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9/06 22:33:02
Name kien.
Subject [일반] [재테크] 영국의 파운드와 인도 주식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31922
파운드-달러, 1.147달러로 하락…"패리티 붕괴도 가능"(상보)

다우딩 CIO는 "영국이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받아야 하는 정말 암울한 일이 발생할 수도 있다"며 "지난 1976년 영국은 파운드화 위기로 IMF로부터 39억 달러의 차관을 받아야 했는데, 그것은 최악의 시나리오"라고 진단했다

설마 영국까지 IMF에 차관을 빌려야 할 정도의 사태가 터질까 하긴 하지만, 유로화/파운드 모두 곤두박질치듯이 떨어지고 있는 것은 유럽/영국 모두 앞으로의 경제 성장률 전망도 좋지 못하고, 그렇다고 현재 안정적인가 라고 한다면 그것 또한 아니죠.

유럽이 망할 거라고 하기에는 전통적인 사업들이 워낙 많아서 지금이 주식 등 매수 적기일 수도 있습니다. 기술 쪽으로 가면 빅테크 기업들은 없더라도 ASML 같은 반도체 설비 업체, 자동차, 패션, 광산 등등해서 꽤 많은 전통의 강호 기업들이 유럽/영국에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보면 유럽/영국 경제는 안정을 찾을 거라고 보긴 합니다. (다만 그 장기적이라는 게 우리 인생에서 몹시 고통스러운 1,2~5,10년이 될 수 있다는 게 문제죠....)

하지만 동력 자체가 떨어지고 영국은 과거 식민지였던 인도에게 경제규모를 추월당했고, 인도는 꽤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입니다. 인도 경제는 마치 2008 글로벌 경제위기의 중국처럼 엄청 잘나가고 있고, 물가도 안정적이고 주가지수도 상승하고 있고요. 중국의 생산기지 역할도 대체할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꽤 많은 사람들이 이미 주목하고 있는 게 인도 경제/주식입니다.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22/09/783088/

지금이 매수 적기는 절대 아니지만, 낙폭이 과다한 종목을 적절히 잡을 수 있는 실력이 있는 사람에게는 참 좋은 장이기는 한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소독용 에탄올
22/09/06 22:38
수정 아이콘
장기면 20~30년 혹은 그 이상 일수도 있고 안정이 구매 가보다 낮을수 있다는 공포를 넘어야..,..
니시무라 호노카
22/09/06 23:18
수정 아이콘
전재산 미국에 넣어야되나요
달러,주식,부동산 등등
AaronJudge99
22/09/07 01:01
수정 아이콘
저는 일단 앞에 2개는 넣었습니다 흐흐
메타몽
22/09/06 23:28
수정 아이콘
진짜 무서운건 아직 제대로 곡 소리가 안들린다는 점이죠

저 포함 엄살 피우는 사람은 많지만 곡 소리 내는 사람은 현재 몇 없고

지금 전세계 분위기를 보면 언제 곡 소리가 들릴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그땐 주식 말고 여러곳에서 곡 소리라 날꺼라서 그런 상황이 제발 오질 않길 바랍니다
AaronJudge99
22/09/07 01:02
수정 아이콘
올 겨울과 내년 초가 두렵습니다
antidote
22/09/06 23:36
수정 아이콘
외국 주식은 너무 정보가 없어서 ETF말고 딱히 답이 있나 싶습니다.
현지 대사관이나 기업 주재원에 직접 근무를 하고 있거나 현지인이나 현지 현직자로부터 현지 정보를 수집할 수단이 없다면 이머징 마켓에서 etf가 아닌 종목을 들어가는 것은 리스크가 너무 큰 것 같습니다. 시기상으로도 현재가 썩 적기인지 모르겠고요.
스노우
22/09/07 00:29
수정 아이콘
그렇죠. 비슷한 예로 여기 게시판에도 미국 주식 사라고 떠드는 분들 많습니다만, 정작 영어 한 문장 제대로 읽지 못하면서 모든 기업 정보와 뉴스가 영어로 나오는 회사의 주식을 산다는 건 투자가 아니라 그냥 도박을 하는 거죠.
AaronJudge99
22/09/07 01:02
수정 아이콘
어우 그건 진짜 아니죠.......
주식을 산다는 건 그 기업에 투자를 한다는 건데, 최소한 그 기업이 뭘 하는지는 알아야....
22/09/07 01:11
수정 아이콘
회산데 뭐라도 하겠..
뒹굴뒹굴
22/09/07 15:35
수정 아이콘
아 이거 어디서 봤는데요 크크크
샤한샤
22/09/07 08:38
수정 아이콘
어설프게 뭐 읽는거보다 그냥 적당히 마트에서 제일 잘나가는 물건 만드는 회사 주식 만들어서 장기보유 하는게 훨씬 수익률 높을껄요?
대부분의 펀드매니저가 시장추종 ETF를 못이기는데요
스노우
22/09/08 05:59
수정 아이콘
무슨 말인지 잘 이해는 안되지만, 뭐가뭔지 모르는 어설픈 투자를 할바엔 그냥 안전한 다른 투자를 하는 게 낫지 않나 생각합니다. 그냥 시장 추종 ETF를 하던가 아니면 다양한 종목에 분산투자를 하던지요.
메타몽
22/09/07 11: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무슨 말씀 허시는지는 충분히 이해하는데

