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1/26 20:46:19
Name 타츠야
Link #1 https://www.theguardian.com/business/2022/jan/25/nvidia-preparing-to-abandon-40bn-arm-takeover
Subject [일반] Nvidia가 ARM 인수를 포기할 것 같네요
이번 인수에 반대 소송을 낸 미국 FTC를 필두로, 영국, EU 당국 모두 반대하고 있고 여길 넘어서도 중국이 반대할 가능성이 커서 (반 바이든) 올해 9월 13일까지로 예정된 2년 기한의 인수 완료 시점까지 마무리 될 가능성이 낮다고 합니다. (https://www.theguardian.com/business/2022/jan/25/nvidia-preparing-to-abandon-40bn-arm-takeover)

Nvidia 대변인은 인수로 인한 시너지 효과를 생각해서 노력을 계속 할거라고 하고 있고 ARM의 소유주인 Softbank 역시 딜 완료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은 하고 있습니다만, 위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현재로선 미국 FTC 소송이 그 때까지 완료될 가능성도 적고 영국, EU, 중국 등이 남아 있어서 Softbank는 차선책으로 ARM IPO도 고려하고 있다는 불룸버그 보도가 있네요.(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2-01-25/nvidia-is-said-to-quietly-prepare-to-abandon-takeover-of-arm) (그럼 실탄을 지금부터 모아두는게?)

최근에 미국의 최대 카드 업체인 비자가 핀테크 스타트업인 플레이드(Plaid)를 인수하려다가 미국 법무부의 반독점 소송에 결국 인수를 접었고 줌이 147억 달러를 들여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회사인 파이브9(Five9)을 하려던 시도도 미국 법무부 반대 및 파이브9 주주들 반대로 접었던 일이 있습니다.  

결국 딜은 끝날 때까지 끝난게 아니라는 말이 떠오르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1/26 21:02
수정 아이콘
이거야 많이들 예상하던 결말이라
타츠야
22/01/27 07:13
수정 아이콘
기사까지 떴다는 의미에서 예상이 현실로 되는 것 같습니다.
TWICE쯔위
22/01/26 21:30
수정 아이콘
전부 반대 일색이라 충분히 짐작 가능했던 결과죠 뭐
22/01/26 21:41
수정 아이콘
가장 큰 우려가 복잡한 관계로 인한 중국 반대였는데 본진에서 1순위로 막히네요. ARM 진영의 승자는 엉뚱하게도 애플 실리콘이네요.
DownTeamisDown
22/01/26 21:55
수정 아이콘
ARM 기술발전이 안되서 ARM 의존이 높았던 퀄컴 삼성이 같이 골로가는 상황이....
아케이드
22/01/26 21:56
수정 아이콘
애플 실리콘도 ARM과 협력해서 만든 ARM기반 칩입니다
DownTeamisDown
22/01/26 21:58
수정 아이콘
아... 그 협력은 맞는데... 어디까지 만드냐가 다르다고 들었어요...
애플실리콘쪽이 자체 설계비중이 더 높다보니... 아무래도 영향이 덜한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한편에서는 TSMC의 최고 수율 공정을 받아서 그렇다는 이야기도 있지만요.
타츠야
22/01/27 07:14
수정 아이콘
이 상태에서 독립을 선언한 ARM China는 어찌될지 모르겠습니다.
아케이드
22/01/26 21:42
수정 아이콘
ARM은 너무나 중요한 기업이라 많은 기업이 품고 싶어 하지만, 다른 기업이 품으면 반대할 수 밖에 없죠
결국 인수실패하고 IPO로 갈거라고 봅니다
타츠야
22/01/27 07:14
수정 아이콘
상장하면 투자 관심이 장난 아닐 것 같습니다.
DownTeamisDown
22/01/26 21: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그것보다 독점도 낮아보이는 한국조선해양(구 현대중공업 조선부분) 하고 대우조선해양의 합병도 막혔는데 말이죠.
