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5/08/10 22:17:13
Name SKY92
File #1 DDDD.jpg (143.1 KB), Download : 42
Subject [스타1] SKT T1 유일한 암흑기.jpg


위쪽이 07 전기리그, 아래쪽이 07 후기리그 최종순위입니다.

창단한지 이제 11년인데 1년 통채로 말아먹은적은 저해가 유일하다는게 유머...

(04년에는 2,3라운드 부진했지만 1라운드때 결승갔고 06년때는 후기리그때 부진했으나 어쨌든 전기리그 우승했고 그랜드파이널 갔기에...)

결국 저 여파로 코칭스태프가 단체로 갈려나감....

양대통신사가 나란히 부진하던 시기였죠. KTF는 한 1년정도 암흑기 더 있었지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좋아요
15/08/10 22:18
수정 아이콘
저때 프로리그 끊고나서의 여파가 거의 수년을 갔다는. 다시 결승올라가고 하면서 좀 보긴 봤는데 그 이전 때만큼은 안봤죠. 06년만해도 거의 매경기 챙겨봤는데
15/08/10 22:21
수정 아이콘
세대교체기였죠 흐흐
SSoLaRiON
15/08/10 22:21
수정 아이콘
영혼의 듀오 SKT KT
천무덕
15/08/10 22:22
수정 아이콘
아래때가 르까프오즈에 오영종/이제동 투탑이 날아다닐때던가요. 손찬웅도 좀 한다고 평가되었을때같은데..
SSoLaRiON
15/08/10 22:35
수정 아이콘
저때는 오이박

오영종 이제동 박지수 + 팀플 시절입니다. 고정엔트리로 다 두들겨패던 시절...
천무덕
15/08/10 22:37
수정 아이콘
아참, 타임어태커도 오즈 출신이었죠. 까먹고 있었네요(..)
생겼어요
15/08/10 22:24
수정 아이콘
당시 T1은 성적은 포기했고 제발 삼성만 이기자는 생각이 강했습니다. 박대경,최연성->송병구->전상욱이었나요. 세레머니 디스전 보는맛이 상당했는데 이후로 그런 설전이 없어서 많이 아쉬웠다는
꼬마산적
15/08/10 23:55
수정 아이콘
그나마도 많이 졋죠 흐흐
TheoEpstein
15/08/10 22:25
수정 아이콘
빡빡이형제들 아니였나요 삼칸한테 박살났었던것 같은데
다비드 데 헤아
15/08/10 22:27
수정 아이콘
2007년이 본격적으로 올드들이 하락하고 세로운 신예들이 치고올라오면서
올드중심이었던 kt,skt 모두 하락세..
15/08/10 22:31
수정 아이콘
그리고 택을 영입하죠. 그리하여 도택명이 나오고..
다레니안
15/08/10 22:34
수정 아이콘
저때 아마 도재욱이 소년가장하던 때가 맞던가요?
15/08/10 22:35
수정 아이콘
저 때가 '선택과 집중' 시기 인가요?
15/08/10 22:36
수정 아이콘
선택과 집중은 06년 하반기였고 07시즌에 철회했던걸로...
15/08/10 22:36
수정 아이콘
그 유명한 선택과 실신...
15/08/10 22:39
수정 아이콘
승점에서 보이듯이 치열하게 가다가 지는 경우가 많았어요 에결에서
전상욱 고인규 정도만 버티고 기존 올드들의 하락세가 두드러진 게 컸죠

