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4/23 18:26:59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외교] 영국하원, 신장 위구르 제노사이드 결의안 만장일치 통과
https://edition.cnn.com/2021/04/22/world/uk-china-uyghur-genocide-motion-gbr-intl/index.html

영국 하원에서 신장 위구르에서 자행되고 있는 인권탄압을 제노사이드라고 규정하고 이를 비판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습니다.
비록 구속력 있는 결의안은 아니지만, 영국 국민의 대표자들이 만장일치로 중국을 비판하고 있다는 의지를 보여줬다는 점에 의의가 있습니다.

야당인 노동당 의원은 다음과 같이 발언했습니다. 

"오늘날 투표는 전환점이 되어야 한다. 누구도 신장위구르에서 벌어지고 있는 유린을 부정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일이 계속되는 한 정부는 중국과 더 깊은 경제관계를 추진해서는 안된다/"

여당 보수당에서는 다음과 같이 발언했습니다. 

"제노사이드라는 단어를 남용해서는 안되지만, 그것이 마땅할 때 이를 사용하는 걸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
"제노사이드는 오직 합당한 법원만이 판단할 수 있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중국은 법원으로 향하는 모든 길을 막고 있다"

마지막으로 영국하원에서 이와 비슷한 결의안이 통과된 적은 2016년 IS(이슬람국가)가 시리아의 소수종파 야지디에 대하 학살을 자행했을 때였습니다. 

한편 영국 외무장관은 지난 수요일 중국에 대한 금년도 원조 (중국에 대한 원조가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네요...) 를 95% 삭감하기로 하고 남은 125만 달러는 인권 관련 프로그램에 투입한다고 밝혔습니다. 

여하튼 간에 영국 의회의 용감한 행동에 박수를 보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성아연
21/04/23 18:36
수정 아이콘
정말 동투르키스탄이랑 티베트는 독립해야죠.
21/04/23 18:39
수정 아이콘
화끈한거 보소
북극곰탱이
21/04/23 18:39
수정 아이콘
나치와 일제가 20세기의 세계급 절대악이었는데, 21세기의 세계급 절대악이 중공인건 거의 확정적으로 보입니다.

시진핑이 히틀러나 dj 히데키처럼 지하실에서 머리에 총알박거나 전범재판 거쳐서 목매달리는 꼴을 볼 수 있길 바랍니다.
21/04/23 18:55
수정 아이콘
아편전쟁 ptsd 오겠네요
위너스리그
21/04/23 19:27
수정 아이콘
여수낮바다
21/04/23 18:57
수정 아이콘
와 멋져요
나주꿀
21/04/23 19:00
수정 아이콘
-제노사이드는 오직 합당한 법원만이 판단할 수 있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중국은 법원으로 향하는 모든 길을 막고 있다-

