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4/07/01 15:34:32
Name 사장
Subject [스포츠] [스포츠] 메시 vs. 박주영








항상 궁금했던 건데,

청대시절 박주영이 메시 << 박주영 설이 나올 정도로 무지무지 잘했던 걸까요,
아니면 그 중국전 골 때문에 다들 뭔가 엄청나게 속고 있었던 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압도수
14/07/01 15:36
수정 아이콘
저 무명님은 미래에서 오셨나...
뱃사공
14/07/01 15:41
수정 아이콘
마라도나를 능가하긴 힘들지 않냐고 봐서는 아마 2014년 월드컵까지는 못 보고 오신 듯요.
No.6 Xavi
14/07/01 15:36
수정 아이콘
어라 저때 싸줄에 추천기능이 없었던걸로 기억하는데...
14/07/01 16:56
수정 아이콘
지금 가서 저 글 읽고 캡쳐한거겠죠 킄
연아동생
14/07/01 15:47
수정 아이콘
저 당시에 나온 위닝일레븐 10 마스터 모드에서 박주영 키우면 정말 세계최강의 선수가 됩니다. 수비를 제외한 모든 능력치가 빨간색 이었죠.
그런데 지금은 그때 박주영으로 득점왕 MVP 만든게 부끄럽네요..
14/07/01 15:52
수정 아이콘
당시 청대에서 독보적인 활약이긴 했습니다. 위키를 보니 U-20 통산 기록이 26경기 18골이고 2004년에 afc 청대 득점왕,mvp네요.
청대 활약이 워낙 좋아서 당시에 박주영 인기가 대단했죠. 박주영 키우기라는 아마추어 게임이 나올 정도로 ==;
근데 메시는 2005 u-20 월드컵 우승에 mvp,득점왕이었으니 아시아권 최고 유망주와 축구계 최고 유망주라는 차이가..
터치터치
14/07/01 15:52
수정 아이콘
스포츠 뉴스만 켜면 박주영이 나오던 시절.... 그 알 느낌나는 다큐 같은 걸로 제작도 된 기억이..
왼손은그저거들뿐
14/07/01 16:02
수정 아이콘
청대시절이었나...스포츠 1면에 무조건 박주영이었던 걸로 기억하네요.
경기당 무조건 1골 이상 넣었던... 골 넣고 기도하고...
천재 강림이라는 표현이 딱이었던 걸로 기억을 되짚어봅니다.
이게 언제때야...나 중학교땐가...
낭만토스
14/07/01 16:08
수정 아이콘
진짜 처음 나왔을 때 임팩트는 엄청났죠

당시 우리나라의 고질적인 문제가 골 결정력이라고 해서

박주영이 대표팀 오면 우리나라 엄청나지겠구나 이런 생각했었던 기억이....
김가람
14/07/01 16:18
수정 아이콘
참고로 05년 세계대회때 2살어린 메시는 우승에 MVP. 박주영은 대회 내내 부진.

다만 쉴드 칠 여지가 좀 있는게 대회 월드컵 최종예선에 국가대표팀에 선발되는 바람에 컨디션 조절하는데 힘들만 했다는 겁니다.
당시 우주벡전은 패배하면 남은 경기 결과에 따라 탈락 할 수도 있는 상황이였기에 가장 중요한 경기였는데 결국 박주영이 극적인
동점골을 넣어서 사실상 확정 짓게 됩니다. 다만 제 기억에 이 골은 분명 오프사이드로 보였는데 어찌 된 일인지 상대 선수도 언론
도 별말들이 없더라구요.

아 그리고 또 기억나서 사족으로 하나 더 달아보자면 05 대회때 한국이 드라마틱 하게 나이지리아에게 2:1 역전승을 거뒀는데 그
나이지리아가 결국 준우승 하더군요. 크크크
마르키아르
14/07/01 16:20
수정 아이콘
저 나이대 기준으로, 이동국, 박주영, 손흥민 비교하면 어떤가요?

비슷비슷한가요? ^^:
14/07/01 16:27
수정 아이콘
고종수가 갑이죠
아르센벵거
14/07/01 19:06
수정 아이콘
손흥민은 국제대회에 많이 안나와서 그런지 실력에 비해 조용하게 지나간것 같고

이동국도 박주영도 청소년대회 및 국가대표a 팀 에서 초반 활약때문에 화제가 되었죠

화제성으로만 보면 박주영이 위였던것 같습니다. k리그 붐도 이끌었었고요

2002년의 대박이후여서인지 마케팅의 발전 때문인지 언론에서도 스타만들기에 여념이 없었고 그 시기와 맞물리기도 했던것 같고요
막강테란
14/07/01 20:39
수정 아이콘
K리그의 붐을 이끌었다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지 않나 싶어요
박주영 때문에 팬이 늘진 않았던걸로 기억합니다.
왜냐하면 별로 크게 관중수가 늘거나 그러진 않았거든요.
그냥 FC서울의 팬이 많아진 것일뿐
14/07/02 11:01
수정 아이콘
근데 저처럼 순수하게 박주영보러 경기장 찾은 사람들도 꽤 될겁니다. 저만해도 박주영보러 아시아드랑 문수 갔었으니까요
닭쵸혼
14/07/01 19:11
수정 아이콘
기승전국뽕
14/07/01 22:15
수정 아이콘
무명님 한준희옹이신듯...분석력이 후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162973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83790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589145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1006925
518000 [게임] 스파6 에보2025 결과 [3] STEAM274 25/08/04 274
517999 [유머] 펩시 제로 슈거의 비밀 [13] 제논1617 25/08/04 1617
517998 [기타] 안타까운 네이버 지식IN 근황 [8] 독서상품권1447 25/08/04 1447
517997 [유머] 남친과 섹스를 안한지 한달이 지났습니다. [3] 제논2176 25/08/04 2176
517996 [유머] 아들, 엄마랑 돈까스 먹으러 가자~ [4] 카루오스1599 25/08/04 1599
517995 [유머] 의외로 혼밥 할 때 많이 하는 행동 [18] 한강3556 25/08/04 3556
517994 [유머] 편의점에서 당한 사람 [15] 길갈3145 25/08/04 3145
517993 [게임] 아슬란 2025 evo 철권8 우승 [18] 시린비2234 25/08/04 2234
517992 [기타] pc거르고 케데헌이 디즈니 작품이 아니라 다행인 이유 [28] lasd2413321 25/08/04 3321
517991 [기타] 아무도 안 믿는다는 영화 엔딩 [17] 퍼블레인3266 25/08/04 3266
517990 [게임] 스파6 수영복 트레일러.youtube [6] Thirsha1265 25/08/04 1265
517988 [서브컬쳐] MCU 스파이더맨 후속편에서 꼭 나올것 같은 복선. [9] 캬라1935 25/08/04 1935
517987 [기타] 주문온 배달건은 반드시 배달한다 [16] 카루오스3744 25/08/04 3744
517986 [유머] 7일 이후에는 교환 반품이 불가합니다 [25] 길갈4739 25/08/04 4739
517985 [유머] 남자 쉽게 긁는 방법 [11] Croove4607 25/08/04 4607
517984 [유머] 현재의 비밀번호 체계가 소용없다는 당시 고안자 [38] Croove5799 25/08/04 5799
517983 [유머] 어르신들을 이해하게 된 사람 [30] 밥과글5349 25/08/04 5349
517982 [게임] 철권8 아머킹 트레일러 [11] STEAM1808 25/08/04 1808
517981 [게임] 어쩔 수 없군... 임시동맹이다! [15] 묻고 더블로 가!3445 25/08/04 344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