크
16/07/24 15:46
수정 아이콘
결승에서 만나자 이영호
이진아
16/07/24 15:47
수정 아이콘
크.... 4강부터 신났던 엠겜피디...
우리지금 만나 당장만나
무무반자르반
16/07/24 15:47
수정 아이콘
정전록은 레전드죠 인정
송주희
16/07/24 15:48
수정 아이콘
처음부터 끝까지 잘못 꼬였던 결승이죠
flawless
16/07/24 15:49
수정 아이콘
최고급 참돔을 가져왔는데, 그걸로 라면을 끓여버린 엠겜...
시나브로
16/07/24 15:51
수정 아이콘
근데 아시다시피 라면 만들라고 만든 게 아니라 라면밖에 없어서;
존 맥러플린
16/07/24 19:34
수정 아이콘
심지어 라면조차 엎어버린...
이진아
16/07/24 15:49
수정 아이콘
왜 양대방송사 모두 리쌍록이라는 걍 무난히 판만 깔아줘도 역대급으로 회자될 결승을 무리한 기획으로 아쉽게 만들었을까 싶어요
엠겜도 무슨 작달만한 곳에 소소하게 사람들 모아놓고 증강스튜디오라고 하질 않나
온겜도 중국가서 하질않나
스무디킹
16/07/24 15:51
수정 아이콘
엠겜은 작달만한곳에 소소한 사람들 모아놓은건 돈이 없어서 그랬습니다..
그걸 무리하게 포장하다가 일이 터진거구요.
불쌍한거죠 ㅠㅠ
릴리스
16/07/24 15:51
수정 아이콘
nate msl 결승이 이따위로 된건 1. 스폰서가 잘 안잡혀서 협회 회장사인 skt가 nate 브랜드로 스폰해줌(자금 지원은 부실) 2. 거기다 msl 폐국시키려는 당시 mbc 사장에게서 내려온 지침(결승전에 돈들이지 말고 자사 스튜디오에서 치뤄라) 때문이죠.
솔로11년차
16/07/24 18:02
수정 아이콘
외부결승은 돈이 많이 들어갑니다. 외부에서 결승하기 위해 야외무대 한 번 하는 돈이 해당 대회 총상금에 육박하는 수준이었어요. 나중엔 상금이 좀 오르긴 했지만. 그래서 외부에서 못하고 MBC 내에서 한 거고, 그걸 증강현실 스튜디오를 이용하는 걸로 대강 떼운 거였죠.
16/07/24 15:52
수정 아이콘
최소 문만이라도 더 크게 만들었으면 좋을텐데
뭔가 웅장한 cg 넣어놓고 정작 문이 방문 사이즈....
쇼쿠라
16/07/24 15:55
수정 아이콘
사실 이 결승이 여러가지 문제가 많고
이스포츠판에 심판의 존재가치가 의문일떄가 많았는데
이떄만큼은 내리기 힘든 결정 잘처리했다고 봅니다

제 기억에 심판이 진짜 막장이라 보여진 경우가 많았는데 대충 기억나는건
이영호대 이영한 재경기 판정이랑 임요환 pp때 심판의 일처리였네요
16/07/24 16:20
수정 아이콘
이거 생방으로 안보길 잘한듯
어떤날
16/07/24 16:22
수정 아이콘
네이트 후 이영호가 완전 각성해서 이제동의 한중미 관광을 만들었고 (ㅠㅠ) 그 이후에는 이제동 폼이 하락하기 시작하면서 결승을 못 가서 (이영호도 그 이후로는 결승이 없..나요?) 사실 이때가 이영호-이제동이 호각인 상황에서 붙은 거의 유일한 결승이 아니었나 싶은데... 간간히 우세승 관련해서 계속 얘기 나오는 거 보면 이제동 팬 입장에서 참... 속상한 결승전입니다. 물론 거의 대부분의 의견이 이제동 쪽이기는 하지만요.

사실 증강현실 어쩌구는 그때 당시는 비웃음이긴 했지만 경기력과 결과만 좋았으면 그런 건 아무것도 아니죠. 온풍기 틀었다고 정전난 거는 정말 뭣이 중헌지 몰랐던 거에요. 그것도 하필이면 그 타이밍에... 하긴 한 5분 정도 전에 정전되고 같은 결과였다면 더더욱 불타올랐을 거라 보기 때문에 최악의 타이밍까지는 아닌 것 같습니다만.
