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6/02/22 19:47:23
Name 버프점요
File #1 2015111902_01.jpg (61.5 KB), Download : 41
출처 뉴스타파
Subject [유머] 사실상 카스트제도 상위호환


포브스 자료를 토대로 만들었답니다. 인도 밑일줄은 몰랐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코비 브라이언트
16/02/22 19:49
수정 아이콘
자수성가의 기준이 뭔가요?
샨티엔아메이
16/02/22 19:52
수정 아이콘
상속이나 증여없이 큰 부나 기업을 이룬 사람이겠죠.
코비 브라이언트
16/02/22 19:54
수정 아이콘
아뇨 저는 자수성가의 의미가 궁금한게 아니었어요.
본문의 자료에서 언급되는 자수성가가 뭔지 알고싶었던 겁니다.
그런거 없이 사진한장 던져놓고 카스트제도 어쩌구 하는건

사실상 디스를 위한 디스라고밖에는 안느껴지네요.
소독용 에탄올
16/02/22 20:17
수정 아이콘
포보스자료, 30대부자기준 자수성가형 비중이라고 합니다.
루트에리노
16/02/22 19:50
수정 아이콘
뭔가 이상한 자료네요.

자수성가의 기준도 없고, 포브스의 어떤 자료가 레퍼런스인지도 없고...
버프점요
16/02/22 20:02
수정 아이콘
포브스지에서 발표하는 30대 부호로 만든거같네요.
16/02/22 19:53
수정 아이콘
비율봐서는 상위 몇 대 자산가 중에 물려받은 사람과 자신이 창업해서 번 사람 비율이 아닐까 싶긴 하네요. 한국은 상위 50대 자산가 중에 자수성가가 10%도 안됐던 걸로 기억하니까 아마 100명이나 그 이상이 아닌가..
16/02/22 19:55
수정 아이콘
상위 50명중에 딱 2명있어요. 그것도 게임산업 2명(김택진씨 포함)뿐이고 나머진 없습니다.
16/02/22 20:36
수정 아이콘
생각나는 조에 가까운 자산가 김택진,김정주, 이혜진, 김범수, 스마일게이트 사장님 5명이 넘게 생각나는데요? 아.. 50위에는 못들을수도 있겠네요. 근데 모두 it네요...
16/02/22 23:18
수정 아이콘
그중에 김택진씨하고 나머지 1명이 누군진 모르겠는데 딱 2명만 50위권 안에 있고 나머진 50위권이 아닙니다.
나머진 전부부모잘만난 분들.
Frezzato
16/02/22 19:58
수정 아이콘
일본과 미국은 부가 대물림 잘되는 곳이라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아닌가봐요?
열혈둥이
16/02/22 20:00
수정 아이콘
대물림이 잘되면서 성공하는 애들도 많으면 더 빡칠듯..

우리나라는 대물림이 잘되면서 흙수저가 성공하는일이 적다는거니까요..
16/02/22 20:07
수정 아이콘
일본 자산1위 손마사요시(손정의), 미국자산 1위 빌게이츠 자수성가죠
방민아
16/02/23 01:03
수정 아이콘
빌게이츠는 금수저잖아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한 사람이긴 하지만요
타네시마 포푸라
16/02/23 09:02
수정 아이콘
일반인 사이에서는 분명 금수저라 할 법 하지만 기업가 입장에서 금수저를 물었다고 하려면 빌게이츠의 부모님정도는 금수저라 불리울 정도는 아니지 않을까요
16/02/22 19:59
수정 아이콘
재벌들이 범접할수 없는 부를 가지고있어서

