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4/12/11 13:41:28
Name 조던
Subject [유머] [유머] KeSPA 선정 스타크래프트 명예의전당 20人
1. 기욤 패트리
스타크래프트 명예의전당 헌액자 20人

2. 김동수
스타크래프트 명예의전당 헌액자 20人

3. 임요환
스타크래프트 명예의전당 헌액자 20人

4. 홍진호


5. 박정석
스타크래프트 명예의전당 헌액자 20人

6. 이윤열
썸네일

7. 조용호
썸네일

8. 서지훈
썸네일

9. 강민
썸네일

10. 박용욱
썸네일

11. 최연성
스타크래프트 명예의전당 헌액자 20人

12. 박성준
썸네일

13. 박태민
썸네일

14. 오영종
스타크래프트 명예의전당 헌액자 20人

15. 송병구
썸네일

16. 김택용
썸네일

17. 이제동
썸네일

18. 이영호
썸네일

19. 허영무
http://imgnews.naver.net/image/236/2013/09/04/1378283339_1_59_20130904174806.jpg

20. 정명훈
썸네일


엄청난 우승경력의 소유자들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12/11 13:44
수정 아이콘
문득 마레기가 주작을 하지 않았다면 20인 뽑을때 들어갔을텐데 누가 빠졌을까 궁금하네요
ohmylove
14/12/11 13:47
수정 아이콘
서지훈이 빠지지 않았을까 싶네요.
케이틀린
14/12/11 13:50
수정 아이콘
박태민이 더 유력하지 않을까요?
서지훈 선수는 wcg 금메달도 있고 다전 및 승률로도 앞서고요.
보라돌이
14/12/11 13:49
수정 아이콘
오영종선수나 조용호선수가 빠지지 않을까요 아무래도 오영종선수가 제일 위험해보이긴 하네요
라이트닝
14/12/11 13:50
수정 아이콘
임팩트 때문에 오영종 선수말고 다른 선수가 빠졌을것 같아요
14/12/11 14:08
수정 아이콘
이 중 스타아닌 선수가 있겠냐만은 오영종의 스타성은 엄청난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죠. 가지고 있는 몇안되는 커리어들이 다 임팩트가 무시무히하죠. 프로리그에서도 잘했고
독수리의습격
14/12/11 14:38
수정 아이콘
조용호는 커리어로 보면 홍진호와 동급내지 반 수 위죠.
오영종은 임팩트가 갑이라.....오영종보단 박용욱이 좀 더 위험하다고 봅니다.
독수리의습격
14/12/11 14:35
수정 아이콘
박태민이 가장 위험하죠. 일단 결승 진출 횟수 자체가 1번으로 서지훈과 같은데 꾸준함면에서 서지훈에게 안 되니까요.
14/12/11 19:40
수정 아이콘
당신은골프왕 시점에 박태민 이윤열 결승서 두번 붙지 않았나요.?. 프리미어리그랑 엠비씨게임였나..
독수리의습격
14/12/11 20:43
수정 아이콘
프리미어리그는 규모는 정규리그급이지만 이벤트 리그로 취급되던 대회라......그리고 결승상대는 박성준이었습니다.
조재걸얼빠
14/12/11 23:55
수정 아이콘
결승에서 붙은건 아니고 아이옵스 스타리그 4강에서 붙었습니다. 이때 당골왕 아이옵스 그리고 하나 더해서 박태민 이윤열 3연전이라고 불렸는데 하나는 뭐였는지 기억이...
동물병원4층강당
14/12/11 13:45
수정 아이콘
정말 쟁쟁한 선수들이네요. 저 선수들의 우승횟수를 모두 곱하면 적어도 억단위는 나오겠죠?
디자이너
14/12/11 13:46
수정 아이콘
아무리 20명이라도 억단위는 좀 무리고 백단위나 천단위까진 나올것 같네요...
내장미남
14/12/11 13:51
수정 아이콘
0입니다. ㅠㅠ 콩까지 마시죠 ㅠㅠ
피들스틱
14/12/11 14:03
수정 아이콘
콩만해도 100을 곱해야 하는데요?
디자이너
14/12/11 14:15
수정 아이콘
명전에 있는데 우승이 없다는게 말이나 됩니까...? ㅜㅜ
ohmylove
14/12/11 13:46
수정 아이콘
저만 사진이 엑박으로 뜨나요?
14/12/11 14:09
수정 아이콘
수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14/12/11 13:47
수정 아이콘
번호가 잘못된거 같은데요? 왜 2번이 김동수 선수죠?
쿠로다 칸베에
14/12/11 13:48
수정 아이콘
다들 우승경험이 있는 선수들이군요?..
라이트닝
14/12/11 13:50
수정 아이콘
홍진호가 왜 2번이 아니죠?
14/12/11 13:51
수정 아이콘
+2
FastVulture
14/12/11 14:11
수정 아이콘
제 말이
14/12/11 13:52
수정 아이콘
누가 2등은 기억하지 않는다고 했나..

