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9/06 23:25:29
Name bettersuweet
Subject [일반] 내 마지막 끼니
장례를 치르고, 일 년에 한두 번쯤 봉안당에 들르는 일은 일상이 되어버렸다. 마치 슬픔 총량 불변의 법칙이 있기라도 한 듯, 봉안당에서 슬픔을 만끽하면 만끽할수록 일상에서의 슬픔은 줄어들었고, 그렇게 자연스레 우리는 다시 예전의 평온했던 일상을 되찾았다. 시간이 흘러 이제는 더이상 눈물을 흘리지 않게 될 무렵에서야, 봉안당 곳곳마다 켜켜이 쌓인 봉안함들이 내 시야에 들어왔다. 켜켜이 쌓인 타인들의 슬픔을 보면서, 매정하게도 나는 이 슬픔이 나 하나만의 것은 아니구나 하는 이기적인 위안을 얻었다. 몇 개월에 한번씩 그곳에 들를 때마다 빈칸으로 남아있던 봉안당 칸 하나하나가 촘촘히 채워졌고, 남겨진 사람들의 편지, 사진들을 보며 생전 그들의 삶을 알 수 있었다.

모든 생명은 똑같이 소중하다지만, 모든 사람의 죽음은 각각 다른 무게를 가졌다. 20대 초반에 갑작스럽게 삶이 끝나버린 여느 청년의 마지막과 일가족이 모두 지켜보는 자리에서 천수를 누리고 떠난 어르신의 죽음이 같은 무게를 가졌다고 나는 감히 말할 수 없었다. 나와 별반 다르지 않은 생년을 가진 봉안함 하나하나의 주인들을 보며 나는 문득 궁금해진다. 그들은 그들의 마지막 하루가 마지막이 되리라는 것을 알고 있었을까. 불과 몇 달 전 내가 이 자리에 왔을 때 멀쩡히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마시고 있던 누군가는 몇 달 후 이 칸의 주인이 되었고, 나는 아직 살아있다.

화폐는 유한하기 때문에 그 가치를 가지듯, 삶 또한 그 유한함 때문에 의미를 얻는다. 다시 돌아오지 않을 이 시간을 우리 함께 흘려보내기에 함께 있음이 더 소중하고, 유재하의 1집은 유재하 2집의 부재 때문에 더 큰 울림을 준다. 하지만 애석하게도 우리는 우리 삶이 유한하다는 것만 알 뿐, 그 길이와 깊이를 알지는 못한다. 봉안함 속 편지에는 그 무지 때문에 수많은 사람들이 후회하며 뒤를 바라보며 서 있다. 이럴 줄 알았다면 더 잘할 걸 하고 아쉽게 되뇌지만, 생각해보면 너무나 어리석은 후회일 뿐이다. 우리는 망자의 삶이 유한하다는 사실도, 그 끝이 언제일지 모른다는 것도 이미 알고 있었는걸.

나도 그들을 흉볼 처지는 아니다. 임박착수형 인간 최성수는 마치 무한한 시간을 가진 듯 오늘도 하루하루를 살아가니까. 몇 년째 머릿속으로만 다짐 중인 부모님의 건강검진 계획부터, 연락해야지라고 몇 년간 되뇌다 결국은 끊어져 버린 관계, 매해 작년 목표를 복사 붙여넣기 하는 버킷리스트 작성까지 사소한 것 하나하나 미루기투성이다. 사랑하는 사람들을 대할때도 마치 영원한 삶을 살 것처럼 표현을 아끼고 아끼며 결국 그 기회를 놓치곤한다. 다 알면서도 그렇게 우물쭈물 하루하루 살다 보면 나 또한 언젠가 끝을 맞이하겠지.