화성거주민
16/07/24 16:35
수정 아이콘
당시 이영호를 응원했던 입장에서 곰곰히 돌이켜보면, 이제동 우세승은 절묘하게 잘내린 판정 맞는 거 같아요. 이제동이 파도같은 이영호의 공세를 계속 받아쳤고, 다른 쪽 가스멀티가 돌아가기 시작했기에 한 몇분만 줄다리기를 잘했으면 숨통이 텄을 겁니다. 반면에 이영호는 7시 멀티 교전이 이어지며 자원 측면에서 공세 한계점에 다다르고 있었구요. 라면 끓이고 어쩌고 해도 이제동도 라면 끓이면 모를 일이구요. 그리고 정전록 다음주였었나, 프로리그에서 리쌍록이 7경기에서 나왔는데(맵은 매치포인트로 기억합니다) 이제동이 유리한 경기였는데 살짝 삐끗해서 이영호가 뒤집어버린 경기가 나왔죠. 그래서 저렇게 라면 끓이는 선수인데 우세승이 과연 맞는 판정이냐 하는 논란이 또 불붙었죠.

당시에 더 폭발했던게 '선수들의 경기력을 최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운운하면서 가상 스튜디오를 언플질 했던것도 컸다고 봅니다. 정전 안내 문구는 '이영호 선수가 추워서 틀어놓은 온풍기 때문에....' 운운했으니 경기력 유지에 최고의 환경도 아니었고, 책임도 은근히 이영호 쪽으로 넘기는 느낌까지 들었으니까요. 그리고 4강전부터 난리가 났던 PD의 어처구니 없는 연출(결승에서 보자 이영호)로 쌓았던 어그로도 덧붙여졌을 겁니다.

여담입니다만, 역사에 만약은 없지만 정전록의 저 경기가 멀쩡하게 끝났으면 2010년 테저전 최고의 혈투를 꼽을 때 세손가락 안에 들만한 경기가 되었을 겁니다. 이영호의 중공군 마린이 1시부터 시계 방향으로 이제동의 멀티를 쓸어담을 때 이제동도 그냥 무너지는구나 싶었는데 그걸 다 쓸어버리더군요. 스튜디오야 어쨌든 둘다 미친 경기력을 보여줬어요. 그래서 저 미완의 결말이 더 아쉬운거겠죠.
LaStrada
16/07/24 16:46
수정 아이콘
저도 이 때 우세승 판정은 다시 생각해보면 잘한 결정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봐도 이제동이 너무 유리한 경기였고 재경기했으면 더 욕먹었을 거에요.
욕먹어야 할건 심판진이 아닌 엠겜이고 최대 피해자는 이제동이죠. 아직까지도 네이트배 결승으로 폄하받는 거 보면 정말 안타깝습니다.
톨기스
16/07/24 17:14
수정 아이콘
저도 그때 생방으로 봤었지만 이제동이 너무 유리한 정도는 아니었다고 봐요. 오히려 시간이 갈 수록 이영호가 유리해질 것이라고 보고 있었거든요. 당시 상황이 이제동이 물량을 뽑아내면서 이영호를 몰아치고 있었지만, 이영호는 그것을 꾸역꾸역 막아내고 있었고, 이제동이 어느순간 물량이 모자라기 시작하면 이영호의 반격이 예상되고 있었거든요. 이제동의 공격이 계속 막히면서 저러다 지겠는데...? 라는 생각이 든 경기였습니다.
16/07/24 17:17
수정 아이콘
이영호가 자원짜내 몰아치고있었고 이제동이 꾸역꾸역막은 상황이었죠.
톨기스
16/07/24 17:30
수정 아이콘
음??? 반대였나요???
LaStrada
16/07/24 17:34
수정 아이콘
네 완전 반대 상황이었습니다..
정전이 되는 상황이 이제동 멀티인 7시를 이영호가 자원짜내서 공격하다가 막히는 분위기였죠.
7시 공격이 막히면 이제동은 5가스, 이영호는 고작 앞마당에 미네랄멀티 하나있는 상황이었고 이제동이 울트라 모아서 역러쉬가면 그냥 끝나는 상황이었습니다.
16/07/24 17:35
수정 아이콘
이영호는 본진 앞마당 자원바탕으로 SK테란으로 짜내다가 이제동이 디파일러 나온이후 7시 밀지못하고 미네랄멀티에 겨우 커맨드센터 내려앉히는 상황이었습니다.
톨기스
16/07/24 17:37
수정 아이콘
유투브로 다시 보니까 그러네요. 이영호가 7시를 못 밀면 카운터 맞을 상황이었군요.
