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2/17 16:56:12
Name become
Subject [일반] 사운드바에 대해서
제가  최근에 입문형 사운드바를 구입하고 느낀바를 그냥 써내려가는 글입니다.  

사운드바하면 관심이 없는 분들이 대부분이실거고, 아시는 분들도 좋은 기억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거의 없을 듯합니다.
컴퓨터와 연결해서 쓰면, 피씨용 스피커보다 나쁜 소리품질로 만족도를 느끼기 어려우셨을테고, TV와 연결해서 쓰실때는 TV스피커와 차이점을 느끼기 어려웠다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그런데 최근의 사운드바는 품질이 좋아지고, 활용도가 상당히 올라갔기에 생각보다 괜찮은 물건이 되었습니다.

첫째로는 좋아진 가성비입니다. 사운드품질 향상도 있지만, 각종 기술적인 스펙이 갖춰진 제품들이 저렴한 가격에도 구입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Dolby Atmos와 DTS:X 등 입체음향 기술, 비디오 Pass Through 방식, 애플에어플레이2, 저손실 블루투스코덱 지원 등 쓸만한 기능들이 탑재된 제품들이 많습니다.

그렇다면 이 기능들이 정말 쓸데가 있는가 하실텐데, 쓸데가 생겼습니다.

사운드바가 의미가 있어진 두 번째 이유인 스마트TV와 OTT의 활용입니다. 예전에는 티비에서 영화나 드라마를 볼 때 서라운드소스를 거의 이용하지 못했습니다. DVD보는 분들은 극소수니까요. 그러나 요즘은 TV켜서 넷플릭스와 디즈니플러스 등의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5.1채널은 물론 돌비아트모스가 지원되는 작품들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PS5나 Xbox연결시에도 서라운드지원을 하는 게임이 늘어났기에 게임용으로도 활용도가 괜찮아졌습니다.

비디오 Pass Through나 hdmi earc 기능을 이용하면 게임기나 티비 등 여러개 소스를 연결하는 것도 편해지고, 리모컨도 티비와 통합해서 하나로 볼륨조절되는 것도 장점이죠. 에어플레이2는 여러모로 활용도가 많고요.


참고로 <돌비 아트모스>는 “서라운드 사운드 이후 시네마 오디오에서 가장 중요한 발전”이라고 돌비에서 말했다고 하는데, 쉽게 얘기하면 천장에서도 소리가 들려오는 거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예전에는 천정에 스피커를 부착해야 했기 때문에 공사가 커지기에 가정에서는 수백만원 들여도 구성하기가 힘든 친구였지만, 사운드바에서는 업스파이어링방식이라는걸로 작대기같은 사운드바 위쪽으로 소리를 내보내서 반사음향으로 구현해냅니다. 업스파이어링은 돌비에서도 인정하는 방식이고, 사운드바의 품질이나 집의 구조 등으로 완벽한 돌비아트모스를 느낄 순 없어도, 어느정도는 괜찮은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세 번째로 좋아진건 리어스피커 연결이 쉬워졌다는 건데요. 아시다시피 리어스피커는 5.1채널에서 제일 체감이 큰 부분입니다. 센터와 사이드채널의 분리만으로도 생각보다 의미가 있지만, 역시 리어가 있어야 진정한 서라운드의 느낌이 나지요.
예전에야 리어스피커에 전원과 라인등을 연결해야 했기에, 설치가 까다로웠지만 요즘 나오는 제품들은 무선연결이 가능하므로 설치가 상당히 쉬워졌습니다.

요즘 나오는 제품들의 이런저런 장점들을 살펴봤는데요. 제품 추천에선 의외로 삼성제품이 평이 좋습니다. 최고급부분에서도 좋은 평이고,
입문기쪽에서도 괜찮습니다. q600a같은 제품은 30만원대의 가격에도 쓸만한 기능들은 거의다  포함하고 있습니다.

https://www.rtings.com/soundbar/reviews/best/soundbar
외국 리뷰사이트에서도 삼성제품의 평이 좋더라고요.


