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1/04 22:48:30
Name 원장
Subject [일반] (스포) 늙은 노인의 모험. 업 (UP) 리뷰 (수정됨)
이 글은 영화 업(UP)의 스포일러가 담겨져 있습니다.

제가 영화광은 아니고 요새 많이 보기 시작해서 이런 말 하기 뭐하지만
가장 좋아하는 영화를 꼽으라면 전 UP를 꼽을 껍니다.
그만큼 정말 좋아하는 작품입니다.

개인적으로 이 작품은 용두사미가 아닌 신두용미로 말씀 드릴수도 있을거 같아요.



전설의 5분...
5분만에 한 부부의 신혼부터 인생의 굴곡과 마지막에 혼자 남은 남편 이걸 5분만에 꽉꽉 담아서 여유롭게 풀어낸 5분...

뭐 말이 필요할가요.
저 5분을 볼떄 저 부부의 일생에 미소가 피어나기도 하고 어떨땐 슬프기도 하는걸 보면 정말 말도 안되게 소중한 5분의 시퀸스...
저것떄문에 그 뒷부분도 굉장히 잘만들었는데 사람에 따라 뭔가 앞에 5분에 비해 어떻게 보면 밋밋하다는 생각이 들수도 있을...

영화의 줄거리는 굉장히 예측하기 쉬워요.

나이가 들어 도움받을수 없는 노인이 생애 마지막 꿈인 파라다이스 폭포에 가기위해 풍선을 집에 매고 비행해서 모험을 떠나는데
왠 꼬마가 끼어들어오고
그 과정에서 꼬마가 민폐도 끼치지만 정도 쌓이는데
예상치 못하게 숲에서 옛 우상인 모험가 찰스를 만나 대립.
그 이후 대립과정에서 자기 꿈에 지장이 생겨 다른거 제쳐두고 자기 목적인 파라다이스 폭포에 가는거에 집착하게 되고
도착이후 아내의 노트를 보는데 전에는 보지 못한 내가 하고 싶은 일들 이라 적힌 페이지에 자기와의 추억이 담긴 사진들을 붙힌걸 보게 되죠.
그 이후 '당신과의 모험 고마웠어요. 이제 새로운 모험을 찾아 떠나요!' 라는 말을 듣고 꺠달음을 얻고 미래로 나아가는 주인공 칼

하지만 이런 흔한 이야기임에도 이 영화에 몰입하게 되게 되는건
이 이야기는 지금 현재를 살아가는 아니 과거를 포함해서 인생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너무나 가까운 공감되는 이야기라 그렇겠죠.
픽사의 작품의 특징중 하나가 전 사람이 아닌 캐릭터로 사람들의 고민 그로 인한 사건들로 몰입시키는 스토리라 생각하는데
업은 애초부터 등장인물이 사람입니다.
그렇게 되니 오히려 이번엔 순수 100%로 주연에 몰입하게 되버리는 효과가 나온거 같더군요.

처음 이 영화를 봤을떄 느낀건 꼬맹이 러셀이 굉장히 민폐덩어리같이 느껴지던것.
(암덩어리라고 적었었는데 그래도 꼬맹인데 암덩어리라 하긴 좀 그렇더군요,.)
초반 5분 + 늙은 주인공 칼이 양로원까지 가게 되는 과정을 보면 이미 시청중인 전 칼에 몰입중인데
아니 좀... 가만히 좀 있으라고!!!
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근데 생각해보니까 러셀이 있어야 이 영화가 잘 살아났다고 생각하는게
러셀이 작 중에서 보여준 행동들이 전' 새로운 일에 대한 두려움'이란 생각이 들더라구요.
특히 나이를 먹어가면 갈수록 새로운 일을 시도한다는건 두려운 법이죠.
그런걸 어린 러셀에 빗대어 표현한 거 같더군요.

그래서 정말 어린 이 꼬맹이라 나름 까방권도 있고
어리기에 가지고 있는 순수함떄문에 행동도 납득이 되서
결과적으로 버릴 이유 없는 소중한 주연이란 생각.

빌런도 반전 부분에선 예상이 가능했겠지만 정말 잘 만들었습니다.
어렸을 적 동경하던 모험가인데
알고보니 살인자에 밀렵꾼...
많은 이들의 동경을 받은 탐험가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일그러진 영웅
예전 시대에 있을법한 뭔가 콜럼버스 생각나는 모험가.

