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6/18 01:48:40
Name boslex
File #1 681E9AFC_BEE2_4669_8D01_C9E9A79D7842.jpeg (509.3 KB), Download : 64
File #2 CF02AEE7_A423_438F_A0A3_E9113E4BD050.jpeg (627.1 KB), Download : 11
Subject [일반] 벽걸이 에어컨을 설치했습니다




밑에 창문에어컨 가로 세로형 설치했다는 얘기들을 보고, 이젠 분리형 에어컨 설치얘기를 하려고 합니다.

제가 사는 집은 1960년대에 지어진 뉴잉글랜드에서 흔희 볼수있는 2층집입니다. 이층에는 Central AC가 설치되어 있지만, 제가 주로 일하는 일층 홈오피스에는 난방만 되고, 냉방은 안되는데...3월 중순이후 계속되는 재택근무로 홈오피스에서 지내는 시간이 길어져서 에어컨을 설치하기로 맘을 먹고 찾아보았습니다.

모델은 아마존에서 파는 미국 브랜드 MR COOL DIY 12000 BTU 115V 유닛($1400)으로 결정했고, 일단 집에 배달 시켰습니다. 설치를 시키려고 알아보니...대략 ~$1500 정도 부르고 시간도 맘대로 정할수 없기에, $1500 이면 카지노에서 ~$15000도 될수 있는 돈이라 그냥 제가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마침 친하게 지내는 막내 아들 친구 아버지가 이 동네에 집을 몇채 가지고 계신 건물주라서 이 에어컨 설치가 혹시 테넨트들이 에어컨 설치해 달라고 할때 유용한 경험이될거라 꼬셔서, 흔쾌히 함께 작업해 주셨습니다.

많은 미국집은 한국이랑 달리 내벽은 드라이월(석고보드), 외벽은 나무로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배관을 위한 구멍을 뚫기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그렇게 저 드릴에 Circular Saw를 붙여서 구멍 뚫고, 구멍 정리하고, 실내유닛 잡아줄 브라켓 붙이고 실내 유닛에 파이프를 연결하고 일단 밖으로 밀어냅니다. 이 작업때문에 두명이 설치해야 합니다. 이 모델이 좋은게, 자가설치 할수있게 파이프를 진공상태로 만들어서 쉬핑을 해준다는 것이죠. 아님, 펌프사고 밸브사고..파이프 진공만들어 쿨런트 주입해야하는 등등..귀찮습니다.

이 파이프들을 잘 래핑 테이프로 잘 싸주고 이제 밖에 있는 전기 배선을 손봐줍니다. 원래 빌딩 코드로는 이 에어컨에 전용 라인을 깔아야 하지만, 일단 제원을 보니 7A 정도라 15A 차단기에 연결되어 있는 외벽 콘센트를 전용으로 쓰기로 하고, 외벽 콘센트 분해해서 에어컨 전용 차단기를 설치하고, 테스트하고 그리고 외부 파이프들 눌러서 정리하고 설치 끝냈습니다. 대략 6시간정도 걸렸습니다. 빌딩코드 위반이지만, 뭐 팔집도 아니고 나중에 리모델링 할 계획이라, 그냥 "야매"로 진행했습니다.

에어컨을 아마존 알랙사에 연결을 해서 컨트롤 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용 앱이 있는데, 여기서 Geofencing 기능을 이용해서 나가면 꺼지고, 집 근처에 오면 설정 온도로 켜지게 설정했습니다, 2주정도 사용해보니, 실내기 소음이 거의 없고, 그리고 용량도 홈오피스 사이즈보다 살짝 커서 냉방 속도도 아주 만족합니다. 참고로 이층 Central AC 돌아가면 실외기의 소음이 상당한데, 이 모델의 실외기는 작동하는지 아닌지 모를정도로 소음이 없습니다.

요즘 집을 좀 보러다니는데, 미국도 이제 이 분리형 에어컨을 설치한 집들이 많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6/18 02:4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젠 많이 변했나보네요 미국에 분리형 에어컨이라니 +_+
그나저나 엄청 비싸네요...우리나라는 인버터 기준으로도 80만원에 설치비 10만원 내외거든요. 덜덜덜

아...geofencing기능은 뭔지 잘 모르겠습니다만....에어컨은 inverter방식과 non-inverter방식이 있는데요. inverter방식이면 껐다 켰다하면 오히려 전기를 더 먹으니 참고하셔요....아..생각해보니 미국은 전기값을 별로 고민안해도 되는나라였군요 크크크크크
츠라빈스카야
20/06/18 08:01
수정 아이콘
지오펜싱은 위치기반으로, 설정 위치 주변 일정거리 내로 들어오면 '아 이사람 집에 오는구나'하면서 에어컨을 자동으로 켜거나...뭐 그런 기능일겁니다.
20/06/18 09:11
수정 아이콘
넵 맞습니다. 저희 집 주소를 기준으로 일정거리 이내에서 들어오고 나가는 것으로 인식해서 에어컨을 끄고 켤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것은 Smart Thermostat 에도 이용되고 있어서, 겨울이나 여름에 난방 냉방을 조절할수 있죠.
츠라빈스카야
20/06/18 09:25
수정 아이콘
울집 에어콘에도 기능은 있는데...업무보는 권역중에 집근처인 곳들이 있어서 얘가 착각하고 켤까봐 쓰진 못하고 있습니다. 흐흐..
20/06/18 09:09
수정 아이콘
제가 설치한 모델은 인버터방식이 아닙니다. 설치비 10만원이면..여기 기준으로 보면 그냥 밥값 받고 일하시는 거네요. 저희집은 2010년 초반에 Solar Cell System (태양광 발전)을 설치해서 전기값 부담은 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20/06/18 09:22
수정 아이콘
아하 그렇군요. 그나저나 .솔라셀로 에어컨 전기가 커버가 가능하군요. 대단하네요.
싶어요싶어요
20/06/18 03:34
수정 아이콘
와 한국에 비하면 가격이 어마어마하네요. 한국은 싸게하면 설치비해서 50인데.