2등을 많이하면 1등보다 더 기억에 남는 것을....
보라돌이
14/12/11 13:55
수정 아이콘
2등을 1등으로 했기 때문에 진정한 2등이 아닙니다?
14/12/11 14:10
수정 아이콘
아뇨 4연준 때문에 2등도 밀립니다.
2등도 1등하지 못한 콩 ㅠㅠ

그러기에 진정한 2등..
14/12/11 13:58
수정 아이콘
아마 2등도 2등인걸로?... 2등 중 1등도 그분이었던 것 같은데...
피들스틱
14/12/11 14:05
수정 아이콘
양대리그 따지면 콩은 준우승 5회, 그분은 스타리그에서만 4회일겁니다
미네랄배달
14/12/11 14:16
수정 아이콘
마모씨 때문에 오히려 딱 맞아떨어진 느낌인데.

오히려 한 명 더 넣을려고 하니 굉장히 애매하네요.

누구를 넣어야 하나..변길섭? 김준영?
피들스틱
14/12/11 14:24
수정 아이콘
홍진호는 2002년 2월 22일 온게임넷 스타리그 왕중왕전에서 분명히 우승했습니다!
그리고 이 대회는 차기 스타리그 탑시드(!) 까지 준 엄연한 공식대회였다니까요...
14/12/11 14:40
수정 아이콘
이거 날짜가 진짜네요... 220년 아쉽다
14/12/11 14:27
수정 아이콘
진짜 누구 하나 뺄 수가 없네요.

마레기 조작질이 신의 한수?
14/12/11 14:28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여기서도 증명되는 토스개사기설
독수리의습격
14/12/11 14:36
수정 아이콘
토스 우승자는 모두 헌액;;
14/12/11 14:39
수정 아이콘
크크 2번째로 통산백승 달성
possible
14/12/11 14:51
수정 아이콘
프로토스 9, 테란 6, 저그 5
토스 개사기 종족이네요...
14/12/11 15:00
수정 아이콘
홍진호 조용호 박성준 xxx 이제동
임요환 이윤열 최연성 이영호 정명훈
박정석 강민 송병구 김택용 허영무

이렇게 깔끔하게 5-1 : 5 : 5 가 좋아보였는데 말이죠...

이게 제가 정한 기준이었는데 우승 준우승 통합 4회 이상이었던가... 그랬던 것 같아요
도바킨
14/12/11 15:01
수정 아이콘
토스의 인기 증명이네요
토스는 1회 우승자도 다 올랐는데
다른 종족 1회 우승자는 상당수 못 올랐네요

변길섭이라던지 심소명...
ohmylove
14/12/11 15:04
수정 아이콘
심소명은 우승 못 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도바킨
14/12/11 15:04
수정 아이콘
앗 그런가요?
독수리의습격
14/12/11 15:23
수정 아이콘
마조작땜에......
잡학사전
14/12/11 16:12
수정 아이콘
마에스트로 vs 겜블러라는 컨셉의 저그전을 진주 공군비행장(?)에서 했었고
마모씨가 3:1로 우승한걸로..
저글링앞다리
14/12/11 15:22
수정 아이콘
그 많던 프징징들 다 어디갔나요 나와보시죠 크크크
이걸 보고도 토스 개사기인걸 인정 못하실겁니까 크크크크
역시 가장 불쌍한 종족은 저그인걸로..
14/12/11 15:24
수정 아이콘
20년도 안 된 리그에서 20명이나 뽑는건 말이 안 된다고 보는데...
크로스게이트
14/12/11 15:38
수정 아이콘
뭔가 매우 적절하네요??
저도 20명을 뽑으라면 딱 저정도로 나올것같네요.
10명을 뽑는다면 테란은 임요환, 이윤열, 최연성, 이영호, 저그는 홍진호, 박성준, 이제동, 토스는 박정석, 강민, 김택용을 뽑을것같구요.
중계왕
14/12/11 15:42
수정 아이콘
저도 정확히 일치하네요.
14/12/11 15:45
수정 아이콘
뼈속까지 GO~CJ, 그 중에서도 서지훈 팬이지만 경력에 비해 포장이 잘 되어있는거 같아요.
잡학사전
14/12/11 16:09
수정 아이콘
서지훈만큼 꾸준한 선수도 드물다고 생각합니다.
팀리그에서의 임팩트, 프로리그에서의 꾸준함
개인커리어로는 스타리그 우승,WCG 금메달도 있고 비스폰 G.O시절에 스타성 + 안정감 가진 테란인데