얼마 전에 천안문에서 학살이 있었냐 없었냐로 장판파가 펼쳐졌던 글이 생각나네요.
AaronJudge99
21/04/23 19:45
수정 아이콘
헉 그걸 갖고 장판파가 펼쳐졌어요? 유대인 학살도 진위여부 따지실 분이군여;;;
척척석사
21/04/23 19:52
수정 아이콘
자기가 알기로는 200명 근처가 죽었다고 한 2000명은 돼야 학살이라더군요. 하 크크
Energy Poor
21/04/23 19:16
수정 아이콘
민주주의의 큰 형님 답네요
삭제됨
21/04/23 19:18
수정 아이콘
19세기 유럽 열강 > 20세기 나치와 일제 > 21세기 중국 공산당.
초코타르트
21/04/23 19: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중국의 티베트 점령에 영국이 할수있는건 없었지만 티베트 상대로 영국도 땅도 뜯어가고 깡패짓많이했는데...
물론 그건 과거일이고 현대 영국은 인권을 비교적 중시하는것도 맞지만 어차피 그냥 힘의 논리라고 봅니다.
인권도 하나의 외교적 수단일 뿐이라고 봐요.
그와 별개로 위구르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은 심각한거 같긴합니다
AaronJudge99
21/04/23 19:42
수정 아이콘
95퍼 삭감해서 125만 달러면...원래는 2500만달러를 원조해줬단거네요?
으잉? 대약진운동 시절도 아니고 뭔 원조를 할게 있을까...
aurelius
21/04/23 19:50
수정 아이콘
95%에 해당하는 금액이 125만 달러라는 거 같습니다 (...)
AaronJudge99
21/04/23 20:02
수정 아이콘
아 진짜요? 난독죄송...크크
21/04/23 19:51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각 나라가 강한 표현을 많이 쓰는군요...
우리나라가 저자세라고 지적받을 만 하네요
Dowhatyoucan't
21/04/23 20:10
수정 아이콘
여러분 204개정도되는 국가들중 영국의 침략을 받아보지 못한 국가는 22개 뿐입니다...
뒹굴뒹굴
21/04/23 20:20
수정 아이콘
어 생각보다 많네요?
영국의 침략을 받아보지 못한 국가가요.
임전즉퇴
21/04/23 20:26
수정 아이콘
거문도 점령이 침략 아니라면 그래도 뭔가 뿌듯하네요. 천하의 미국도 맞고 자랐는데..
antidote
21/04/23 20:27
수정 아이콘
사실 한국이 제국주의 시절 중요한 전략자원이랄 것도 날게 없는데다가 거문도 사건 정도로 상대적으로 순한맛만 겪어서 그리고 영국이 극동에서 일본을 파트너로 선택하면서 굳이 조선에서 깽판을 칠 일이 없었기 때문에 한국인들이 영국인들과 충돌을 겪을 일이 없어서 한국인들이 보기에는 그런일이 있었어? 하고 생각할 법 하죠.
21/04/23 21:42
수정 아이콘
영국은 UN안보리 상임이사국 전부와 싸워본 경험이...
카와이캡틴
21/04/23 20:41
수정 아이콘
영국이 과거에 한짓을 생각하면.. 지네들이 싼 똥이 더 클 것 같긴하지만...
부질없는닉네임
21/04/24 05:09
수정 아이콘
중국의 막나가는 외교의 원인도 아편전쟁부터 시작된 나비효과에 대한 트라우마의 비중이 적지 않겠죠
VictoryFood
21/04/23 21:30
수정 아이콘
니들이?
나쁜부동산
21/04/23 22:04
수정 아이콘
영국이?
[손담비짤]
라파엘 소렐
21/04/23 22:30
수정 아이콘
영국놈들이 더하다지면 그건 또 나중에 따질 기회가 있을 거고,