결론을 얘기하자면 생각보다는 괜찮다입니다. 예전처럼 의미 없는 제품은 아닙니다.
물론 음악감상용으로는 메리트가 없다는 건 예전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저는 프로젝터에 연결해서 보는데, 2채널 스피커를 이용할때 대사가 잘 안들리는 것 때문에 사운드바를 구입하였습니다. 총소리나 음악소리에 묻혀서 대사가 잘 들리지가 않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물론 볼륨을 키우면 해결되는 문제이지만, 아파트 환경에서 최소한의 볼륨으로 영화를 보다보니까
답답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사운드바가 그 문제를 해결해준 부분이라, 일반 티비를 이용하시는 분들은 저와는 이용목적이 다르겠지요.

사운드바는 서라운드사운드를 느껴보는게 주 목적이 되어야 구입할만한 기기라고 생각합니다.
최신 스마트티비가 없으시거나, OTT감상을 자주 안하신다면 활용도가 없을 가능성도 높고요.
그리고 설치는 쉽지만 세팅은 생각만큼 간단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예전처럼 의미없는 기기는 아닙니다. 가격대가 상당히 내려갔고, 완성도있는 제품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관심있으시면 고려해볼만한 기기라고 생각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2/17 17:02
수정 아이콘
본문에 적어 주신 대로 각종 ott와 궁합이 괜찮고 무선 리어 스피커 편리하고 무엇보다 이제는 사운드바가 블루투스 스피커 역할까지 하더군요.
jjohny=쿠마
22/02/17 17:0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는 유플러스 TV에서 셋톱박스와 사운드바가 일체형으로 나온 제품을 사용중입니다.
https://www.uplus.co.kr/css/tvin/tvpd/RetrievePsTvMsvcDtl.hpi?catgDvCd=05&prodCdKey=000PPT0037
https://www.epn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673

월 6600원인데, 기존에 유플러스 TV 사용중이었던 고객은 기존 셋톱박스 비용 4400원에 2200원 더해서 사용하는 거니까
실질적으로 월 2200원을 더 내고 사운드바를 사용하는 거죠. (3년 약정)

돌비 비전 + 돌비 애트모스 지원한다고 써있는데 사실 저는 거기까지는 별로 관심이 없고...
블투나 HDMI 등 외부 입력도 연결할 수 있고요.

만족하면서 쓰고 있습니다.
트루할러데이
22/02/18 09:59
수정 아이콘
저도 이번에 이타입으로바꿨는데 싱어게인2 보면서 만족하고 있습니다 크크.
설탕가루인형형
22/02/17 17:39
수정 아이콘
저도 저렴이 사운드바 사용중인데요. (LG SJ2)
아무래도 우퍼가 따로 있는 제품이다보니 저음에서 TV에 비해 차원이 다르게 좋습니다.
어쩌다보니 2년전 와이프 생일때 사주게 되어 이상한 선물처럼 되었는데 와이프가 정말 잘 써요.
첫째 피아노 연주곡 원곡 들려주려고 아침마다 틀어주고 있고, 영화 감상시나 집에서 블루투스로 음악 감상하기도 좋습니다.

좀더 비싼건 얼마나 좋을지 궁금하더라구요.
군림천하
22/02/17 17:40
수정 아이콘
형님 제가 당근에서 사운드바 사서 hdmi케이블로 연결했는데 사운드바 자체는 볼륨 조절 기능이 없나요?삼성 N300 입니다.
jjohny=쿠마
22/02/17 17:47
수정 아이콘
https://downloadcenter.samsung.com/content/UM/201808/20180831104747933/HW-N300_KR_FullManual_00_KOR_180627.pdf

HW-N300 모델이 맞다면, 상기 링크가 해당 제품 매뉴얼입니다.
리모컨과 우측면에 볼륨조절 버튼 있다고 나오네요.