저도 G.O에서 CJ까지 팬인데 팬에게 있어서는 전성기때도 연봉후하고 대우좋은 대기업팀으로 이적안하고 팀을 지켜줬고 연습생부터 은퇴까지 원팀 프렌차이즈 선수라는 상징성도 있구요.
서지훈만큼 선수생활하는 동안 팀단위대회에서 안정감있는 1승카드, 개인리그에서 꾸준한 성적 거둔 선수는 거의 없다는 생각이드네요.
14/12/11 15:58
수정 아이콘
토스들은 그래도 결승을 최소 2번은 갔네요
14/12/11 16:04
수정 아이콘
정말로 마레기가 빠지니깐 20위안에 안들어간게 이상한 선수가 없네요... -.-;
잡학사전
14/12/11 16:14
수정 아이콘
정말 그러네요 -_-;;
"누구빼고 누구넣어라" 혹은 "누가 왜 안들어갔냐?"라는 말이 필요없네요
메피스토
14/12/11 20:22
수정 아이콘
22명 뽑고 22번째에 홍진호씨를 넣지 않은 이유를 모르겠네요.
어떤날
14/12/11 21:20
수정 아이콘
적절하네요.
14/12/11 21:53
수정 아이콘
얼레 이런게 있었군요
근데 20명은 너무 많아 보이는데...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박용욱 박태민 서지훈 오영종 정명훈 선수를 빼겠습니다.
yangjyess
14/12/11 23:06
수정 아이콘
역시 인기가 있어야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28940 [유머] [유머] [스타1] 낚시를 하는 법 [3] 토죠 노조미4378 14/12/31 4378
228466 [유머] [유머] [스타1] 리쌍록 날빌대전(대한항공 시즌 2 결승아님).avi [7] SKY925359 14/12/25 5359
228135 [유머] [유머] [스타1] 언제 키배를 벌여도 재밌는 주제들 [121] 저글링앞다리10119 14/12/21 10119
227232 [유머] [유머] KeSPA 선정 스타크래프트 명예의전당 20人 [55] 조던9955 14/12/11 9955
227081 [유머] [유머] [스타1] 해설계의 전설의 레전드 [10] 닉네임할게없다5317 14/12/10 5317
226641 [유머] [유머] [스타1] OSL, MSL 우승자 준우승자가 서로 바뀌면?!?! [36] 블랙탄_진도10839 14/12/05 10839
226555 [유머] [유머] 이제동맥경화 [12] 제논7554 14/12/04 7554
226527 [유머] [유머] [스타1] [고전] 김택용 vs 송병구 [29] 블랙탄_진도6880 14/12/04 6880
222863 [기타] [기타] [스타1] 허영무: 이제동이 쓰러지지 않아 [12] kien5426 14/10/27 5426
220475 [스포츠] [스포츠] [스타1] 과거 억대 연봉자들 [32] 키스도사8711 14/10/06 8711
217460 [기타] [기타] [스타1] 맵핵킨 이제동 vs 이영호 in 라그나로크 승률이 어떻게 나올까요? [26] kien6797 14/09/05 6797
216245 [기타] [기타] [스타1] '김명운'이 '이제동'을 '개인리그'에서 '5전 3선승'인 '저저전'에서 승리 [9] kien3774 14/08/23 3774
216041 [스포츠] [스포츠] [스타1] 흔한 이제동의 저그전.swf [5] 지니-_-V3107 14/08/21 3107
215181 [기타] [기타] [스타1] XX의 경기는 재미가 없다. . [29] kien5814 14/08/13 5814
215129 [기타] [기타] [스타1] 이제동 곰티비 시즌 4 개인적으로 뽑은 명경기들 [2] kien4403 14/08/13 4403
215017 [기타] [기타] [스타1] 이제동 위너스 리그 3연승의 순간 [6] kien4072 14/08/12 4072
214187 [유머] [유머] [스타2] 뜻 깊은 날... [3] 저퀴4524 14/08/04 4524
214077 [기타] [기타] [스타1] 이제동의 테란전 최고 포스 시점 [17] kien7682 14/08/02 7682
213579 [스포츠] [스포츠] (쿨타임) 김캐리의 절규 시리즈 [29] 탕수육5669 14/07/28 5669
212988 [기타] [기타] [스타1] 광3패 [8] kien4756 14/07/22 4756
212958 [유머] [유머] 프로게이머 상금 순위 갱신 [22] Leeka6895 14/07/22 6895
212608 [기타] [기타] [스타1] (이제)동맥 경화 [8] kien5239 14/07/18 5239
212570 [스포츠] [스포츠] [스타1] 하드코어 질럿 러쉬를 12앞마당으로 막는 방법 [11] UnderDoG5046 14/07/18 504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