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4/20 14:18
애플제품을 많이 샀지만 이 가격이면 살사람도 안산다고 생각해요. 그냥 7 기다릴거 같아요. 똑같이 비싸면 그냥 메인스트림을 사지...
16/04/20 14:20
se는 메인급이 아니라서.. 이정도 가격이면 정말 4인치에 미치고 팔짝뛰지 않는 다음엔.. 그냥 메인 모델 사거나 7 기다리겠죠..
16/04/20 14:20
음, 찾아보니 미국에서 각각 399달러와 499달러로 출시했고, 현 시점에서는 각각 45만원 56만원, vat 10% 가산하면 각 50만원 62만원 정도네요.
미국 대비 대략 20% 높은 가격... 참고로 64기가 미국 애플 공홈에서 심프리 직구하면, 관세+몰테일 배송비 합해서 65만원 정도랍니다 크크크 직구 적극 권장 애플
16/04/20 14:55
6s 64GB = 1060,000(749달러)
6se 64GB = 730,000(499달러) 딱히 호갱소리 나올정도는 아닌 거 같은데요. 늘 애플은 이런 정도의 가격정책이었던지라....
16/04/20 15:11
뭐, 가격 정책이 나라별로 다른 것에 대해서는 그럴 수도 있다고 생각하지만, 기호품도 아닌 (기호품인가?..) 전자기기가 관부가세 따져도 20% 가 더 비싼 건 좀 타 전자제품과 대조하였을 때는 가격 정책이 이상하긴 합니다.
보급형이 아니라서 그렇다고 말씀하셨는데, 전자제품은 하이엔드 제품도 국내가격이 미국에 비해 크게 비싼 경우가 많지 않습니다.
16/04/20 15:14
미국 16GB 399달러(약 46만2000원), 64GB 499달러(약 57만8000원)
세금 포함X (주마다 세금 규정 차이) 영국 16GB(58만3000원), 64GB(71만3000원) 뉴질랜드 16GB(59만5000원), 64GB(75만4000원) 네덜란드 16GB(62만8000원) 64GB(75만6000원) 싱가폴 16GB(55만4000원), 64GB(69만8000원) 캐나다 16GB(51만4000원~59만원), 64GB(62만9000원~72만원) (주마다 세금 규정 차이) 일본 16GB 52800엔(약 54만7000원), 64GB 64800엔(67만3000원) 세금 포함X 중국 16GB 3288위안(약 58만7000원), 64GB 4088위안(약 73만원) 홍콩 16GB 3488홍콩달러(약 52만1000원), 64GB 4288홍콩달러(약 64만1000원) 유럽 16GB 489유로(약 63만6000원), 64GB 589유로(약 76만6000원) 유럽 부가세 22% 독일 16GB(62만8000원), 64GB(75만6000원) 부가세 19% 호주 16GB 655달러(57만2000원), 64GB 829달러(74만4000원) 부가세 10% 한국 16GB(59만원), 64GB(73만원) 세금 포함 적어도 우리나라 가격이 특별히 문제되진 않는거 같은데요.
16/04/20 15:19
다른 나라와의 가격 비교는 논점과 무관합니다. 굳이 반박하자면 다른 전자제품도 우리보다 비쌉니다. 유럽 같은 경우 모니터/컴퓨터/랩탑 등 전자기기 전부 우리나라보다 기본 20~30% 정도 비싸고요. 인도, 동남아는 물건따라 다른데 2배 이상 차이나는 것도 있습니다. 나라마다 기본 소득도 다르고 그 나라 유통 환경도 다르고 A/S 정책도 다른데 가격 직접 비교는 의미가 없어요. 어쨋건 이건 논점을 벗어난 이야기이기도 하고요.
전자기기 직구가 블랙프라이데이때만 반짝 하는게 A/S 불편함 감수하고 미국에서 사야 될 정도로 국내 가격이 비싼게 별로 없어서 그래요. 심지어 200$ 이내 물건들 개인사용용도로 구매하면 관부가세 0% 인데도 메리트 그닥 없는 것이 전자기기 직구입니다. 전반적으로 전자기기 가격은 미국가격에서 관부가세 더한 정도의 가격에서 형성되는데 유독 핸드폰은 비쌉니다.
16/04/20 15:26
아 제가 몽키매직님의 글을 잘못 이해했네요. 저는 타 전자기기-핸드폰의 차이가 아니라 우리나라-타국의 차이로 이해했어요. 죄송합니다.