(유럽에서 태클먹여서 사실상 무산으로 갑니다.)
이게 될것같지가 않았습니다.
타츠야
22/01/27 07:15
수정 아이콘
그건 왜 막힌 걸까요? 유럽 조선소의 경쟁력 우려?
닉네임을바꾸다
22/01/27 10:38
수정 아이콘
LPG에서는 60퍼를 먹게될거라서...선주들 선택권이니 뭐니 했을겁니다...
그러면 에너지공급에도 좋지 않을거라다는 속마음같은게 있을지는 모르겠군요...
타츠야
22/01/27 10:52
수정 아이콘
와우 두 회사의 LPG 선박 제조 점유율이 60%면 꽤 높긴 하네요. 감사합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2/01/27 11: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우리나라 3대 조선소가 91퍼를 먹었으니까요...
그리고 LPG가 아니라 LNG네요 크크
타츠야
22/01/27 18:53
수정 아이콘
어차피 저는 LPG와 LNG 차이를 잘 모릅니다 크크 (LPG라는 걸그룹은 기억이 나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2/01/27 19:14
수정 아이콘
대충 가스통이 LPG...액화석유가스고...
LNG가 도시가스...천연가스던가 그렇던가...일겁...
antidote
22/01/27 12:58
수정 아이콘
대우조선해양, 현대중공업 합치면 LNG 운반선 점유율이 60%를 넘는데 요즘 전세계적 에너지 공급난도 있고 천연가스 의존도가 앞으로 유럽지역에서 올라갈 가능성이 꽤 있어서 독점이슈로 합병승인 거부했을겁니다.
명분 자체는 있긴 한데 한국정부 입장에서는 대우조선해양 산업은행에서 관리 안되는게 동종업계에 맡겨버리고 손 털려고 한건데 문제가 생긴거죠.
타츠야
22/01/27 18:54
수정 아이콘
이번엔 거부되었지만 대우조선해양을 정부 입장에서 한국조선해양 외의 다른 한국회사에 팔 가능성도 있긴 하겠네요.
VictoryFood
22/01/26 22:40
수정 아이콘
독점이라 합병 반대할거면 대신 사주던가요.
닉네임을바꾸다
22/01/26 23:27
수정 아이콘
아마 안되면 IPO(기업공개)할거라고 위에 말하는 분 있는거보면 공개해서 주주들이 사면 되겠죠...
타츠야
22/01/27 07:15
수정 아이콘
뭐 정부 기관의 역할이 그거 아니겠습니까.
Promise.all
22/01/27 06:35
수정 아이콘
RISC-V의 약진이 10년 뒤부터 두드러질 듯 싶은데 (애플, 삼성, 구글 등 여러 대기업들이 ARM에서 아주 천천히 라이선스 비용이 없는 아키텍처로 서서히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보이더군요) ARM천하가 영구할 것 같지 않습니다. 어쩌면 호재일지도..? 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물론 머나먼 미래 이야기일 테지만요 크크
타츠야
22/01/27 07:17
수정 아이콘
RISC-V가 현재 ARM 대비 어느 수준까지 올라와 있나요? 10년이면 그리 멀지 않은 시점이라서 (코로나가 벌써 2년이라니) 궁금합니다.
Promise.all
22/01/27 07:25
수정 아이콘
아키텍처 기술 동향은 정확히는 모르나...
최근 21년 6월에 RISC-V 관련 회사 Si-Five가 인텔에 인수되었고 21년 9월에 애플이 RISC-V 개발자를 채용했던 점을 보고 개인적으로 10년쯤 지나면 ARM을 따라잡겠다 싶습니다. 효율도 ARM보다 비슷하거나 더 좋다고 듣긴 했습니다.
타츠야
22/01/27 07:28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 드립니다. 제가 VR/AR쪽에 개인적으로 관심이 있는데 RISC-V쪽도 챙겨봐야겠네요. 좋은 하루 되세요.
