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5/10/31 18:59:30
Name 유노윤하
Subject [LOL] 롤드컵 전 킬링타임 - 켠김에 왕까지 SKT T1편

에휴 미드 피지컬이 저래서 1승이라도 할런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윤하바다초아이유
15/10/31 19:04
수정 아이콘
리니지 하던 아저씨도 얘네 보고 게임 못한다고 할것 같네요.
키루찌
15/10/31 20:22
수정 아이콘
마침 방송에서 보고 저걸 왜 10시간이나 하냐고 채팅으로 그랬었어요 크크
글자밥 청춘
15/10/31 19:53
수정 아이콘
어우, 외출도 못해요. 휴가때는 그냥 있든지 하구요. 자정이후에도 연습하죠. 이런 이지훈의 이야기를 들으니
롤드컵 우승 안해도 되고 광탈해도 좋으니(뭐 LCK 재밌게 우리끼리 즐기면 되지..) 아무리 프로래도 저런 시스템과 자기착취의 당위적 과정들좀 바뀌었음 좋겠어요.. 물론 그래서 롤드컵에서 압도적인 '강팀'으로 존재하겠지만... 저는 이런 시스템의 결과물을 즐겁게 누리는 우리가 참 ㅠㅠ 미안하고 그렇네요.
고전파이상혁홧팅
15/10/31 20:03
수정 아이콘
근데 휴가를 줘도 딴 게임 한다는 게...ㅠㅠ
15/10/31 20:16
수정 아이콘
세계 최고의 경지에 오른 선수들인데 자발적으로 한다고 봐야죠
김연아선수, 박지성선수같은 운동선수들의 연습량을 보여주는 발 사진을 보면서 사람들이 안타까워하기보단 대단하다고 여기는데 왜 게임은 그런 연습들과 같은 급에 놓이지 못하는지 모르겠네요. 그런 운동선수들이 자기 시간 쪼개가면서 연습하는건 자기착취라고 안하죠...
글자밥 청춘
15/10/31 20:22
수정 아이콘
저는 김연아 선수, 박지성 선수 역시 위대하다고 느끼지만 모두가 그렇게 노력하는 프로시스템이 바람직한가에 대해서는 의문입니다. 그래서 전 굳이 안그래도 된다고 생각하고 두 선수 역시 혹독한 자기착취를 겪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주체적 자기착취가 나쁘냐면 그건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LCK나 프로게임 시스템의 경우 위 예시보다는 좀 더 가혹한 시스템이 이미 갖춰져 있는것 아닌가요? 성공하기 위해선 그래야 한다는 말은 정당하면서도 폭력적일 수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그들이 그러겠다는게 어쩌겠어, 그렇지만 그렇지 않아도 된다면 더 좋을 것 같긴해요. 전 굳이 페이커가 세계챔피언 아니어도 괜찮거든요. 물론 박지성이나 김연아선수가 그 정도의 위엄이 아니었다면 제가 잘 몰랐긴 했겠죠.. 관심 스포츠가아니니..
15/10/31 20:30
수정 아이콘
세상에 경쟁이 없을 수 없는일이고 그것이 극한으로 적용되는게 프로의 세계죠
다른 프로 스포츠에 비해 e스포츠가 가혹한 부분은 안정성과 돈이지 저런식의 노력은 다른 스포츠도 마찬가지로 다 겪어야 하는일입니다.