p.s 사운드바 제품을 많이 본 건 아닌데, '자체 볼륨 조절 기능이 없는 사운드바'라는 건 상상이 잘 안되네요. 저가형 모델이라면 몰라도, 웬만큼 급이 되는 모델은 무조건 자체 볼륨 조절 기능이 있을 것 같습니다.
군림천하
22/02/17 17:57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산밑의왕
22/02/17 17:46
수정 아이콘
DVD시대에 유선 5.1 채널이 유행하다가 시들하고 사운드바의 편리함이 유행하다가 다시 5.1채널(무선이긴 하지만...)이 유행하는거 보면 신기하긴 합니다.. 삼성TV는 DTS 지원 안해서 오래된 야마하 사운드바에 소스기기 물려서 패스쓰루 해볼라다가 실패했는데 이 기회에 그냥 삼성꺼 하나 살까 고민되네요...
바보원두
22/02/17 17:47
수정 아이콘
티비 사면서 받은 삼성 HW-Q800A 쓰고있는데 만족합니다. 우퍼가 너무 울려대서 조금 줄여서 쓰긴하는데, 연동되는 후방스피커까지 사고싶어지네요
단비아빠
22/02/17 18:13
수정 아이콘
5.1채널을 뒤늦게 한번 해보고 싶은데 리어 스피커가 분리되어 있는 무선 5.1채널 스피커들은 너무 비싸더군요...
돌비 애트모스가 리어 스피커가 분리된 것만큼의 효과가 나주나요?
30만원 정도면 질러볼만한 범위인 것 같긴 한데 그래도 확신이 안서네요...
그냥 소리가 좋다 정도가 아니라 뒤에서 위에서 소리가 나는걸 느껴보고 싶습니다...
22/02/17 18: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돌비애트모스만으로는 조금 아쉬울것 같습니다. 안되는 작품이 더 많기도 하고 역시 소리가 뒤에서 오는게 좋다고들 하더라고요.
저렴하게 구성하면 삼성 q600a가 30만원정도에 전용 리어스피커 9100s가 십만원대 초반으로 해서 오십만원 미만으로 구성할 수 있긴 합니다.
단비아빠
22/02/17 21:02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검색해보니까 안나와서 당황했는데 9110이 아니라 9100s였습니다 ^^;
22/02/17 21:02
수정 아이콘
수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22/02/17 18:14
수정 아이콘
사운드바의 최대 장점은 역시 공간절약이죠. 티비 밑에 죽은 공간에 놓을수도 있고 타공도 되고 요즘은 티비위 거치대도 있고, 티비 뒤 베사홀에 연결해서 달수 있는 프레임도 있고 개인적으로 한 3개 정도 제품을 사용해 봤는데 무선우퍼가 편하긴 한데 우퍼 관련 불량을 3,4번 겪어서 그런지 어차피 사운드바 근처에 두는데 굳이 무선우퍼가 필요한가라는 생각을 이번에도 환불 진행하면서 많이 했네요.
22/02/17 18:36
수정 아이콘
저는 그럼에도 사운드바 시스템보다는 AV리시버 + 패시브 스피커(2채널일지라도) 시스템이 사운드바 시스템보다 낫다고 생각합니다. 글에 써 주신 것과 같이 사운드바를 사용하면서 얻을 수 있는 공간활용성이나 쉬운 설치 및 활용법, 말씀하신 음성 증폭 기능 등 사운드바의 활용성 자체는 부정하기 어렵고 의미도 있습니다. 하지만 스피커로서의 성능 자체로만 보면, 사운드바의 Spinorama를 제공해주는 회사가 제가 아는 한에서는 없기 때문에 사운드바의 음향적 성능은 아직까지 신뢰하기가 어렵습니다. 사실 사운드바의 물리적인 구조 자체부터 얇고 긴 형태가 대부분이라 같은 가격대의 스피커보다 소리를 잘 내기도 어렵고요. 개인적으로는 백만원대를 넘어가는 야마하나 삼성의 최고급 사운드바조차도 20~30만원대의 polk es20이나 infinity r152, 162보다 소리는 좋지 않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서브우퍼는 결국 20~30hz 대역을 제대로 재생해 주어야 하는데, 사운드바에 딸려오는 서브우퍼가 그 대역을 제대로 재생할 수 있을지도 의문입니다. 사운드바의 잡다한 기능은 AV리시버에 더 제대로, 잘 구비되어 있습니다. 멀티채널의 측면에서는 고급형 사운드바가 AV리시버보다 구성이 간편하다는 이점은 있겠습니다만, 어차피 리어 스피커를 별도로 충전하든지 따로 전원선을 연결하든지 해야 할텐데, 그러면 기존 멀티채널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게다가 최근 삼성, LG TV의 내장 스피커는 보급형 사운드바에 비해서 성능이 나쁘지도 않습니다. 결론적으로는, 내장 스피커가 좋지 않은 중소기업 TV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면 보급형 사운드바를 굳이 사용할 이유가 없고, 고급형 사운드바도 기존 홈시어터 시스템을 공간상, 미관상 등의 이유로 사용할 수 없는 예외적인 상황 이외에는 사용할 이유가 없습니다. 스피커의 성능이나 구매 비용 측면 모두에서요.
22/02/17 18:47
수정 아이콘
무엇에 중점을 주는가에 따라서 다른 거죠. 전 기존 멀티채널시스템보다 가격적이나 편의성측면에선 상당한 강점이 있다고 봅니다. 소리의 퀄리티는 떨어지지만요. 솔직히 가정에서 멀티채널 구성하는 게 보통 노력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고 봅니다.
그리고 티비내장스피커와는 생각보다 차이가 많이난다고 하더라고요. 제가 티비로는 직접 사용해보진 않았지만. 서라운드효과가 생각보다 체감이 좋기에 충분히 차이가 날거에요.
닉네임을바꾸다
22/02/17 18:55
수정 아이콘
어차피 본문에서도 그냥 쓸모가 생겼다 정도지 그 시스템들을 이겨먹는다 뭐 이런건 아니였을텐데요 크크
무테안경
22/02/17 19:58
수정 아이콘
요즘 같은 인테리어 추세에서 센터스피커 우퍼 av 리시버를 거실 티비밑에 두자는건 미관상 도저히 용납이 안됩니다
티비도 거실벽에 박고 모든걸 티비 뒤로 숨기는게 기본인 시대인걸요
22/02/17 22:43
수정 아이콘
(수정됨) > 백만원대를 넘어가는 야마하나 삼성의 최고급 사운드바조차도 20~30만원대의 polk es20이나 infinity r152, 162보다 소리는 좋지 않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 실사용자로서 동의합니다.