그렇기에 빌런 찰스와 주인공 칼의 대립은.
물질이나 과한 명예욕을 원해 타락한 모험가 vs 자신과 사랑하는 아내의 꿈을 위해 떠난 모험가
거기에 칼은 나중에 아내의 노트를 보고 꺠달음을 얻어 집을 돌려 러셀과 함류하는걸 보면
마지막에 새로운 미래를 찾아 발돋움하는 모험가란 생각도 들기에
여러모로 의미가 깊은 구도가 아닐까 싶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영화를 좋아하는 이유는
과거에 너무 집착하지 말고 미래를 향해서 나아가라는 메세지를 담고 있기도 하지만
그 메세지를 자연스럽게 들려주면서도 과거 역시도 소중하기에 애뜻하고 아름답게 표현했다는 점 떄문입니다.

보통 저런 메세지를 담긴 내용의 영화나 소설을 보면 너무 과거가 다가올 미래에 비해 찬밥취급하는 느낌도 들었는데
업은 그 과거도 소중한 것이기에 절떄 부정적이거나 하찮게 묘사를 하지 않더라구요.
특히 마지막에 두 부부의 집이 폭포에 닿은걸 보면 정말 소중하게 묘사를 해줬다고 생각.
그렇기에 저 메세지가 더 와닿게 저에게 들렸어요.

과거 역시 소중한것
그렇지만 거기에 집착해서 미래를 경시하면 안된다는것.

한번 본 영화는 잘 안돌려보는데2
업은 디즈니 앱 나오고 여러번 돌려 봤네요.
개인적으로 진짜 명작이라 생각합니다.
안 보신분들은 꼭 꼮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DayInTheLife
22/01/04 22:56
수정 아이콘
업은 명작이죠. 당시에 극장에서 금방 내려가서 극장에서 못본게 한이 될 정도로… 명작이죠.
22/01/04 22:57
수정 아이콘
저도 극장에서 못봐서 한이... 으으..
픽사에 늦바람으로 입덕해서..
cruithne
22/01/04 23:27
수정 아이콘
재개봉 플리즈...ㅠㅠ
아우구스투스
22/01/04 22:58
수정 아이콘
감히 업 초반 5분은 어른제국의 역습의 아빠의 인생과 함께 역대 최고의 회상씬이라고 봅니다.
22/01/04 22:59
수정 아이콘
아 생각해보니까 어른제국의 역습도 짧은 시간에 꾹꾹 잘 담은 회상씬이였네요. 흐흐
아우구스투스
22/01/04 23:4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업은 부부가 어른제국의 역습은 부모가ㅠㅜ
22/01/04 22:58
수정 아이콘
그 전설의 5분에.. 극장이 눈물바다였지요. 기억나네요.
22/01/04 22:59
수정 아이콘
우와,.... 관객들 다 감동받으셨던거군요.. 그떄 보신게 부럽습니다..
문지천
22/01/04 23:15
수정 아이콘
극장에서 그 전설의 시퀀스를 직접 관람하셨다니 부럽습니다(2)
아이셔 
22/01/04 23:10
수정 아이콘
업을 영화관에서 보면서 픽사의 위엄을 느낀게
남녀노소의 눈물포인트가 다 다르더라구요
전설의 오분은 어른들
새가 납치될때 아이들.
마지막엔 여성분들이 많이 우시더라구요.
피우피우
22/01/04 23:15
수정 아이콘
업 정말 명작입니다. 보고 많이 울었어요.
미국 장편 애니메이션들 중에 보고 울었던 기억이 인사이드 아웃, 코코, 그리고 업 이렇게 셋 정도 있는데 신기하게 다 픽사 작품이네요.

업 빼고 나머지 둘은 다 영화관에서 봤는데 업은 DVD방에서 본 거라 되게 아쉬웠습니다...
그러고보니 DVD방에서 딴 짓 안하고 영화만 몰두해서 본 것도 업밖에 없는 것 같네요 크크
김연아
22/01/04 23:24
수정 아이콘
신두용미.. 정말 적절한 요약이십니다.
raindraw
22/01/04 23:32
수정 아이콘
픽사의 감성을 너무나 좋아했습니다. 그런데 디즈니로 들어가고 나서는 한동안 그 감성이 나오지 못했죠.
요즘 나오는 작품들 보면 그 감성이 돌아와서 너무 좋습니다.
업은 다시 보고픈데 생각만 해도 눈물이 나서 보기가 힘듭니다.
22/01/04 23:54
수정 아이콘
누가 그러더라고요,
당신이 가장 많이 운 영화는 모르지만 가장 빨리 운 영화는 안다. 업이다.
봉쿠라츠
22/01/05 01:11
수정 아이콘
완전 동의합니다2222
메타몽
22/01/05 10:23
수정 아이콘
정말 적절한 리뷰네요 ㅠ
Polkadot
22/01/05 07:07
수정 아이콘
업과 인사이드 아웃을 보고 픽사엔 천재 중에 천재들만 모이는구나 싶었습니다. 지브리와는 다른 느낌으로 감정을 건드린다고 할까요.. 보고나면 먹먹해집니다.
Rorschach
22/01/05 10:07
수정 아이콘
진짜 전설의 5분 크크
최고의 작품을 UP이라고 생각하진 않습니다만, 최고의 도입은 앞으로도 쭉 UP일 것 같아요.
메타몽
22/01/05 10:27
수정 아이콘
볼 때마다 저의 눈물샘을 자극하는 장면은