일단 지금은 속 시원하게 질러주긴 하네요.
21/04/24 00:42
수정 아이콘
미국이 거짓으로 전쟁 일으켜 중동 쑥대밭 만들고 수 십만의 사망자를 낼 때 같이 날뛰던 것들이 남의 나라 인권 타령하네요. 게다가 과거 식민지배자로 제노사이드의 원조인 주제에 그 입으로 남의 나라 비난하며 제노사이드를 들먹이고. 국제질서는 힘이 정의라고요? 그렇다면 중국도 이제 힘이 되서 개판 좀 치는데 뭐가 문제에요?
아리쑤리랑
21/04/24 04:4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간단합니다. 중국이 힘이 더 약하니까요. 산둥이나 상하이 앞바다 훑고 가줘도 중국은 런던과 뉴욕 파리에 그렇게 못하니까요. 독일이 예전에 청나라 시절 중국에게 kowtow를 요구한적 있던것처럼 그 정도로 강해지면 되는데 중국은 그 수준에 전혀 미치질 못하고요. 반대 성명이야 내긴 하겠군요.
키르히아이스
21/04/24 05:19
수정 아이콘
그게 꼬우면 중국이 G1되고 나서 깽판을 쳤어야죠
ArcanumToss
21/04/24 02:13
수정 아이콘
이런 명분이 쌓이고 쌓이면 미국의 중국 압박에 대한 정당성도 쌓여서 앞으로 중국과 더 크게 부딪힐 듯 하네요.
그래도 영국의 용기있는 행동에 박수를 보냅니다.
뭐 x 묻은 영국이 x 싸는 중국에 하는 행동이지만 잘하는 건 잘하는 거기도 하고.
어바웃타임
21/04/24 07:46
수정 아이콘
뭐 당장 중국이 꼴뵈기 싫은데
어쩔수없죠 뭐 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2691 [일반] [인물] 레몽 아롱, 불멸의 자유주의자 [11] aurelius11787 21/07/27 11787 17
92688 [일반] [외신] 최근 열흘간 있었던 주요 외국소식 [13] aurelius14269 21/07/27 14269 20
92677 [일반] [역사] 1873년 일본인이 본 인도 뭄바이 [5] aurelius12524 21/07/27 12524 7
92358 [정치] 야권 대선주자들이 배워야하는 역사속 인물 [116] aurelius22204 21/07/01 22204 0
92293 [일반] [외교] 프랑스의 인도태평양 전략 [6] aurelius10732 21/06/28 10732 8
92290 [일반] [외신] 인상깊은 중국공산당 100주년 특집기사 [26] aurelius14788 21/06/28 14788 16
92289 [정치] [외교]현직 백악관 관료가 저술한 미국의 중국견제전략 [166] aurelius17471 21/06/28 17471 0
92256 [정치] [도서] 우남 이승만의 유산은 무엇인가? [319] aurelius18341 21/06/25 18341 0
92243 [정치] [도서] 한겨레 기자가 출간한 한일신냉전 [59] aurelius16474 21/06/25 16474 0
92241 [정치] [외교] 일본의 인도태평양 전략 [115] aurelius15116 21/06/25 15116 0
92240 [일반] [외교] 프랑스 의회, “인도태평양 전략 청문회” [6] aurelius11075 21/06/25 11075 9
92239 [일반] [외교] 수준 높은 프랑스의 외교잡지 [22] aurelius16533 21/06/25 16533 23
91520 [정치] 이백순 대사, "줄타기 외교 무한정 지속할 수 없어" 外 [141] aurelius20785 21/04/25 20785 0
91512 [정치] 일본인이야기 저자, 박근혜 전승절 참가가 떠올라 外 [48] aurelius16114 21/04/24 16114 0
91505 [정치] [단독] 미국, G7 정상회의에서 위구르 문제 거론할 예정 [25] aurelius12174 21/04/24 12174 0
91494 [일반] [외교] 영국하원, 신장 위구르 제노사이드 결의안 만장일치 통과 [31] aurelius11903 21/04/23 11903 19
91490 [일반] [외교?] 세련되게 중국을 맥이는 신임 영국대사 [10] aurelius11010 21/04/23 11010 5
91489 [정치] [외교] 미일정상회담의 비하인드 스토리 [30] aurelius15024 21/04/23 15024 0
91474 [정치] [VOA] 북미간 대화보다 한미간 대화가 더욱 절실하다 [21] aurelius10898 21/04/22 10898 0
91471 [정치] 美 백신지원, 인접국 → 쿼드3국 → 동맹국 順… 韓, 후순위 밀릴듯 [63] aurelius17358 21/04/22 17358 0
91468 [일반] [잡담] 한국인이 반드시 알아야 하는 미일관계 [84] aurelius17926 21/04/22 17926 43
91457 [정치] 6.25 승전지 화천 일대에… 민주당 "중공군 위로 관광지 만들자" 궤변 [95] aurelius16701 21/04/21 16701 0
91451 [정치] 문 대통령, 북한 도쿄올림픽 참가 “물건너간 상태 아냐” [55] aurelius13201 21/04/21 1320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