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5/06/30 22:51:12
Name tad
Subject [스타1] 테란전 최초의 공식 스페셜리스트
박경락


이재훈


그전에도 특정종족에 잘하는 선수들은 공식,비공식적으로 있어왔지만
방송에서 스페셜리스트라는 칭호를 들은건 이때쯤이 처음이었던것 같습니다.
이 둘 말고도 더 있었던거 같은데 (한웅렬이라던가..) 이 둘이 제일 기억에 남네요.

아마 이둘은 저그,플토전은 버리고 테란전만 연습한게 아닌가 싶을 정도로 편향된 성적때문에
테란전극강의 이미지가 당시 더 부각된 느낌입니다.

특히 12여년전인걸 감안하면 폭풍처럼 몰아치던 일방향통행 홍진호만 보다가
박경락의 등장은 상당히 흥미로웠습니다.3방향 드랍 피지컬(?!)은 정말 경이로웠죠.
이재훈의 테란머리꼭대기 위에 있는듯한 운영과 테란에대한 이해도 역시 당시로썬 정말 대단했습니다.
상대가 당대 아무리 잘나가던 테란이라도 이재훈이라면 테란한테 진다는 생각이 잘 안들었죠.
한량모드만 아니라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06/30 22:52
수정 아이콘
토스전만 잘했으면 4대 토스 됐을 전태규 생각나네요 크크
15/06/30 22:53
수정 아이콘
하지만 시즈모드 퉁퉁퉁퉁과 50게이트 사건을 남긴...
TWINS No. 6
15/06/30 22:55
수정 아이콘
경락마사지는 정말 센세이션 했어요
미적분과통계기본
15/06/30 22:55
수정 아이콘
아니 그보다 [임]선수의 저그전이....
15/06/30 22:56
수정 아이콘
사실 그걸 노렸..
크림소스파스타
15/06/30 22:55
수정 아이콘
29승 7패 덜덜
강용석
15/06/30 22:56
수정 아이콘
저 둘을 이기고 진출했던 머젤갓..
기차를 타고
15/06/30 22:56
수정 아이콘
박경락 덜덜
그것은알기싫다
15/06/30 22:56
수정 아이콘
저당시 임요환이 토막토막 소리 듣긴했지만 5할은 했군요..
피아니시모
15/06/30 22:59
수정 아이콘
2001sky에선 토스에게 지긴 했어도 그동안 먹어놓은 승률이 어마무시했죠 그게 인제 반토막이 나기 시작한게 2002sky...
스타나라
15/06/30 23:05
수정 아이콘
무려 두번의 결승전 기록이 포함된 스코어입니다. 2001년 데뷔시즌의 기록 자체가 워낙 대단해서...토스전이고 뭐고간에 승률이 꽤 됐었습니다.
OneRepublic
15/06/30 23:25
수정 아이콘
임요환이 저그전에 비해 토스전이 약하긴 했지만, 초창기 토스전 드랍쉽러쉬는 알고도 못막는 선수 많았죠.
초반에 승많이 올려놨을거에요.
15/06/30 22:57
수정 아이콘
이재훈은 wcg 우승했지만 박경락은 3연속 4강에 그쳐 좀 아쉬웠죠. 앞에 2번은 조용호, 홍진호를 만나 지고 또 올라가니 패러독스...
피아니시모
15/06/30 23:45
수정 아이콘
심지어 둘 다 4위 마지막 3위도 간신히 박정석 감독을 3:2로 이긴...(..)

게다가 그 4위한 것중에 파나소닉배 조용호와의 3,4위전은 6뮤탈 찍으면 이기는 걸 스커지 찍었다가 저글링에 쓸린..
ll Apink ll
15/07/01 00:27
수정 아이콘
파나소닉 4강 조용호 3/4위전 홍진호
올림푸스 4강 홍진호 3/4위전 임요환
으로 기억합니다.
아마 4강은 다 3:0으로 지고 3/4위전은 3:1로 졌었던거 같은데 스코어까진 확실치 않네요ㅠ
피아니시모
15/07/01 01:45
수정 아이콘
제 기억이 맞으면 조용호랑은 3:2였습니다.
제가 말한 경기는 비프로스트 5경기 마지막이었고 뮤탈 찍어서 날라가면 승기 잡는 상황에서 스커지를 뽑는 비범함을 보이더니 이후로 밀린..(..) 엄옹이 도대체 왜 여기서 스커지 찍냐고 무진장(?) 까서 기억이 남는..
ll Apink ll
15/07/01 00:29
수정 아이콘
마이큐브가 진짜 천추의 한...
비록 패러독스가 있었지만 어쨌든 4강 3플토였어서 경락동에선 결승은 따논 당상이다 라는 분위기였었거든요 크크크크ㅠㅠ
무라딘
15/06/30 22:59
수정 아이콘
그때 김창선 해설이었나.. 한웅렬선수보고 연습안하고 한게임 고스톱만 쳐도 테테전은 이긴다고.. 우스갯소리로 했던 기억이 나네요.
15/06/30 23:03
수정 아이콘
한 2주전인가 이윤열이 언급하기에도 웅렬이형 테테전은 알아줬다고...
15/06/30 23:00
수정 아이콘
당시 잘나가던 저그 3명 합친 조진락이라는 말도 있었는데..
콩쥐팥쥐
15/06/30 23:01
수정 아이콘
변은종이 8승 0패였던가요. 9승 0패였던가요. 나도현 선수에게 벙커링 맞기 전까지 역대 저그 중 테란 가장 잘 잡는다고 얘기가 나왔었죠.