업의 초반 5분과 코코의 후반 5분이지요

픽사가 스토리보드에 모든 것을 건다고 하던데 그들의 작품들을 보면 그 말이 이해가 되죠

특히 월E를 보면 로봇을 통해 무성영화 시절의 감성을 느낄 수 있죠

그리고 제가 본 영화 중 영화 초반부 최악의 작품은 코코에 끼워팔기한 올라프의 모험입니다

제가 코코를 극장에서 2회 시청했는데 1회차 때는 뭣 모르고 봤지만 너무 별로였고 2회차 때는 제대로 보지도 않았죠

영화관이라 안볼수도 없고 20분 가까이 나와서 정말 짜증났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4790 [일반] 화성시에서 전투기 추락.news [81] 오곡물티슈12530 22/01/11 12530 2
94789 [일반] [부동산 팁+뻘글] 아파트 베란다 확장과 정치인의 일머리 [40] 가라한9777 22/01/11 9777 20
94788 [일반] 웹툰 추천 : 묵향 - 다크레이디 [48] 설탕가루인형형14900 22/01/11 14900 1
94787 [일반] [NBA] 클레이 탐슨의 가슴엔 '불꽃'이 있다 [18] 라울리스타9507 22/01/10 9507 31
94786 [일반] 코로나 기간 자영업의 상황은? [42] 하프-물범14398 22/01/10 14398 8
94785 [일반] 마트/백화점 방역패스..어떻게생각하세요? [221] B급채팅방16210 22/01/10 16210 10
94784 [일반] [중드 추천] 1인 2역 타임슬립물 '쌍세총비'를 추천합니다.(스포 최소화) [6] 마음속의빛6728 22/01/10 6728 2
94783 [일반] 권선구청 공무원이 흘린 피해여성 주소, 흥신소 3곳 거쳐 그놈에게 [106] Leeka18625 22/01/10 18625 29
94782 [일반] 쉽게 정량화할수 없는 것들(코로나19) [29] lightstone10516 22/01/10 10516 15
94781 [일반] (약스포) 2021년 최고의 영화들 10편 소개 [46] 카트만두에서만두13401 22/01/10 13401 10
94780 [일반] 경제는 선거에 생각보다 별로 중요하지 않다. [43] lightstone14329 22/01/10 14329 17
94779 [일반] 2022년 하위직 저경력 공무원의 월급은 얼마일까? [72] 문약16281 22/01/10 16281 13
94778 [일반] 델타 + 오미크론 잡종변이 발생 [55] 계피말고시나몬16292 22/01/09 16292 0
94777 [일반] 오미크론으로 인해서 다른 양상이 나타나고 있는 영국과 미국 비교 [85] 김은동16981 22/01/09 16981 23
94776 [일반] FED의 QT에 대해 간략히 알아봅시다(실제로는 유튜버 추천글입니다) [17] 기다리다9848 22/01/09 9848 3
94775 [일반] 모더나 CEO "가을에 4차 접종 필요할 것... 영국, 한국 등은 이미 물량을 예약했다" [156] EpicSide17714 22/01/09 17714 1
94771 [일반] [팝송] 제가 생각하는 2021 최고의 앨범 Best 15 [16] 김치찌개9593 22/01/09 9593 16
94770 [일반] 코로나 때문에 집에서 홈술 해먹는것도 나름 재밌네요.jpg [25] insane12814 22/01/08 12814 21
94769 [일반] 2021 가계금융복지조사 [37] 하프-물범11293 22/01/08 11293 19
94768 [일반] 1월 1일 이후 일본의 코로나 확진자 추이 [144] 빼사스20140 22/01/08 20140 4
94767 [일반] 피를 마시는 의식을 알아봅시다 [21] 식별10659 22/01/08 10659 11
94766 [일반] 가습기 살균제의 추억 [13] UMC10496 22/01/08 10496 15
94762 [일반] 영원한 가객 고 김광석 26주기 [20] 그럴수도있어7387 22/01/07 7387 2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