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12/31 15:30:17
Name 아난
Subject [일반] 아도르노 - 운이 좋았던 이들의 의무 (수정됨)
Theodor Wiesengrund Adorno, Negative Dialektik (1966), S. 51.
테오도르 비젠그룬트 아도르노, 부정변증법 (1966), 국역본, 100-101 쪽, 번역 수정함.

논변은 민주주의적 제스쳐를 취하지만, 관리되는 세계가 그것의 강압받는 구성원들을 어떻게 만들어 놓는지 무시한다. 그것이 완전히 성형하지 않은 이들만이 그것에 정신적으로 대적할 수 있다. 특권에 대한 비판이 특권으로 된다: 이처럼 세계의 진행은 변증법적이다. 사회적 조건들 아래서, 특히 정신적 생산력을 조종하고, 반듯하게 잘라놓고, 여러모로 불구화하는 교육조건들 아래서, 또 이미지의 빈곤이 지배적인 상황 아래서, 그리고 정신분석학이 진단은 하지만 현실적으로 전혀 바꾸어놓지 못한 유아기의 병리적 과정들 아래서, 모두가 모든 것을 파악하거나 단지 알아차리기만이라도 할 수 있다고 가정하는 것은 허구일 것이다. 그것을 기대한다면, 경험들을 쌓을 가능성을 어쨌든 갖고 있더라도 항등성의 법칙에 의해 그 가능성을 빼앗기는 인간의 병리적 특징들에 따라 인식을 정돈할 것이다. 주관적 이성 개념의 궁극적 귀결인 일반의지의 유추에 따른 진리구성은 모두의 이름으로 모두로부터 그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속여 빼앗는 것이다. 정신구성상, 통용되는 규범들에 속속들이 순응하지는 않은 행운 - 주변환경과의 관계에서 대가를 종종 충분히 치러야 하는 행운 - 을 누릴 자격도 없이 누렸던 이들에게는 도덕적으로 노력하여, 자신들이 대변하는 이들 대다수가 볼 수 없거나 현실적 정의 때문에 보지 않으려는 것을, 말하자면 그들을 대리해서, 발언할 의무가 있다.

Während das Argument demokratisch sich gebärdet, ignoriert es, was die verwaltete Welt aus ihren Zwangsmitgliedern macht. Geistig können nur die dagegen an, die sie nicht ganz gemodelt hat. Kritik am Privileg wird zum Privileg: so dialektisch ist der Weltlauf. Fiktiv wäre es, zu unterstellen, unter gesellschaftlichen Bedingungen, zumal solchen der Bildung, welche die geistigen Produktivkräfte gängeln, zurechtstutzen, vielfach verkrüppeln; unter der vorwaltenden Bilderarmut und den von der Psychoanalyse diagnostizierten, keineswegs indessen real veränderten pathogenen Prozessen der frühen Kindheit könnten alle alles verstehen oder auch nur bemerken. Wurde das erwartet, so richtete man die Erkenntnis nach den pathischen Zügen einer Menschheit ein, der die Möglichkeit, Erfahrungen zu machen, durchs Gesetz der Immergleichheit ausgetrieben wird, sofern sie sie überhaupt besaß. Die Konstruktion der Wahrheit nach Analogie einer volonté de tous - äußerste Konsequenz des subjektiven Vernunftbegriffs - betröge im Namen aller diese um das, dessen sie bedürfen. An denen, die das unverdiente Glück hatten, in ihrer geistigen Zusammensetzung nicht durchaus den geltenden Normen sich anzupassen - ein Glück, das sie im Verhältnis zur Umwelt oft genug zu büßen haben -, ist es, mit moralischem Effort, stellvertretend gleichsam, auszusprechen, was die meisten, für welche sie es sagen, nicht zu sehen vermögen oder sich aus Realitätsgerechtigkeit zu sehen verbieten.

---
일베, 대깨문, 태극기 부대, 메갈은 여러분에게 어떤 존재인가요? 대화가 안 되는 이들이라고 생각하지 않나요? 자기들에게 좋은 것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지 못하는 이들 (자신들의 객관적 이해관심에 배치되는 행동을 하는 이들)이라고 생각하지 않나요? 주체적인 공부와 성찰을 통해 갖게된 것들이 아닌 믿음들에 따라 살아가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하지 않나요?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그들이 그런 사람인 것은 그들 자신의 탓보다는 그들이 더 깨어 있는 사람들이 되는데 필요한 기회와 자원을 그들에게 제공하지 않은 사회적 조건 탓이 더 크며 내가 조금이라도 그들보다 더 깨어있는 사람이 되는데 가장 크게 기여한 것은 좋은 운(행운)이다라고, '나는 특권을 누렸고 누리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나요? 그들 자신도 목표로 하는 평화롭고 정의로운 세상이 1초라도 더 빨리 만들어지려면, 그들의 믿음이 옳고 그른 것과 사회의 향방을 결정하는데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지점에서 가능한 - 물론 합법적인^^ - 모든 수단을 동원해 그들의 목소리를 막고 여러분 자신이 그들을 (그들의 객관적 이해관심을) 대리해야 한다고 믿지 않나요? 여러분과 그들 사이의 관계는 대자적 계급의식에 도달하지 못한 노동자 계급과 그 계급의식을 대변하는 레닌주의?식 전위정당 사이의 관계에 유비될 수 있는 것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나요? 그리 생각한다면 여러분은 위의 아도르노의 글을 엘리트주의적/권위주의적이라고 비난해서는 안 됩니다. 다만 아도르노와 여러분 사이에는 큰 차이가 하나 있습니다. 아도르노 눈에는 여러분 상당수도 '그들'로 보인다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12/31 15:32
수정 아이콘
주관적 이성 개념의 궁극적 귀결인 일반의지의 유추에 따른 진리구성은 모두의 이름으로 모두로부터 그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속여 빼앗는 것이다.
--