결국 재능이 비슷한 사람들끼리 경쟁을 하면 결과를 가르는건 훈련의 양과 질인데 최고가 되고 싶은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이걸 줄일 리는 없다고 보기 때문에 글자밥 청춘님의 의견이 이상론적으로 느껴지네요. 다른 직종에 비해 짧은 나이로 업적을 쌓아놔야되는 프로 시스템의 특성상 자발적으로 훈련하는걸 막을 수도 없고 막아서도 안되는거죠
글자밥 청춘
15/10/31 20:33
수정 아이콘
그게 관점의 차이같아요. 저는 프로의 세계가 꼭 경쟁의 극한상태에 놓여야 하나 하는 생각을 하거든요. 그런 경쟁시스템을 긍정하느냐 마느냐의 차이아닐까요. 전 사회 전반적으로 과경쟁 체제가 유지되고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자기착취해서 페이커가 될 수 있는 자리는 한 자리 뿐이니까요. 스타 프로게이머 하겠다고 2군 닭장에서 연습하던 사람들의 경쟁체제가 택뱅리쌍을 만들었겠지만, 그리고 그게 영광의 자리였겠지만 2군 닭장의 환경을 그들의 책임이라고 방관하는건 좀 별개의 문제인 것 같습니다.
15/10/31 20:36
수정 아이콘
2군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저런 시스템에 긍정을 할 수 있는건 적어도 인간적으로 살 수 있는 환경일때만 적용되는거니까요
영상의 주체가 SKT 1군이기 때문에 옳지 않다는거지 열정페이로 제대로 대우도 못받는 선수들까지 포함할 생각은 없습니다
글자밥 청춘
15/10/31 20:38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SKT 1군이면 사실 롤계에서는 비교할 수 없는 선수들인게 맞겠죠? 대우는 어떨지 모르겠는데 막 중국만큼은 아니어도 괜찮은 대우를 받을테구요..
방민아
15/10/31 19:59
수정 아이콘
와 뱅 잘하네요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55640 [LOL] 15 SKT 시즌 5 현재까지의 성적.txt [7] Vesta6503 15/11/01 6503
255638 [LOL] 격세지감 [16] 마빠이7078 15/11/01 7078
255637 [연예인] 치즈버거 드실레예 [6] 좋아요5980 15/11/01 5980
255636 [LOL] 페이커 인터뷰 중 영어 멘트 [21] Demicat8027 15/11/01 8027
255635 [LOL] 이 시각 스코어.jpg [27] Vesta7997 15/11/01 7997
255634 [연예인] 오마이걸 유아 [5] 좋아요3714 15/11/01 3714
255633 [유머] 흔한 노라조 콘서트장(?) [2] 해원맥4311 15/11/01 4311
255632 [연예인] 문란한 윤보미 [1] 좋아요3905 15/11/01 3905
255631 [LOL] SKT 스킨 [7] 최종병기캐리어7636 15/11/01 7636
255630 [LOL] 페이커 고전파 시절 라이즈... [16] 최코치12002 15/11/01 12002
255629 [유머] 야야 그거 아직 안버렸지? [11] 정공법5734 15/11/01 5734
255628 [LOL] 힘들때 웃는게 1류다 [8] 도도갓7295 15/11/01 7295
255627 [LOL] 전용준 캐스터의 쿠 타이거즈 예상 [3] 앙토니 마샬4689 15/11/01 4689
255626 [LOL] 전설의 시작 [14] Meanzof6521 15/11/01 6521
255625 [LOL] ??? : 크윽... 풀려날 뻔 했군.... [3] 사이좋게지내야지4978 15/11/01 4978
255624 [LOL] 쿠가 준우승한 이유 [6] 정공법5595 15/11/01 5595
255620 [게임] 올 주요 E-스포츠 최강팀 SKT T1 [6] 삼성전자홧팅5033 15/11/01 5033
255619 [LOL] 매년 한국 최고 팀들의 1년 커리어 [9] Leeka5648 15/11/01 5648
255618 [LOL] 흔한 솔용.gif [11] 삭제됨6185 15/11/01 6185
255617 [방송] 진경이♡피지알 [22] 정치경제학8055 15/11/01 8055
255616 [LOL] 쿠~우 타이거즈! 쿠~우! 타이거즈! 하이라이즈3680 15/11/01 3680
255614 [유머] 쓸떼없이 고퀄? [3] 해원맥4623 15/10/31 4623
255613 [LOL] ???: 아나 전승우승 실패네 [8] 삭제됨7074 15/10/31 707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