이런 논리로 접근하면 주식을 상속의 수단으로 사용하고 내부자 정보로 관계자들이 차익을 얻는 한국 주식도 투자 안하는게 맞죠 @_@

정보 얻기 수월해 보이지만 왜곡된 정보도 많우니까요

미국 주식 중 애플 같이 매일 뉴스에 뜨는 종목은 어지간한 한국 주식보다 정보가 더 풍부하고,

니콜라, 라비란, 게임스탑, 그 외 이름만 들어본 회사는 투자를 신중하게 해야죠

한가지 확실한건 10년 단위로 보면 무지성 슨피500 적립식 투자자를 이길수 있는 개미는 정말정말 드뭅니다

3년 이내에 운좋게 큰돈 번 사람은 많지만 10년 단위 이상으로 가면 슨피500이 얼마나 대단한지 체감할 수 있죠

하지만 댜부분의 투자자들은 그 시간을 못버티고요
antidote
22/09/07 11:18
수정 아이콘
이머징 마켓을 말한거지 미국주식 얘기가 아닙니다.
미국주식은 자료도 영어로 되어있고 공개된 자료도 많지만 인도나 베트남같은 이머징마켓은 그런거 없죠
메타몽
22/09/07 11:45
수정 아이콘
그쪽이라면 100% 공감합니다

대체 뭘 믿고 투자하는지 정말 궁금합니다
Jean Coq de Raltigue
22/09/07 00:04
수정 아이콘
인도 etf 사면 되려나요. 어떤 걸 사야할지 감이 안오더라고요.
기다리다
22/09/07 00:21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인도는 은행 쪽 부실 한번 크게 털고가야한다고 봐서, 지금 타이밍은 좀 애매하지 않을까 합니다..니프티50을 예를든다면
아무래도 은행주 비중이 제일 높기도 하니까요...뭐 그건 차치하고 트레이딩 하기 좋아하시는 분은 니프티50이 꽤 잘 맞을 겁니다..
미친 변동성을 자랑하기에..
AaronJudge99
22/09/07 01: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영국이 진짜 불안하다더라구요...에너지 위기가....

현금 있고 과매도된 주식들 적절히 잡을 수 있는 사람에게는 이러한 위기가 또한 기회가 될 수 있다 싶기도 해요
신천지는누구꺼
22/09/07 01:18
수정 아이콘
과연 싼노동력만으로 생산기지를 대체할수있는지
꿈트리
22/09/07 09:09
수정 아이콘
강성용 교수가 인도에 대해 설명한 내용을 보면 인도주식에는 선뜻 손이 안갑니다.
메타몽
22/09/07 11:06
수정 아이콘
나라 자체가 신뢰가 없죠