> 서브우퍼는 결국 20~30hz 대역을 제대로 재생해 주어야 하는데, 사운드바에 딸려오는 서브우퍼가 그 대역을 제대로 재생할 수 있을지도 의문입니다.
- 고급 라인의 우퍼들은 충분하더군요.

> 어차피 리어 스피커를 별도로 충전하든지 따로 전원선을 연결하든지 해야 할텐데, 그러면 기존 멀티채널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 전원선만 연결하는 것과 전원선 + 리시버에서 오는 선까지 연결하는 건 분명히 구분되는 편의성 차이가 있다고 느낍니다. 사실 음향만이 아니라 통신에서든 전기에서든 방을 가로지르는 선은 꽤 골치죠.

> 최근 삼성, LG TV의 내장 스피커는 보급형 사운드바에 비해서 성능이 나쁘지도 않습니다.
- 저는 오히려 별매 스피커를 같이 사도록 유도하려는 거 아닌가 싶을 정도로 내장 스피커 성능이 나빠지고 있다고 느낍니다. 보급형 사운드바에도 한참 못 미친다고 생각합니다.
ComeAgain
22/02/17 18:50
수정 아이콘
애기가 태어나 큰 소리는 꿈도 못 꾸니...
신혼 때 TV에 딸려온 사운드바를 팔려고 당근에 검색해봤는데,
다들 같은 이유로 팔고 있더군요...
jjohny=쿠마
22/02/17 18:56
수정 아이콘
엇 애기가 좀 더 크면 거기서 나오는 핑크퐁, 뽀로로 등의 노래들을 아주 좋아할 수가 있습니다...!
ComeAgain
22/02/17 19:20
수정 아이콘
이게 TV장 위에 올려놓은 형태다보니 자꾸 만지작거리고... 패대기치고...
그 몇년을 못 버텼습미다. 이제 열심히 공룡 노래 듣는데...
jjohny=쿠마
22/02/17 19:25
수정 아이콘
흑흑흑...
밀크공장
22/02/17 18:56
수정 아이콘
애플티비 + 에어팟 맥스로 만족하고 있습니다.
사운드바 아래층에 울릴까봐 전전긍긍해서...
에어팟맥스로 돌비애트모스까지 즐길수 있으니
22/02/17 19:33
수정 아이콘
플스 게임환경용으로 관심이 생겼는데 아무래도 아파트이다보니 사운드바는 좀 망설여지게 되더라구요 제가 너무 몰라서 막연히 지레 겁을 먹고 있는 건지 아파트에서 자주들 사용하시나요?
jjohny=쿠마
22/02/17 19:39
수정 아이콘
저는 위에 쓴 것처럼 사운드바와 셋톱박스가 통합된 모델을 쓰고 있는데요
TV장 위에 수납박스들을 올려놓고, 수납박스들 위에 사운드바를 놓았습니다.
수납박스들 구조 때문에, 우퍼 부분이 공중에 살짝 떠 있습니다.

