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5/11/26 21:27:31
Name 물범
File #1 1.gif (2.00 MB), Download : 44
Subject [기타] 배 진수식에 함부로 가면 안되는 이유.gif


출처: 오유

갑자기 기술들어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늘지금처럼
15/11/26 21:29
수정 아이콘
요샌 저래 안합니다 흐흐흐흐흐흐
아이작mk2
15/11/26 21:29
수정 아이콘
안다쳤길 바래야겠네요 덜덜...
배주현
15/11/26 21:30
수정 아이콘
깜짝이야
접니다
15/11/26 21:32
수정 아이콘
광역 cc
15/11/26 21:34
수정 아이콘
풀 AP템 간 나미 궁 맞는 느낌일듯....
윤하바다초아이유
15/11/26 21:41
수정 아이콘
아니 저건 물이면 그냥 아프고 말수준이겠지만 파편은......;;;
현호아빠
15/11/26 21:44
수정 아이콘
요즘엔 진수 이렇게 안해요~
가지않은길
15/11/26 21:48
수정 아이콘
그래서 배는 떴나요?
가라앉을 각인데..
15/11/26 21:55
수정 아이콘
진수식 영상 보시면 보통 저렇게 많이 기울어지지만 다시 균형 이뤄서 뜨더라구요.
이진아
15/11/26 21:53
수정 아이콘
요즘엔 어떻게.하나요?
15/11/26 21:58
수정 아이콘
요즘엔 아예 물 위에서 배를 만듭니다
그런데말입니다
15/11/26 22:05
수정 아이콘
해변에 벽을 세우고 해변보다 낮은 곳에서 차곡차곡 쌓아서 올라갑니다. 그다음에 벽을 열어 물을 채우죠.
조금 작은 배(만톤급 이하)는 배..라기엔 조금 뭐하고 잠수가 가능한 플렌트 위에서 건조한다음 배를 잠수시키면 물에 뜨죠..
울산이나 거제의 대형조선소같은 경우 견학이 가능하니 한번쯤 가보시는것도 괜찮습니다.
15/11/27 11:10
수정 아이콘
울산 본가 집앞이 진수식 하는곳인데, 그런데말입니다님 설명처럼 물을 채우죠.
진수식 꽤 잼있습니다. 군악대 처럼 음악도 연주하고 하죠.
나루호도 류이치
15/11/26 22:29
수정 아이콘
이건 사망각인데요...?
15/11/26 22:32
수정 아이콘
확실한건 아니나 다리만 부러졌다고 하더라구요.
야근왕워킹
15/11/26 23:02
수정 아이콘
스키드로 진수하는 방법이네요. 조선소에서 몇가지 진수하는 방식이 있는데 심심하시면 읽어보시라고 적어두고 갑니다

1. 도크 진수
현대 조선공학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진수 방법입니다
드라이 도크(바다바로옆에 해수보다 낮게 구멍을 파고, 바다를 도크게이트(가림막)로 막아둡니다)에서 배를 짓고,
도크장에 물을 채워 도크게이트를 열어 배를 띄운다음 진수하는 방법이죠

가장 안전하게 진수시킬 수 있고, 땅에서 짓기때문에 안정성도 뛰어납니다
예전엔 1도크 1선박 이었겠지만, 요샌 탄뎀 공법이라고 하여 도크도 엄청 크게 짓고, 도크장에서 2~3척의 배를 동시에 짓기도 합니다.
도크갯수가 곧 조선소의 크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척은 다 짓고 있고, 나머지 한척은 반만 지은 상태에서 다 된 선박이 진수되면 뒤에서 반만 지은 배가 다시 도크입구로 이동하여 마저 완성 하는 방식이 탄뎀입니다)

단점은 도크파는 비용이 어마하게 큽니다 합니다. 도크 짓는 비용이 크기때문에 국가차원에서 국내 조선소들 도크 파지 마라고 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러다보니 소형조선소에서는 잘 사용하지 못 하는 방식입니다.

2. 스키드 아웃 or 로드 아웃
바다 바로 옆 해수면보다 높은 땅에서 배를 지은 다음 바다로 밀어넣는 방식입니다. 때문에 스키드레일 위에서 배를 지어야합니다
영상에서 보시는 바로 그것이죠.
배는 생각보다 복원성이 매우 뛰어납니다.
간단히 말하면 무게중심이 부력중심보다 위에만 있지 않으면 다시 원래대로 돌아오는데, 배는 무게중심이 꽤 아래에 있어서 자빠트리면 잘 일어납니다.
물론 영상에서 보신 배는 아마 제대로 복원되었을테구요.. 전설에 의하면 중국의 모 조선소에선 밀어넣었는데 그대로 가라앉은적도 있다는 카더라도 있습니다
그리고 보통 스키드 방식은 옆으로 냅다 밀어넣는게 아니고 선미로 밀어넣는다고 알고있는데.. 보통 인터넷에 대륙의 진수, 대륙의 조선소 이런식으로 떠돌아 다니는건 대게 옆으로 미는거네요
아마 옆으로 보게해서 배를 만드는게 더 쉬워서 그렇게 하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배 뿐만 아니라 우리가 아는 해양플랜트(기지모양으로 바다에 떠있는 그것들)도 로드아웃이라고 해서 밀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신 이 경우는 바다에 빠트리면 플랜트 모양상 복원력이 약해서 돌아오지 않으므로 진짜 큰 배(구글에서 도크와이즈 검색해보세요)를 육지옆에 딱 갖다붙인다음,
스키드 레일을 지상에서 진짜 큰 배 위로 연결하여 배 위로 밀어낸 다음, 진짜 큰 배를 바다에 가라앉혀 해양플랜트를 띄울 수도 있습니다

장점은 당연히 도크를 파지 않아도 된다는 게 있구요
단점은 재수없으면 생각보다 많이 기울어져서 뒤집...