중국이 개도국 때 신뢰 무시하고 저작권 무시하며 인구수와 잠재적 시장으로 밀여붙이면서 성장한 후 깡패짓 하는 안좋은 선례를 보여주다보니

이후 인도, 인도네시아 등등 다른 개도국들이 신뢰는 버리고 중국을 따라하려고 하고 있죠

그 외에도 개도국들은 지금 타이밍에 투자 잘못했다간 원금까지 벅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경기가 안좋을 땐 뿌리가 얕은 나무부터 무너지니까요
DownTeamisDown
22/09/07 09:21
수정 아이콘
인도는 아직 제도손볼게 너무 많아보이더라고요.
지나치게 많은 절차 그리고 그게 주마다 다른 그런문제를 해결 못하면 인도투자는 족쇠차고 하는것 같습니다.
인건비가 싸도 다른데에서 줄줄 새는돈이 많아서요.
다만 시장도 크고 개선될 기미도 있어보이니 잘알면 투자할 가치는 있긴합니다만요.
썬업주세요
22/09/07 09:37
수정 아이콘
PIGS는 안전한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1721 [일반] TSMC 3nm 스냅드래곤 8 4세대 25%~30% 인상 전망, 갤럭시 S25 울트라 가격 상승 가능 [29] SAS Tony Parker 6017 24/06/18 6017 2
100831 [일반] [번역] 중국이 향후 10년간 4, 5%씩 성장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가? [35] 사람되고싶다9033 24/02/02 9033 11
100770 [일반] 5분기만에 SK하이닉스가 흑자 전환했습니다. [13] DMGRQ7763 24/01/25 7763 2
100748 [일반] 구조적 저성장에 빠진 세계, AI는 이 한계를 뚫을 수 있을까 [34] 사람되고싶다10524 24/01/21 10524 30
99449 [정치] 예산펑크로 올해 상반기에만 113조원 급전 당겨쓰는 정부 [50] 사브리자나9286 23/08/09 9286 0
98887 [일반] 걱정되는 가계부채 문제와 한국 경제의 앞날 [46] 홈런볼9968 23/05/30 9968 6
98471 [정치] IMF,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 4연속 하향' G20서 유일 [51] 톤업선크림13238 23/04/14 13238 0
98207 [일반] 뉴욕타임스 3.17.일자 기사 번역(실리콘밸리 은행과 스타트업의 관계) [4] 오후2시10597 23/03/19 10597 2
98187 [일반] 뉴욕타임스 3.10. 일자 기사 번역(실리콘밸리 은행 파산) [9] 오후2시9977 23/03/16 9977 5
97812 [일반] IMF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 [46] 크레토스15718 23/01/31 15718 4
97633 [일반] 투자를 과학적 방법으로 하도록 인도하는 책. 그렇지만 쉽지 않은 책. 증권 분석 [16] Neo10127 23/01/05 10127 41
97342 [정치] 유승민 경멸하지만 대선 최종경선 때 유승민 찍은 이유 [100] darkhero19448 22/12/07 19448 0
97028 [일반] 나홀로 역행하는 애플의 3분기 실적 [25] Leeka10964 22/10/31 10964 1
96935 [일반] 여하튼 내년에 집값은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 다행입니다. [190] kien.24861 22/10/22 24861 8
96696 [일반] 다시 복귀할 가능성이 큰 브라질 룰라 [32] kien.14784 22/09/27 14784 0
96633 [일반] 9월 FOMC 요약: 희망이 보이나, 방심하지 않겠다 [41] 김유라20095 22/09/22 20095 16
96526 [일반] [재테크] 영국의 파운드와 인도 주식 [23] kien.13368 22/09/06 13368 2
96449 [일반] 잭슨홀 미팅 요약: 오냐오냐하면 버릇나빠진다 [50] 김유라13266 22/08/27 13266 11
96192 [정치] 국가적인 문제점과 정책들이 뭐가 있을까요? [26] 코지코지8777 22/08/02 8777 0
96133 [일반] 7월 FOMC 요약: 침체냐 둔화냐를 고민해야될 시기 [27] 김유라9377 22/07/28 9377 11
95814 [일반] 6월 FOMC 요약: 몽둥이를 들고 당근을 주는 척하는 연준 [68] 김유라13559 22/06/16 13559 45
94733 [일반] 2021년 5대백화점 매출순위가 공개되었습니다. [46] Leeka12505 22/01/05 12505 1
94481 [일반] 경제복잡도지수, 그리고 국가경쟁력 [27] cheme14899 21/12/21 14899 6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