메가트롤
22/01/27 09:38
수정 아이콘
https://ppt21.com/recommend/3198
이 글이 생각나네요...
타츠야
22/01/27 10:51
수정 아이콘
앗 그렇네요. 훌륭한 분석글이라고 생각합니다.
MissNothing
22/01/28 06:16
수정 아이콘
블리자드도 사실 아직 심사중이죠... 저동네 독점이 요즘 더 민감해져서
합친 회사도 찢어놓을려고 안달이라 잘 될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4972 [일반] 어떻게 국내의 해양플랜트 업계는 망했는가? [30] antidote12761 22/02/04 12761 42
94971 [일반] 예배는 진보주의, 신앙은 근본주의 - 영적 매운맛 챌린지 [29] 계층방정8296 22/02/04 8296 9
94970 [일반] 일하기 싫어서 쓰는 고양이 요로 및 방광결석 후기 [33] 날아가고 싶어.9180 22/02/04 9180 10
94969 [일반] 노트북 구입자가 보통 하는 질문 [95] SAS Tony Parker 11719 22/02/04 11719 7
94968 [일반] 멀지 않은 일상회복의 길 - 앞으로 몇 개월간 어떻게 될까? [60] 여왕의심복13559 22/02/04 13559 137
94967 [일반] 7년만에 90달러를 돌파한 유가.. [42] 맥스훼인9728 22/02/04 9728 7
94966 [일반] 정말 쉬운 단어인데 단어 자체의 뜻이 바로 생각나지 않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74] jjohny=쿠마10820 22/02/04 10820 3
94965 [일반] 추기경빼고 남자는 다 성매매한다던 그 단체.Geunhwang [57] 오곡물티슈14132 22/02/04 14132 26
94964 [일반] [테크 히스토리] 22kg → 1kg 다이어트 성공기 / 노트북의 역사 [22] Fig.194195 22/02/04 94195 23
94963 [일반] 기계공학과는 어쩌다 취업이 어려워졌는가? - 14학번 기계공학도의 관점에서 [67] 새강이35748 22/02/04 35748 24
94961 [일반] (한드추천) '한 사람만' 리뷰 (스포 약간 있음) [3] 마음속의빛6383 22/02/04 6383 1
94960 [일반] 귀멸의 칼날 재밌네요(스포 X) [43] 로켓7161 22/02/04 7161 1
94959 [일반] ISIL 2대 두목, 이들리브에서 사망 [12] 후추통11228 22/02/03 11228 4
94958 [일반] 삼국(三國)을 봤습니다 - (1) [13] 라울리스타7926 22/02/03 7926 4
94957 [일반] 생에 첫 고시원 후기 겸 푸념 [69] 커티삭11391 22/02/03 11391 20
94956 [일반] 페르소나 시리즈 주제가를 부른 가수들의 노래들 [7] 라쇼11883 22/02/03 11883 2
94955 [일반] 한국 해군 해상초계기 <포세이돈> 1호기의 모습 / K9 자주포 수출관련 [38] 아롱이다롱이10979 22/02/03 10979 6
94953 [일반] 한국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의 역설 - 행복해졌는데 자살, 자해가 증가? [28] 데브레첸9971 22/02/03 9971 8
94952 [일반] 우리회사의 육아휴직이야기(수정) [180] 자바칩프라푸치노15081 22/02/03 15081 9
94951 [일반] 고독 속의 평온, 쓸쓸하면서도 홀가분해지는 감성의 노래들 [8] 라쇼11059 22/02/02 11059 7
94949 [일반] [웹소설?] 초등학생 아들이 쓰는 웹소설 [재파리아 2화] [5] 물맛이좋아요5276 22/02/02 5276 1
94948 [일반] 한강에 사는 핑크 펭귄 [9] 及時雨8896 22/02/02 8896 11
94947 [일반]  대체 왜 우회 안하고 구태여 공성전하는 건데? (feat.건들건들) [65] 아스라이13733 22/02/02 13733 1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