그리고 T1 의 프로리그 암흑기 최고는
꼴지 결정전을 헥사트론이랑 했던 04 2라운드~ 3라운드 였다고 생각합니다 흐흐

07때는 신인 도재욱 정명훈 등 보는 맛이 있긴 했어요

이때 이후로 포시 탈락이 09~10 위너스때랑 14 프로리그 2라운드 단 두번 뿐이죠
로이스루패스
15/08/10 23:08
수정 아이콘
그쵸. 암흑기 최고는 04년도 2라운드 3라운드가 맞죠.
그때는 방송에 나오냐 마냐를 두고 강등전을 하던 시절인데요..
15/08/10 23:19
수정 아이콘
T1팬인 제 생각에도 승강전한 그때가 제일 암흑기였다고 봐야죠
그것도 풀스코어로 아슬아슬하게 이겼던걸로...
청보랏빛 영혼 s
15/08/11 11:21
수정 아이콘
잊고 있던 흑역사가 요기 있네~
와 헥사트론과의 경기는 정말... 어떤 결승전 경기보다 각잡고 봤던 기억이...
15/08/10 22:40
수정 아이콘
도재욱 오충훈 정명훈 등 신예육성하던때였나..
Necrosis
15/08/10 22:51
수정 아이콘
예전에 꼴지 한팀이 다음시즌 못나갈때 한번 거의 꼴지 했던 거 같은데 이때는 아니였나보네요
15/08/10 22:54
수정 아이콘
07년에 공군 창단으로 12개팀 체제가 정립되면서 폐지되었죠
칼란디바
15/08/10 23:15
수정 아이콘
결국 최초, 최후의 스타1 프로리그 우승을 차지했죠 동양 = SKT T1이..
스1에서는 정말 대단한 팀이었죠.
PolarBear
15/08/11 01:14
수정 아이콘
지금으로선 사실 스2도 대단한팀이 되어가고있는..
칼란디바
15/08/11 01:20
수정 아이콘
그렇네요 생각해보니 롤도 국내팀중에서는 최고의 커리어를 기록하고 있네요..
참 게임에 있어서는 명문구단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48673 [유머] 광복 70주년 기념 국뽕돌 한번 보고 갑시다. (2) [22] ASHED6821 15/08/14 6821
248672 [유머] 광복 70주년 기념 국뽕돌 한번 보고 갑시다. [13] 파란만장8574 15/08/14 8574
248671 [스포츠] 야구친구 불암콩콩코믹스 8월 14일 [19] 짱구6935 15/08/14 6935
248670 [동물&귀욤] 고양이 vs 악어인형 [5] 욕심쟁이4838 15/08/14 4838
248669 [유머] 발번역 vs 올바른 번역 [13] 마스터충달9163 15/08/14 9163
248668 [유머] 제1회 서유리 그리기대회 [18] 샨티엔아메이13232 15/08/14 13232
248667 [유머] [하스스톤] 노답 3형제 [14] 미생5873 15/08/14 5873
248666 [게임] 게임의 위험성 [14] 축생 밀수업자9637 15/08/14 9637
248665 [동물&귀욤] 이과 망했으면 [10] 슈퍼집강아지7892 15/08/14 7892
248663 [유머] 온갖 음해에 시달립니다. [27] 축생 밀수업자9832 15/08/14 9832
248662 [유머] 비방성 유머글을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하나1753 15/08/11 1753
248661 [유머] 반값 등록금 실현 [15] 샨티엔아메이9376 15/08/14 9376
248660 [게임] [스타2] 더운데 시원한 영상 한 편 보고 가시죠. [8] 리듬파워근성3812 15/08/14 3812
248657 [서브컬쳐] 마법소녀 유이가하마.manhwa [9] 조홍4497 15/08/14 4497
248656 [기타] 광복절에 되새겨보는 독립운동가.jpg [16] 삭제됨9022 15/08/14 9022
248655 [서브컬쳐] [디즈니] 뜬금포 설정 [7] SSoLaRiON5762 15/08/14 5762
248654 [스타1] 4강일땐 5위, 6강일땐 7위.jpg [12] SKY929318 15/08/14 9318
248652 [기타] 오늘자 클로저 이상용 [10] 호구미4050 15/08/14 4050
248651 [유머] 무한도전 가요제를 통해 얼굴과 이름을 알리게 된 [17] 호구미13372 15/08/14 13372
248650 [유머] 너 내 동료가 돼라 [5] Manchester United8784 15/08/14 8784
248649 [유머] 타잔, 출생의 비밀 [11] 민족의아리아7131 15/08/14 7131
248648 [유머] 잘못된 곡을 준비해 온 연주자 [24] Andromath12846 15/08/14 12846
248647 [기타] 인사이드 아웃 만화나 한 편 보고 가시죠. [19] 리듬파워근성9271 15/08/14 927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