설치 기사님이 '이러면 우퍼 저음이 덜 들릴텐데요...?' 라고 하셨는데
'네 그게 제가 바라는 바입니다...! 괜찮아요'라고 답변했습니다.

저음이 직접 강하게 바닥으로 전달되면 아무래도 주변집들에 영향이 있을 것 같아서 이렇게 해놓고 씁니다.
(애기들이 쉽게 만지지 못한다는 장점도 있고요)

그래도 음량을 키우면 주변집들에 영향이 있겠지만,
어차피 아파트니까 어떤 음향기기를 쓴다고 해도 음량은 일정 이상 키우면 안된다는 생각으로 쓰고 있습니다.
무테안경
22/02/17 20:00
수정 아이콘
몇년전까진 LG랑 삼성이 용호 상박의 싸움을 하는거 같았는데 LG가 한 2년 옆으로 기는 사이에 삼성이 달려나갔더라구요
이제 100만이상 돌비 애트모스 가능한 시장에서는 LG는 경쟁이 안됩니다
제랄드
22/02/17 20:02
수정 아이콘
긴 댓글을 남기고 싶은데 하필 집이고 컴 켜기 귀찮...

작년말부터 Bose 사운드바 700 과 베이스 모듈 700을 (선물 받는 바람에 강제로) 사용 중입니다. 그 전에는 같은 메이커 TV 사운드바를 사용했고요. 장단점을 간략하게 정리하자면