자수성가자들이 순위권에 적어서 그런게 아닐까요?
버프점요
16/02/22 20:08
수정 아이콘
절대적인 부 수치로만 하는것도 있습니다. http://superich.heraldcorp.com/superich/view.php?ud=20150529000619&sec=01-74-06&jeh=0&pos=&RURL=https%3A%2F%2Fwww.google.co.kr%2F 30대 나이에 10억 달러를 초과한 전 세계 42명이라네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6/02/22 20:20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재벌의 부가 범점할 수 없다기엔 중동을 제외한 아시아로만 따져도 한국 부호는 이건희 일가 정도 빼고는 순위가 낮습니다.
원시제
16/02/22 20:20
수정 아이콘
이게 어떤 기준으로 잡힌건지 궁금하긴 하네요.
16/02/22 20:28
수정 아이콘
각 나라의 상위 부자들 순위에서 상속자 비율과 자수성가 비율을 구분한 게 아닐까 싶네요
apinKeish
16/02/22 20:33
수정 아이콘
http://newstapa.org/30163
뉴스타파 이 영상 인용자료인가 봅니다. 포브스에서 발표한 각 나라별 30대 부자중 자수성가 비율을 비교한 것으로 보입니다.
16/02/22 20:41
수정 아이콘
중국인이 만들었나
버프점요
16/02/22 20:47
수정 아이콘
뭐 중국은 개방한지가 얼마 안됐으니까요. 한국으로 따지면 70년대 상황인거죠. 서방 국가들이나 일본정도만 유의미하게 보면 될거같습니다.
착한 외계인
16/02/22 20:52
수정 아이콘
IT와 그와 연관된 분야가 있었기에 그나마 23%가 되지 않았을까 싶네요.
그마저 없었으면 한자릿 수로 떨어졌을지도...
버프점요
16/02/22 20:55
수정 아이콘
전세계 어딜가도 테크쪽은 자수성가 비율이 압도적이죠.
버프점요
16/02/22 20:55
수정 아이콘
포브스 빨로는 테크부호 100인중 94명이 자수성가라군요.
착한 외계인
16/02/22 21:20
수정 아이콘
문득 일본이 조금 궁금해지네요. 손정의님은 차치하고서라도 IT로 자수성가한
사업가가 과연 일본에도 많을까 라는... 원래 기초 소재를 비롯한 여러 제조업을 기반으로 성장한
이미지의 일본이기에 기존의 소니. 도요타. 미츠비시, 이런 기존 기업말고 IT로 급부상한 사업가가
소프트 뱅크 빼고 그닥 많지 않을것 같다라는 느낌도 들어서...
16/02/22 21:43
수정 아이콘
유니클로, ABC마트등 의류유통사업쪽이 대부분 자수성가죠
유니클로창업주가 손정의랑 1~2위 다투고 ABC마트창업주도 10위고
일본 인터넷쇼핑 1위 라쿠덴 창업주가3위입니다.
빠칭고 사업으로 자수성가한 인물 10위안에 두명이나 있고요 (그중 한명이 제일교포입니다.)
그리고 일본사람들은 수명이 길죠 80~90세 창업주들도 순위안에 많습니다.
공허진
16/02/22 21:48
수정 아이콘
수저 계급론에
정치 수준은 박씨 세도정치에
상당수 인력이 과거제도에 목메고 있으니
조선시대랑 비슷하네요 하하....
마티치
16/02/22 22:53
수정 아이콘
최근에 제 초등학교 동창이 유명한 제과점을 그대로 물려받아 관리하며 잘 살고 있는걸 보면서 부럽단 생각이 들던데...
이 좌표보니 더 그렇네요.
Sydney_Coleman
16/02/23 00:00
수정 아이콘
음... 중국 같은 경우는 좀 거품이 껴 있을 수 있는 부분이,
우리나라도 1970년대? 80년대쯤 자수성가 비율 계산해봤으면 지금보단 높게 나왔을 거긴 할 테니까요.
아팡차차찻
16/02/23 00:43
수정 아이콘
이게 전세계 13위인건가요?

그럼 굉장히 높은 순위 아닌가?
16/02/23 01:00
수정 아이콘
13개 국가 중 13위입니다
SCV아인트호벤
16/02/23 04:52
수정 아이콘
빌 게이츠와 주커버그도 원래 집은 좀 사는 편이었는데 딱 잘라서 자수성가다라고 하기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65447 [스포츠] 쇼킹했던 골 세레모니 10개 [15] 어리버리5289 16/02/24 5289
265446 [유머] 렌트카 반납할때 내표정 有.gif [22] 윤소희10866 16/02/24 10866
265443 [서브컬쳐] 등가교환? 좋아요3092 16/02/24 3092
265442 [LOL] 오늘 롤챔스 1경기 1set 명장면 [12] 빠독이5538 16/02/24 5538
265441 [서브컬쳐] 최고의 포켓몬 [6] 좋아요4119 16/02/24 4119
265440 [서브컬쳐] 남자다움을 증명하는 방법 [14] 좋아요6487 16/02/24 6487
265439 [서브컬쳐] 오빠를 부려먹는 방법 [2] 좋아요4583 16/02/24 4583
265438 [유머] 얼른 집에 가고 싶어지는 상황 [10] ZZeta6841 16/02/24 6841
265437 [연예인] 레인보우 대박~!! [15] 좋아요6983 16/02/24 6983
265436 [서브컬쳐] 블리치 전투씬 한장요약 [5] 좋아요7535 16/02/24 7535
265435 [유머] 로봇의 반란이 머지 않았습니다 [18] 절름발이이리6563 16/02/24 6563
265434 [연예인] 아니, 설현 먹방이 얼마나 대단하길래.. [20] k`8511 16/02/24 8511
265433 [연예인] 현실적인 여자친구 느낌 [10] 좋아요6281 16/02/24 6281
265432 [유머] 원숭이와 전문가의 주식 한 판 승부.png [12] Chasingthegoals7970 16/02/24 7970
265429 [연예인] 잘 먹는 설현.gif [6] 무등산막걸리7125 16/02/24 7125
265428 [스포츠] 카타르 수원팬 [3] 흐흐흐흐흐흐4132 16/02/24 4132
265427 [유머] 두부=일배.jpg [18] 영원한초보8786 16/02/24 8786
265426 [스타1] [고전] 프로토스 필승전략 [27] Fim6822 16/02/24 6822
265425 [스포츠] 유소년 시설 20 [8] 고타마시타르타4275 16/02/24 4275
265424 [LOL] 롤챔스 포지션별 캐리 레이팅 [35] Tad7528 16/02/24 7528
265423 [동물&귀욤] 거미와 개미의 한판 승부 [5] 정육점쿠폰6211 16/02/24 6211
265422 [유머] 네이버 댓글러의 일침.jpg [2] Endless Rain7966 16/02/24 7966
265420 [게임] [철권] 무릎 철권7 계급 목록 [26] 카라쿠라마을10759 16/02/24 1075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