요 대목은 아래 아우렐리우스님이 쓰신 글의 논지와 일맥상통하네요.
metaljet
20/12/31 15:50
수정 아이콘
독일철학 다루는 분들 맨날 번역 문제 때문에 싸우는게 신기했는데 지금 보니 싸울만 하네요. 저게 도대체 무슨 말인지... 뭐 대충 짐작 되긴 하지만요
Respublica
20/12/31 15: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하하... 아도르노는 수능인지 모의평가인지 지문에서 봤던 것이 마지막이지만... 정말 어렵네요 크크. (어쩌다 되어버린) 아웃사이더들은 [아웃사이더만 느낄수 있는 행운-남다른(시류에 매몰되지 않은) 시각을] 전해야 한다는 이야기 인것 같긴 합니다만...
20/12/31 16:04
수정 아이콘
네, 바로 그 얘기입니다!
Respublica
20/12/31 16:13
수정 아이콘
덧붙여서 [특권에 대한 비판이 특권으로 된다]는 말은, 비판할 수 있는 생각을 갖게 된 것은 [행운]이 준 특권이라는 이야기인가 봅니다. 특이하고 재밌는 이야기입니다. 철학자의 이야기를 듣고 나면 항상 생각이 많이 되는 것 같네요. 좋은 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20/12/31 16:35
수정 아이콘
아도르노는 부유한 부친과 성악가라 할만한 자애로운 모친/이모 밑에서 물질적/예술적/정서적으로 최고의 것들을 누리며 자랐습니다. 아직 소년인 나이에 크라카우어 같은 훨씬 나이 많은 식자와 매주 둘이서만 만나 (살짝 동성애적 연애감정이 오가는 가운데)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을 같이 읽으며 토론하곤 했죠. 시대적으로도 일차대전 후 독일이 더 반동적이고 불안정한 나라가 되기 전에 태어나 유년기를 보냈습니다. 아도르노는 자신이 사회의 체계적 부정의와 억압적 성격을 통찰하고 사회에 덜 통합되려고 자기의식적으로 노력하는 지식인으로 성장한 것에는 이 행운이, 이 특권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Respublica
20/12/31 18:28
수정 아이콘
아하 그렇군요. 철학자들의 인생은 그 사상과도 상당히 연결되있는 것 같습니다. 크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1556 [일반] 강형욱 해명영상 요약 [327] 플레스트린23912 24/05/24 23912 47
100409 [일반] 허수아비 때리기, 선택적 분노 그리고 평행우주(4.추가) [252] 선인장17891 23/12/05 17891 27
100399 [일반] 그 손가락이 혐오표현이 아닌 이유 [93] 실제상황입니다13555 23/12/04 13555 13
99368 [일반] 정리해본 림버스 컴퍼니 관련 내용 [43] kien.11804 23/08/01 11804 7
99272 [일반] 우리 모두가 누군가의 진상이었다. [75] kien.11408 23/07/22 11408 8
95147 [일반] 혐오사회의 그레이트 게임 [94] meson13951 22/02/28 13951 21
94871 [일반] 페미들도 어쩔 수 없었을 것이다(feat 진격의 거인) [25] 실제상황입니다13314 22/01/22 13314 18
93886 [일반] 토론에서 정의의 중요성과 설거지 [241] 헤이즐넛커피15256 21/10/28 15256 15
92803 [일반] 남녀 갈등의 진짜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 [93] 김파이22267 21/08/04 22267 23
92218 [일반] 결국 대표가 머리를 박은 문피아 검열 논란 [71] 리얼포스19306 21/06/23 19306 32
91571 [일반] 요즘의 성별 갈등, 진짜로 '미러링의 미러링'일까? [317] 대문과드래곤23459 21/04/29 23459 201
91281 [일반] 젠더갈등에서 스윗한남, 쉰내남이라는 단어는 사용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230] 토루17123 21/04/11 17123 52
91064 [일반] 눈에는 눈, 광기, 대의를 위하여, 솔직함. [109] kien17574 21/03/24 17574 11
90694 [일반] 그래서 대한민국은 여혐민국인가 남혐민국인가 [103] 나주꿀16590 21/03/04 16590 30
89744 [일반] 아도르노 - 운이 좋았던 이들의 의무 [7] 아난6525 20/12/31 6525 4
87108 [일반] 개인의 관점에서 남녀갈등의 관한 일기 [33] 초동역학10133 20/07/07 10133 15
85877 [일반] 쉽게 젠더 글 쓰기 [194] 17444 20/04/26 17444 18
85868 [일반] 페미니스트 진영의 분열 [84] 파란마늘14143 20/04/26 14143 1
84195 [일반] '남→여' 성전환 20대, 여대생 된다. 숙명여대 합격 [133] 톰가죽침대15465 20/01/30 15465 10
83088 [일반] 모태솔로, 번탈남, 인셀 등의 단어가 욕설로 쓰이는 세상. [141] Volha24010 19/10/12 24010 38
81395 [일반] (스포) 기생충 - 무(無)계획은 악(惡)이다. [71] Colorful13063 19/06/04 13063 15
81323 [일반] “여론 돌아선 걸 이제야 알아”… '지하철 성추행 무죄' 주장한 형 사과 [226] 밥도둑18773 19/05/29 18773 24
81157 [일반] 유승현 전 김포시의회 의장이 구속되었습니다. [69] 참돔회10388 19/05/17 10388 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