그 다음 시즌 박성준 선수 나오면서 사라졌지만
15/06/30 23:08
수정 아이콘
변은종이 더 대단했네요.
그런데 다른종족전도 왠만큼 잘해서 그런가 특별히 테란전 스페셜리스트란 얘기를 방송에서는 많이 못들어본것 같습니다.
그냥 한때 두루두루 졸라 잘하는 선수라는 느낌이랄까..
당시 박경락,이재훈은 실력도 실력이지만 포장가 엄옹의 입김도 작용해서 이미지가 강하게 남았나 봅니다.
콩쥐팥쥐
15/06/30 23:16
수정 아이콘
레어저그가 멸망하면서 가장 크게 피해를 본 선수죠. 즉 최연성 선수가 등장하면서 너무 빨리 져버렸죠. 실제로도 정상적으로 앞마당 먹고 시작하면 최연성을 절대 이길 수 없었던
피아니시모
15/06/30 23:47
수정 아이콘
박경락 이재훈의 경우는 주변에서도 엄청나게 칭찬한 것도 컸습니다.

실제로 엠겜맵이긴 하지만 블루스톰에선 테란 상대로 정상적인 옵드라로 절대로 안진다고 연습때...(..) 진짜 너무 잘한다고 절대 절대 절대 안진다고 막 그래서 해설자들이 그 얘기 해주고 그랬는데 이윤열한테 타이밍러쉬에 졌죠..

사실 둘 다 해설자가 그냥 전적만 놓고 포장 한게 아니라 그 주변인물들이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했다는 일화가 계쏙 나와서..
15/06/30 23:56
수정 아이콘
블레이드 스톰이죠 표창 모양의 4인용 맵
피아니시모
15/07/01 01:46
수정 아이콘
아 블레이드스톰이죠 크크 블루스톰이래..
원추리
15/06/30 23:01
수정 아이콘
대나무류 조정훈 어디갔죠
15/06/30 23:04
수정 아이콘
그분은 조정현...
그것은알기싫다
15/06/30 23:06
수정 아이콘
조정훈은 제 기억에 엠겜 워3리그에서 아 이선수 조옷!!!에서 이현주 캐스터가 조정훈선수~하면서 넘어갔던 그 사건의..흐흐
스타나라
15/06/30 23:06
수정 아이콘
조정훈은 롯데에 있습니다 (정색)
15/06/30 23:02
수정 아이콘
으음.. 메인이 되는 두 선수를 낮춰보려는 건 아니지만 [임]의 전적을 안 볼수가 없네요...
15/06/30 23:02
수정 아이콘
일부는 시즈가 됐고 일부는 퉁퉁퉁퉁
능그리
15/06/30 23:04
수정 아이콘
올림푸스배 A조가 그래서 역대급 죽음의 조였죠.
테란 투탑 임요환, 이윤열
테란전 스페셜리스트 박경락, 이재훈
크라쓰
15/07/01 00:16
수정 아이콘
누가 올라갔었나요?

4강에서 처음으로 떡실신 당한 요환 형 보고 울었던 기억나는데 나머지 한자리는 기억이 안나네요.
호구미
15/07/01 00:17
수정 아이콘
박경락 임요환 이렇게 올라갔던 걸로..