핸드폰이 타 전자기기와 비교해서 확실히 특이한 점들이 있긴 한거 같은데, 그것이 가격과 왜 저렇게 연결되는지는 모르겠네요
16/04/20 15:15
아마 이전에 한참 원 달러 피크칠 때 환율로 정한 것 같네요. 한국이 계속 호구이기만 했던건 아니고 1000원대가 기준일 때는 한국 소비자가 재미보기도 했었죠. 결국엔 기준 환율을 1200원 대로 확 올리긴 했지만 ;;
16/04/20 15:15
어차피 타겟은 작은 사이즈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이라서 가격이 비싼 것 같기도 하고요. 물론 저라면 다른 폰을 고르겠지만..
16/04/20 15:24
뭐 딱히;; 꼭 이럴때만 미국은 세금없는 주 기준으로 계산을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거기는 미국내에서도 싼 주고요.
일본도 52800엔에 세금붙어요 특소세. 비슷비슷한 가격인거 같은데요?
16/04/20 15:27
위엣분들 그거 다 계산하고 이야기하시는 겁니다. 부가세 +10% 가 기본이고요... 우리나라 넘어올때 관세 10% 가 있습니다.
보통 전자기기 499$ 이면 우리나라 들어오면 60만원 초반대입니다.
16/04/20 15:42
위의 몇몇글만봐도 399,499 환율계산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물론 가서 직접 사온다는 전제하엔 tax가 빠지니 그럴수도 있지만.
그리고 전자기기 일부는 관세가 아니라 부가가치세가 붙습니다. 관세는 10%고정이 아니구요.. 10%는 부가가치세겠죠.
16/04/20 16:02
10% 부가세는 제가 이미 이야기한 내용이고, 관세는 일률적이진 않지만 붙으면 대부분 10% 입니다.
전자제품은 보통 미국 공시가에 20% 더하고 환율 곱하면 국내 출시가와 대부분 비슷합니다. 지금 언급되는 물건은 거기에 15~20% 정도 더 비싼데 비슷비슷한 가격이라는데 동의할 수 없네요. 적어도 제가 본 공시가 500$ 근처 전자제품 중에 국내가가 가장 비쌉니다.
16/04/20 16:10
미국보다 전자제품이 싼나라는 거의 없을 것 같습니다. 그 차이에 대해서는 저도 알고 있으며
비슷비슷하다는건 일본과의 가격비교입니다. 중/유럽/독일 전부 한국이랑 가격 비슷하구요. 환율이 내려가면 차이가 더 나겠지만요
16/04/20 16:15
유럽 전자제품 한국보다 비쌉니다. 유럽 선출시된 물건들 국내 가격 예측시 10~20% 정도 빼고 예측합니다. 어쨋든 외국 가격은 그 나라의 세금 정책 및 전자제품 유통이 다르기에 직접 비교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적어도 국내의 다른 전자제품 가격은 (미국 공시가 + 20%) x 환율 하면 거의 맞습니다. 우리나라 전자제품 싼 편이에요. 우리나라에서 랩탑/모니터/컴퓨터 직구족 같은 거 들어보셨나요? 없어요. 국내에서 그냥 사는게 더 나아서...
16/04/20 17:52
미국이 전자제품 50% 할인 이런걸 많이해서 직구하는거지. 일반가는 배송비 생각하면 손해일 정도로 전자제품 가격은 대체로 미국과 비슷한걸로 압니다.
16/04/20 16:21
조금비싼감이 들뿐이지 유머급이 될정도로 비싸다 하기엔 무리가 있어보입니다;;
저정도 큰회사니까 오히려 덜 올라간거지.. 자잘하게 소소하게 수입하게되면 일단 국제 배송비 , 각종 검사비용 관세, 부가세 더해지게되면 원래 많이 높아지는게 정상이죠;; 그리고 환율이야 최근에 급락하고있는데 그걸 기준에 넣어버리시면 더 왜곡되는거구요..
16/04/20 16:40
댓글 보면 애플 제품 사는 사람들은 깍아내리기 그지 없네요.
굳이 걱정 해주지도 않고 단지 비꼬고 싶은 심정을 뭐 에둘러서 표현을 하시는지...
16/04/20 17:50
와... 욕나오네요 64기가 499달러라 했을때 한국 출시되면 살려고 마음먹었는데 한국출시가격을 보니 사람인지라 화가나는건 어쩔수없네요 보급형폰이라고 들었는데.. 내 s4는 얼마나 버틸런지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