중소형 조선소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며, 해양 플랜트를 진수시킬 때 많이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중국에서도 많이 쓰는걸로 알고 있구요

3. 플로팅 도크
1번에서 말한 땅에 파는 도크를 바다에 만드는겁니다. 위에서 검색하신 도크와이저 같이 생긴걸 바다에 만들어서 그 안에서 배를 짓고,
플로팅 도크를 가라앉혀 배를 진수시키는 방식이죠.
도크보다 가격이 저렴하다고 들었고, 안되면 갖다팔수도 있죠. 도크는 파두면 팔수가 없으니 큰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위치도 이리저리 옮길수 있고.. 여튼 드라이도크와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단점은 물위에 떠있는 만큼 플로팅 도크 자체가 흔들거립니다. 요즘처럼 큰 메가,테라 블럭 단위, 또 다양한 플랜트를 짓는 조선소에서 도크가 흔들린다는건 썩 좋은 일이 아닙니다.
그리고 크레인 지원이 좋지않아 작업성도 조금 떨어집니다.
아 땅이 부족할 때 바다위에 냅다 띄워버리니.. 여튼 가격적인 측면에서 메리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윗 댓글에서 말씀하신 바다위에서 배 짓는 방법이 이게 아닌가 싶습니다
15/11/26 23:07
수정 아이콘
꿀같은 댓글 잘봤습니다.
오늘 하나 배웠네요.
비상하는로그
15/11/26 23:11
수정 아이콘
좋은 정보, 꿀정보 감사합니다..
많이 배우고 갑니다~
파란아게하
15/11/26 23:58
수정 아이콘
왠 논문이. . . 덜덜
히히멘붕이오
15/11/27 00:21
수정 아이콘
진짜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단호박
15/11/27 00:42
수정 아이콘
우와 댓글 흥미로워요!! 너무 재밌네요. 감사합니다
태연남편
15/11/27 08:00
수정 아이콘
좋은정보 잘보고갑니다.
강동원
15/11/27 11:49
수정 아이콘
닉부터 신뢰도가!!!
GreatObang
15/11/27 12:04
수정 아이콘
정말 좋은 글 감사합니다^^
도들도들
15/11/27 00:05
수정 아이콘
복원성이 뛰어난데 왜 작년에는 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58437 [방송] 드라마 무리수 PPL [18] 좋아요7093 15/11/27 7093
258436 [기타] 중고시장 피바람 [12] 토다기7031 15/11/27 7031
258435 [기타] [약혐]차에서 함부로 흡연하면 안되는 이유.gif [11] 물범6423 15/11/27 6423
258433 [유머] 아빠의 유머감각 [11] 도시의미학5710 15/11/27 5710
258432 [서브컬쳐] [만화] 웃는 로봇 (링크) [1] 유나4104 15/11/27 4104
258431 [기타] 반도의 흔한 아동학대 [20] kurt6791 15/11/27 6791
258429 [동물&귀욤] 멍멍솔져 [6] 물범3197 15/11/27 3197
258428 [동물&귀욤] 곰 소풍 [10] 물범3705 15/11/27 3705
258427 [기타] 뽐뿌에서 논란중인 글 [133] 물범11428 15/11/27 11428
258426 [유머] 어떤 오유인의 도를 아십니까 퇴치법 [8] 물범5304 15/11/27 5304
258425 [스포츠] [WWE]??? : 로만 레인즈는 이곳에서 검증을 받아야 합니다 [5] FloorJansen2315 15/11/27 2315
258424 [유머] 5만원짜리 도시락의 진실 [19] 불멸의 이명박7721 15/11/27 7721
258422 [동물&귀욤] 햄스터와 아이컨택.gif [6] 삭제됨3181 15/11/27 3181
258420 [기타] 왜 스마트폰은 액정 쪽이 바닥을 향해 떨어질까? [3] 슈퍼집강아지5361 15/11/27 5361
258419 [스포츠] 마구마구였르면... [8] 아스트란맥4099 15/11/27 4099
258418 [연예인] 기승전결이 완벽한 수박다이어트썰 [1] 좋아요4379 15/11/27 4379
258417 [연예인] [마리텔] 촤 덕후는 이런것 까지 따라합니다. [18] 초아8830 15/11/27 8830
258416 [기타] 반박할 수 없는 퇴근사유 [3] 좋아요5932 15/11/27 5932
258415 [연예인] 불금에 치킨을 샀더니 이걸 받았어요 [19] 초아7573 15/11/27 7573
258414 [게임] 조롱과 일침 [5] 좋아요3867 15/11/27 3867
258413 [연예인] 야동본거 아내한테 들킨 사연 [6] 좋아요8394 15/11/27 8394
258412 [유머] I.SEOUL.U 이벤트 근황.jpg [12] 토다기6573 15/11/27 6573
258411 [스포츠] [야구] 내년 KT 더그아웃 모습 [8] 안하니4796 15/11/27 479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