제가 본 첫 스타리그라서 기억나네요
지나가다...
15/07/01 00:22
수정 아이콘
임요환, 박경락이 올라갔을 겁니다.
닭강정
15/07/01 01:19
수정 아이콘
당시 온게임넷 우승자 징크스를 못 피하고 이윤열 선수 탈락
그리고 그 유명한 일부는 시즈모드 일부는 통통통통에 당하며 이재훈 선수 탈락이었죠.
방과후티타임
15/06/30 23:05
수정 아이콘
맵은 토스가 우세한 기요틴, 토스전 불안한 임요환과 테란전 극강 이재훈, 이겨야지만 8강진출이 가능한 상황
배럭이 올라가기 시작하는데...
스타나라
15/06/30 23:07
수정 아이콘
아직도 잊을 수가 없네요.
연습때에는 드라군이 8기 나와있는 타이밍이었는데, 경기날 이재훈의 드라군이 7기뿐이라서 승리를 확신했다던 주훈감독의 멘트를요...
15/06/30 23:10
수정 아이콘
거기다가 대각. 개인적으로 그 경기는 전용준 캐스터가 캐리했다고 봅니다.
15/06/30 23:13
수정 아이콘
일부는 시즈모드..
지나가다...
15/07/01 00:26
수정 아이콘
일부는 퉁퉁퉁퉁퉁퉁!
15/06/30 23:27
수정 아이콘
경기를 해설이 완성한 경기..
OneRepublic
15/06/30 23:22
수정 아이콘
종족전 스페셜리스트하면 장진남의 토스전이 장난아니었죠. 딴거 없고 링컨트롤로 압살
링만쓰는거 아는데도 압살. 그 시절 종족연승전 같은 거 했었는데 토스 최고수들 링만으로 압살했었죠. 뭐그 시절에 언덕맵이 적은 덕을 보긴 했지만요 흐흐
시기가 좀 안맞는데, 프로리그 팀플하던 시절이 조금 빨리 왔다면 정말 제대로된 일승카드였을듯. 초창긴데 링컨은 역대급이었죠.
Russian Red
15/06/30 23:34
수정 아이콘
으허 그립따 박경락선수 근황 궁금하네요
15/06/30 23:44
수정 아이콘
'전태규 질레트인터뷰중.'
-대테란전 6연승인데
6연승밖에 안되나. 예전에 8연승하다 끊겨서 이제 6연승데...사실 연승은 별로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승률이 중요하다. 14승2패. 내가 최고다. 테란은 언제든지 이길 수 있다.

그리고 바로 최연성을 만나는데...
ll Apink ll
15/06/30 23:50
수정 아이콘
크크 저때 박경락 빠돌이 했어서 기억이 아직도 생생히 납니다.
3연 4강때 저그전 승률이 40%대였는데도 총 승률이 60%대였었으니까요...
엄옹이 주구장창 밀던 멘트가 '3가스 먹은 박경락'이었죠 포장에 있어서 '앞마당 먹은 이윤열'의 후광도 받았지 싶습니다 크크

동족전 쥐약에 발목 잡히는건 훗날 김명운-김민철로 계승된다는 슬픈 전설이.....
딱총새우
15/07/01 00:10
수정 아이콘
저는 한웅렬 선수가 떠올랐네요. 해설진들이 테테전 꽤나 띄워줬었는데 말이죠.
크라쓰
15/07/01 00:12
수정 아이콘
안마당 먹은 이윤열을 잡던 토스 이재훈 저그 주진철이 떠오르네요.
버그사자렝가
15/07/01 00:43
수정 아이콘
근데 임요환 전적쌓던 맵들이 좀 대놓고 밀어주는 맵이라 별로.
푸른발가마우지
15/07/01 01:24
수정 아이콘
저당시에 임요환 저그전 지는게 워낙 드물었던 일이라 7패했던 경기가 다 기억이 날 정도였죠. 지금은 가물가물합니다만
대충 코크배때 16강에서 2패하고 (김신덕 성준모선수? 였나요) 결승에서 2패, 그뒤로 네이트16강이랑 파나소닉8강에서 합쳐서 3패했겠네요. 아마 그당시 임요환 잡을만한 저그면 홍진호, 박경락정도 됐던 것 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95726 [스타1] 이제동 질문이벤트 현황 [14] tad8094 16/11/12 8094
264585 [스타1] 아직 방송1초도 안했는데 [5] tad6325 16/02/15 6325
254554 [스타1] 조작러와 상종안하기로 유명한 아프리카bj [20] tad10659 15/10/21 10659
249406 [스타1] 코빠차 [5] tad6395 15/08/23 6395
247158 [스타1] 스타판 축구3대장 [32] tad10888 15/07/25 10888
245684 [스타1] 팀이 3:0으로 지고 있는데 웃고 있어요! [31] tad9581 15/07/07 9581
245592 [스타1] 조일장이 평가하는 스베누리그 게이머등급 [27] tad8505 15/07/06 8505
245154 [스타1] 테란전 최초의 공식 스페셜리스트 [51] tad8533 15/06/30 853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