장점 : 소리의 무게감이 다르다. 귀 호강한다. 넷플보다보면 가끔 천장에서 소리가 난다?
단점 : TV와 호환성이 안 좋다. 그래서 자주 껐다켰다를 반복해야 정상 작동한다. 특히 중소기업 TV 주의. 리모컨 호환성도 안 좋다. 뉴스보다가 채널을 돌렸는데 (음악 깔린) 광고 나오거나 홈쇼핑 채널 나오면 소리가 확 커진다, AS 하려면 남산 가야된다(현재 2번 방문함).
22/02/17 21:09
수정 아이콘
마침 사운드바 사려고 하는데 ! 하나의 제품을 추천해주시지는 않는군요 흐흐. 저가형으로 시작해보려해서 야마하 YAS-109 로 생각하고 있는데요, 삼성 HW-Q600a 도 찾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2/02/18 10: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전문가는 아니라서 추천하기가 좀 애매하긴 한데. 제가 링크한 리뷰사이트나 국내 오디오사이트 검색한 결과 야마하제품보다는 삼성제품이 평이 더 좋습니다. 사운드바는 기존브랜드회사가 큰 우위는 없는것 같습니다. 그리고 최대한 새로 나온 제품이 나은 것 같아요.
비지오나 소노스회사 제품도 좋다고는 하는데 국내 정식발매를 아직 안한것 같습니다.
22/02/18 20:45
수정 아이콘
오 감사합니다
22/02/17 21:38
수정 아이콘
위 모든걸 만족하는 JBL 9.1 샀는데 만족하면서 잘 쓰고 있습니다. 리아스피커 분리가 너무 편해요. 하지만 각잡고 영화 볼때 아니면 항상 사운드바에 붙여놓고 쓰네요.
22/02/17 22:45
수정 아이콘
Q950T인가 R인가 쓰고 있습니다. 편의성은 매우 만족스럽지만(일단 위성스피커고 우퍼고 다 무선이라는 점, 깔끔하게 '벽걸이 TV' 아래 '벽걸이 사운드바'만 딱 달아놓을 수 있다는 점이 좋습니다) 사운드는 가격 대비 다소 아쉽다는 생각을 합니다. DTS나 ATMOS도 꽤 활용하는 편이라 '오 위에서(뒤에서) 들린다'하는 느낌 자체는 자주 받지만 영화관처럼 소리가 완전히 자연스럽게 감싸진 못하더군요. 근데 좀 더 저가의 스피커나 TV 자체 스피커로 잠깐 돌려보면 역체감이 무지 심해서 앞으로 다운그레이드는 못하겠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에일리
22/02/18 14:41
수정 아이콘
이글보고 구매하려고 하는데 하나 걸리는점이 리어 스피커 플로어 스탠드인데 9100s 스피커 플로어 스탠드 추천좀 해주실수있을까요?
StondColdSaidSo
22/02/18 15:02
수정 아이콘
9500s 호환되는 제품인데요
'sf08' 알리에서 팝니다 비슷하지 않을까 싶네요
에일리
22/02/18 15:10
수정 아이콘
9500S과는 달리 9100s의 경우 고정용 나사홀이 없어 보여서 이걸 어떻게 하나 지금 찾아보는데 골치가 아프군요.. 여튼 답변 감사합니다.
만사여의
22/02/23 10:45
수정 아이콘
(수정됨) JBL 사운드바 5.1 나 삼성 Q800A 정도면 어떨까요?
9.1은 너무 거추장스러울거 같고 그렇다고 너무 우퍼도 없으면 저음이 빠질거 같아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5143 [일반] [테크 히스토리] 전두환이 만든 K-전기밥솥?! / 전기밥솥의 역사 [42] Fig.164536 22/02/28 64536 30
95055 [일반] 사운드바에 대해서 [37] become9789 22/02/17 9789 5
94976 [일반] 배철수의 음악캠프 30주년 특별기획 - 배캠이 사랑한 음악 100(1) [18] 김치찌개7936 22/02/05 7936 20
94964 [일반] [테크 히스토리] 22kg → 1kg 다이어트 성공기 / 노트북의 역사 [22] Fig.165411 22/02/04 65411 23
94870 [일반] [역사] 옛날엔 무슨 책이 유행이었을까? / 베스트셀러의 역사 [14] Fig.111523 22/01/22 11523 14
94836 [일반] [역사] 붕어빵 꼬리에 팥이 있어야할까? / 붕어빵의 역사 [30] Fig.119129 22/01/17 19129 51
94792 [일반] 우량주식 장투가 어려운 이유 (2) - 코카콜라, 나이키, 맥도널드, LG 생활건강 [35] 사업드래군16583 22/01/11 16583 28
94770 [일반] 코로나 때문에 집에서 홈술 해먹는것도 나름 재밌네요.jpg [25]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2609 22/01/08 12609 21
94668 [일반] 결혼 10년차를 앞두고 써보는 소소한 결혼 팁들 [62] Hammuzzi15096 22/01/02 15096 85
94615 [일반] 2021년 애니메이션 개인적인 감상 [22] Aquatope8498 21/12/30 8498 0
94500 [일반] [일상] 연말의 월도가 끄적이는 일상 [7] 초코머핀6182 21/12/23 6182 13
94479 [일반] pgr 할배가 추천하는 70 ~ 80년대 일본 대중가요 [24] 라쇼15874 21/12/21 15874 7
94462 [일반] [역사] 삼성 반도체는 오락실이 있어 가능했다?! / 오락실의 역사 [13] Fig.115106 21/12/21 15106 25
94320 [일반] 산성역 포레스티아 줍줍이 14,748:1 의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24] Leeka11990 21/12/10 11990 3
94268 [일반] [역사] 북촌한옥마을은 100년도 안되었다?! / 한옥의 역사 [9] Fig.114409 21/12/06 14409 35
94192 [일반] 막걸리는 돌고 돌아 느린마을이 제일 맛있네요.JPG [23]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2749 21/11/28 12749 12
94122 [일반] [역사] 우산쓰는 사람 = 차 못사는 사람? / 우산의 역사 [25] Fig.112189 21/11/22 12189 13
93997 [일반] [역사] 양모 후드티가 후드티의 근본? / 후드티의 역사 [14] Fig.115157 21/11/08 15157 9
93996 [일반] 애플티비를 굴리면서 써보는 애플유저 기준의 후기 [64] Leeka14987 21/11/08 14987 1
93866 [일반] [역사] 이게 티셔츠의 역사야? 속옷의 역사야? / 티셔츠의 역사 [15] Fig.113498 21/10/27 13498 24
93861 [일반] 인증은 무사고 맞죠..? [28] 환경미화7865 21/10/26 7865 10
93860 [일반] 2021 ADEX 후기 겸 사진. [14] 한국화약주식회사7981 21/10/26 7981 6
93784 [일반] [도시이야기] 인천광역시 서구 [41] 라울리스타11878 21/10/19 11878 3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