회사에서 퇴근해 푸석푸석한 닭가슴살을 목구멍에 욱여넣는다. 봉안당에서의 교훈 덕분에 이 닭가슴살이 내 생애 마지막 끼니가 될 수 있음을 알지만 그렇다고 멈출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저 내일은 일어나면 아무 말 없이 어머니를 한번 꾹 안아드리리다 다짐하고 잠을 청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9/07 00:56
수정 아이콘
고 허수경 시인의 시를 읽는 느낌이고 무어라 댓글을 달아야 할지 몰라서 좋아요 누르고 그래도 부족해보여 주절주절 댓글 달아봅니다.

인생은 사랑하고 사랑받는 감정들이 얼마나 소중한지 깨달아가는 과정같습니다.
인민 프로듀서
21/09/07 18:43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3339 [일반] 남자에겐 자기만의 세계가 있다. 하드보일드 애니 주제가 모음 [42] 라쇼22785 21/09/12 22785 10
93332 [일반] 저만 어려운 걸까요...?(결혼) [69] Xavier18323 21/09/11 18323 38
93306 [정치] 文정부 5년간 20대 전세대출 5.6배 급증...30대도 2배 넘어 [113] Leeka20087 21/09/09 20087 0
93304 [정치] [리얼미터] 흔들리는 윤석열, 추세의 홍준표 [156] 카루오스17467 21/09/09 17467 0
93298 [정치] 이낙연, 국회의원직 전격 사퇴…"모든 것 던져 정권재창출 이루겠다" [217] 아기상어23595 21/09/08 23595 0
93291 [일반] 실크로드에서 불어오는 바람. 이방인 쿠보타 사키의 가요들 [16] 라쇼14679 21/09/07 14679 3
93290 [일반] 한국형 경항모 논쟁 2부와 밀리 관련 이런 저런 얘기 [59] 가라한12699 21/09/07 12699 11
93276 [일반] 내 마지막 끼니 [2] bettersuweet10063 21/09/06 10063 21
93265 [일반] 美 싱크탱크 "한국 사회 고령화가 코로나보다 경제 타격↑" [149] rclay20057 21/09/05 20057 26
93234 [일반] 성시경님의 백신에 대한 견해에 관련 업계인의 의견 [136] 여왕의심복23680 21/09/03 23680 119
93227 [일반] DP, 슬기로운 의사생활 감상기 [23] Secundo14057 21/09/02 14057 33
93215 [일반] 나와 가족을 지키긴 커녕 성추행범이 될까 손도 못쓰는 현실 [69] 나주꿀14746 21/09/02 14746 20
93205 [정치] 8월 30일 - DP 흥행 군 난감, 9월 1일 공군서 전기드릴로... [23] 키토15608 21/09/01 15608 0
93194 [일반] 넷플릭스 DP를 보고 떠오르는 과거의 기억.... [25] 뮤지컬사랑해14011 21/08/31 14011 14
93182 [일반] 오늘나온 코로나관련 소식 (12세이상 접종, 부스터 샷, 접종률) [38] 워체스트16686 21/08/30 16686 5
93141 [정치] 하태경 "병사 노마스크 실험, 문대통령지시" [299] 뜨와에므와22967 21/08/27 22967 0
93123 [일반] 정부 자문교수 " 9∼10월 이후 '부스터샷' 바로 진행될 수 있어" [36] 비온날흙비린내14907 21/08/26 14907 2
93100 [정치] 홍준표의 시간이 온다? 지지율 20%대 진입 + 20대 지지율 1위 달성 [189] 하얀마녀23018 21/08/25 23018 0
93082 [일반] 영화강력추천리뷰 '키리시마가 동아리활동 그만둔대' [9] 판을흔들어라12299 21/08/23 12299 3
93055 [정치] 지지하는 후보 있습니까, 지지하는 정책 대안 있습니까. [91] 삼삼천원15497 21/08/22 15497 0
92998 [정치] 20대~40대 백신 예약률이 진짜 부진한걸까? [136] 여기17964 21/08/18 17964 0
92965 [일반] 다른 세대는 외계인이 아닐까? [78] 깃털달린뱀20768 21/08/15 20768 50
92964 [일반] 주말에 체감한 PC방의 방역 [44] Croove20014 21/08/15 20014 1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