16/07/24 17:38
수정 아이콘
네 7시 못 밀면 바로 역습맞을 곳 미네랄멀티에 커맨드 날리는 상황이었죠.
박루미
16/07/24 17:30
수정 아이콘
으아니 이거슨 정.전.록?
16/07/24 17:36
수정 아이콘
저 등장신은 언제봐도 헛웃음이 나오네요 ;;
경기는 우세승 안하는게 더 이상했던 경기죠.
마나나나
16/07/24 17:54
수정 아이콘
조작제외한 이유를 알듯
정전도 야마가 돌지만 주작이랑 비교하기엔 그냥 솜털같은 느낌 마주작 부들부들
슈바인슈타이거
16/07/24 18:00
수정 아이콘
양대리그 첫 리쌍록 결승전이었는데 이따위로 하다니 ㅜㅜㅜ
러브투스카이~
16/07/24 19:01
수정 아이콘
등장할때 bgm이라도 좀 넣어주지....;;;
곧미남
16/07/26 09:59
수정 아이콘
진짜 최악이었죠..
16/07/28 17:21
수정 아이콘
진짜 최악. 우세승은 그래도 저당시 차선의 선택이었죠.
저기서 재경기한다고 하면 각종 커뮤니티와 여론 한 3배는 폭발했을 겁니다.
이 결승전의 최대 피해자는 이제동이에요. 당시 절정의 기량 보여주면서 그지같은 테란맵 뚫고 우승하는 드라마에 뜬금 온풍기가 등장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95726 [스타1] 이제동 질문이벤트 현황 [14] Tad8051 16/11/12 8051
295224 [게임] [스타2] 이제동 최고의 경기 [10] EPICA4621 16/11/04 4621
295058 [스타1] 이제동vs허영무 프로리그 명승부 [7] SKY925217 16/11/01 5217
294146 [게임] [히어로즈] 고급레스토랑에 일어나고 있는 이상한 조짐들.... [45] En Taro9657 16/10/18 9657
294127 [스타1] 이제동 근황 [9] yangjyess11947 16/10/18 11947
293871 [게임] 프로게이머 이제동 근황(Feat.화승오즈팀) [13] swear10345 16/10/14 10345
292846 [스타1] 강민이 말하는 전프로게이머들 근황.txt [77] ZZeta28044 16/09/29 28044
289460 [스타1] 수많은 별명을 양산했던 경기 [10] Jtaehoon6212 16/08/26 6212
287790 [게임] [워크3] 로한 기마대 (데이터 26MB) WCA 스포주의 [16] 웅즈6022 16/08/13 6022
287509 [게임] [스타2] 개인적으로 진짜 멋졌던 윤영서의 명경기 두개 [6] SKY924412 16/08/11 4412
286703 [스타1] 스타1 내가 기억하는 멍경기 12선 [24] lenakim6909 16/08/05 6909
286584 [스타1] 이영호 vs jiko(이제동?) 2경기 [28] 릴리스9682 16/08/04 9682
285452 [스타1] 홍구 vs Jiko(이제동 추정유저) 컨트롤 (1)~(2).gif [43] 릴리스16896 16/07/26 16896
285435 [스타1] 이제동과 손주흥의 팀킬대혈투 [5] SKY924242 16/07/26 4242
285433 [스타1] 스타판에서 어쩌면 가장 비중이 높은 경기 [15] ZZeta5632 16/07/26 5632
285426 [스타1] 역대 최고의 리쌍록 경기 [56] 릴리스7385 16/07/26 7385
285414 [스타1] 어쩌면 이영호의 커리어를 바꿨을지도 모르는 경기 [35] SKY928480 16/07/26 8480
285371 [스타1] 이제동 팬들에게는 결승전만큼 기뻤을 승리 [10] SKY926160 16/07/26 6160
285369 [스타1] 이제동 로얄로더 시즌 하이라이트 [4] SKY924179 16/07/26 4179
285238 [스타1] [데이터주의] 이제동으로 추정되는 저그 vs 테란BJ들.gif [14] 11660 16/07/25 11660
285121 [스타1] 주작 제외 진정한 스1 최악의 사건 [35] 릴리스9669 16/07/24 9669
284137 [스타1] 이제동 vs 전태양 in 써킷 브레이커 명승부 2경기 [4] SKY924403 16/07/17 4403
282792 [스타1] 이제동의 올킬 도전 vs하이트 스파키즈(2010년) [1] SKY924673 16/07/08 467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