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0/01 22:44:24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2889379400
Subject [일반] 책 후기 - <하얼빈>

몇 번이고 언급했지만, 저는 장편보다는 단편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문장력과 구성이 중요한 장편보다 발상과 그 전개가 중요한 중단편이 더 끌리는 취향이라 그렇습니다. 그 선후관계는 말씀드리기 어렵지만요.


그런 중에 저에게 김훈이라는 작가님은 가시와 같은 느낌입니다. 그러니까, 이해하기 어렵고 (어디까지나 개인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문장력'이란 측면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작가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언젠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였나 혹은 모의고사 문제지에서 만났던 <현의 노래>는 그 짧게 편집된 분량에도 불구하고 저에게 큰 인상을 남긴 문장들이었으니까요.


<하얼빈>의 이야기는 다들 알고 계시겠지만, 안중근 의사의 일주일을 다루고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언어로 표현하자면 김훈 작가님 특유의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불가해한 세상에 대해 한 사람이, 혹은 한 남성이 부딪치는 이야기'라는 점에서요. 이야기는 그런 점에서 '교차'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대련에서 하얼빈으로 이어지는 이토의 이야기와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하얼빈으로 연결되는 안중근의 이야기로, 혹은 두 가지의 의지가 맞부딪치는 장소로써의 하얼빈으로.


동시에 이야기는 빌렘 신부와 뮈텔 신부의 이야기를 곁들이며 어떤 점에서는 종교적인 물음, 정확하게는 카톨릭의 물음을 담기도 합니다. 어찌보면, 이 또한 교차라고 할 수 있겠네요. 하느님의 나라와 세속의 나라의 경계선에서 '죄'는 너무나도 많거나 혹은 이해할 수 없는 것이기도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좋았던 문장 하나를 남길까 합니다. 뒷 표지에도 써진 문장으로 후기를 마칠까 합니다.


'총구를 고정시키는 일은 언제나 불가능했다. 총을 쥔 자가 살아 있는 인간이므로 총구는 늘 흔들렸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0/02 10:04
수정 아이콘
단편소설에 발상이 중요하다고는 들었는데, 문장력은 장편에서 더 중요한가요? 길어질수록 문장보다는 내용전개에 더 집중하게 된다고 생각했었는데 아닌가 보네요.
aDayInTheLife
22/10/02 10:36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문장이 부족하더라도 발상의 힘으로 단편은 끌고 갈 수 있다고 생각을 하는 편이라 그렇게 썼습니다. 저는 아무래도 길어질수록 문장의 맛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조과장
22/10/05 19:23
수정 아이콘
이분 신간이 나온지도 몰랐습니다.
알려주서서 오늘 서점에서 사서 읽는 중입니다.
아직 초반이지만 역시 글맵시가.....
현의 노래, 남한산성 같은 작품의 냄새가 나서 좋았습니다.
aDayInTheLife
22/10/05 19:24
수정 아이콘
재밌게 읽으십쇼!
확실히 김훈 작가님 스러운 문장이 있죠. 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6811 [정치] 권성동 의원의 속시원한 일침. [106] 오리와닭24188 22/10/07 24188 0
96809 [일반] [갤럽] 尹 긍정평가 29% [76] 아이는사랑입니다21297 22/10/07 21297 0
96808 [정치] 국힘 이준석 당원권 정지 1년 추가...2024년 1월까지 [186] 대법관27423 22/10/07 27423 0
96807 [정치] 전현희 "감사원, 종료 직전 서해사건 유권해석 감사…정치공세 의도" [9] 베라히14056 22/10/07 14056 0
96806 [일반] 부산국제영화제 후기. (사진과 스포 다량 함유!) [8] aDayInTheLife12659 22/10/07 12659 0
96804 [일반] 송도에 대한 잡감 [45] 아스라이15866 22/10/06 15866 17
96803 [일반] 작은 개발사를 운영하며 겪는 경제 위기 [27] 시드마이어15897 22/10/06 15897 52
96802 [일반] '우리 집'에서 산다는 것의 행복함 [83] 여수낮바다19460 22/10/06 19460 80
96801 [정치] 법원, 이준석 가처분 기각…정진석 비대위원장 직무집행 효력 인정(링크 수정) [243] 대법관26340 22/10/06 26340 0
96800 [일반] 드디어 애플페이가 11월 30일 (예정?) 에 상륙합니다. [100] Leeka17209 22/10/06 17209 2
96799 [정치] 결국 드론택시가 강남을 못가게 생겼습니다. [65] DownTeamisDown21200 22/10/06 21200 0
96798 [일반] 김정기 화백을 안지 오래되지 않았지만 이 분은 우리나라의 국보였다고 생각합니다. [29] 홍철18920 22/10/05 18920 6
96796 [일반] 김정기 작가 별세. [71] 앓아누워17957 22/10/05 17957 7
96795 [일반] <블레이드 러너> 후기 [45] aDayInTheLife12996 22/10/05 12996 6
96794 [정치] "尹몰랐던 '아나바다 뜻', 준비 자료에 있었다" [86] 베라히21779 22/10/05 21779 0
96793 [정치] 감사원 사무총장이 대통령실 수석이랑 문자를 하다 걸렸습니다. [84] 마빠이25432 22/10/05 25432 0
96792 [일반] 드디어 국내 통신망 문제에 대해 이슈화가 가속화되네요 [36] 가마성15259 22/10/05 15259 0
96791 [정치] 여가부 폐지 →복지부 산하 본부로…정부조직개편안 野에 보고 [81] 바둑아위험해16470 22/10/05 16470 0
96790 [정치] 김동길 명예교수 별세 [42] 츠라빈스카야15440 22/10/05 15440 0
96789 [정치] 윤대통령 전대변인 SNS "가르치려 드느냐’ 화내고 1시간 중 혼자 59분 얘기" [106] 빼사스24825 22/10/05 24825 0
96788 [정치] 여왕조문을 가지못한 이유.. [184] Darkmental26807 22/10/05 26807 0
96786 [일반] 강릉에서 미사일 오발 사고가 난 모양입니다. [46] 19529 22/10/05 19529 0
96785 [일반] [테크히스토리] 너의 마음을 Unlock / 자물쇠의 역사 [10] Fig.152157 22/10/05 52157 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