시급 250불 노동 수고하셨습니다.
20/06/18 09:14
수정 아이콘
사실 더 빨리 설치할수도 있었는데, 저나 우리 아들 친구 아빠나 이런것을 설치해본 적이 없어서 좀 헤멨었죠. 특히 동파이프들을 잘 꺽어서 구멍에 맞게 그리고 실내 유닛 뒤의 파이프 홀딩하는 부분에 맞춰야 하는게 많이 어려웠습니다.
20/06/18 08:09
수정 아이콘
1500불을 15만원으로 착각 하고 그냥 시키시지 하는 생각을 가졌다가.. 150만원이구나...
에어컨 설치하는거 배워서 미국가야 하나 싶습니다.. 6평 기본설치비까지 35만원정도 드렸던..
20/06/18 09:18
수정 아이콘
미국이 이런 기본 레이버차지가 많이 비쌉니다. 그래서 대부분 집에 이상있으면 사람 부르지않고 자가로 수리를 많이 하죠. 저거 설치비도 설치비지만 정말 짜증나는것은 제가 원하는 때에 설치가 안된다는 겁니다. 설치하는 사람들 스케줄이 맞아야 하는것이지요. 전에 저희집 봐주시던 한인 핸디맨은 전직 은행원이셨습니다. 지금은 베트남 아저씨가 일당 $350 받고 부르면 와서 일하시는데, 이 아저씨도 엄청 바쁘셔서 연락 잘 씹어요...손재주 좋으시면 미국에서 부업으로 핸디맨/자동차 수리(판금.페이트) 하시면 대박입니다..
20/06/18 12:0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렇군요 부럽습니당 ㅠㅠ
아 그리고 실외기랑 에어컨이랑 너무 가까워도 시원하지 않을 경우가 있어요.
그럴때는 살살 돌려서 일정거리를 만두시면 되세요
핸디맨 350불.. 와...
20/06/18 23:41
수정 아이콘
일당 350불 아저씨 엄청 싼겁니다. 그래서 부르기가 엄청 빡세요...인기가 많으셔서..이젠 작은 일들은 안하시려구하구요. 동네마다 다르긴한데 이 동네는 히스패닉들도 부르기 힘든 동네라..핸디맨은 대부분 백인 아저씨들입니다. 대략 일당 500-600 정도 합니다.
20/06/18 08:18
수정 아이콘
전투력 측정 스티커는 어디에?
handrake
20/06/18 09:17
수정 아이콘
그런데 설치비도 설치비인데, 벽걸이 에어컨 가격이 1400불이나 하나요? 제가 집에 설치했던기억으로는 30만원대였던걸로 기억하는데...
20/06/18 09:21
수정 아이콘
아마존에서도 싼 모델은 700불대도 있습니다. 그런데 그런 모델들은 설치할때 파이프 진공 만들어서 냉매 주입해야하는 번잡한 일을 해야해서 그냥 자가 설치용으로 나온 모델을 구입했습니다. 덤으로 에너지 효율도 많이 좋아서요. 한국이 좋은 겁니다. 기계값도 기계값이지만, 설치비..10만-15만원이면..여기 기준으로 그냥 식사값 드리고 설치 부탁하는 수준입니다.
prohibit
20/06/18 09:35
수정 아이콘
설치비가 1500불이라고 써있길래 오타인가?? 하고 다시 봤습니다 크크크 충격적으로 비싸네요
므라노
20/06/18 10:36
수정 아이콘
와 미국은 건축 규정이 빡빡해서 건물에 냉난방이 기본 탑재라 따로 다는 경우가 잘 없다고 들었는데 점점 바뀌어 가나 보네요.
벽 뚫기 쉬운건 좀 부럽습니다. 방에 해먹 설치하고 싶은데 한국은 콘크리트가 기본이라 무슨 전용 드릴에 앙카에..
20/06/18 23:39
수정 아이콘
미국신축일 경우엔 냉난방은 기본으로 하죠. 그런데 이 동넨 신축보다는 구옥이 많은 곳이라...난방은 기본이고 냉방 옵션입니다. 주마다, 타운마다 다 다름니다.

미국 건축규정(빌딩코드)이 빡센건 맞습니다. 그래서 보통 집을 팔 생각이 있으면 규정대로 하죠, 안그러면 집 팔때 바이어한테 그런걸로 트집잡혀서 집값 깍일수가 있거든요.

홈오너들이 혼자 할수있는 일들이 있고, 없는 일들이 있는데, 전기관련, 상하수도 배관관련들 입니다. 이 동네도 오래된 벽돌집들은 이런 에어컨 설치하기 빡셉니다. 당연 사람불러서 해야죠.
공대장슈카
20/06/18 10:36
수정 아이콘
와 설치비 뭐죠 덜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7430 [일반] 언니와 심하게 비교당한 동생 [13] 우주전쟁10915 20/07/29 10915 3
87416 [일반] 최신 로드바이크들의 경향성 [62] 물맛이좋아요8490 20/07/29 8490 2
87413 [일반] [우주] 2020` 7월, NASA 오늘의 사진 모음 [17] AraTa_Justice9498 20/07/29 9498 38
87363 [일반] 골전도 이어폰, 에어로펙스 AS 후기, 사용기 [47] 물맛이좋아요11284 20/07/24 11284 3
87278 [일반] 자동차 구입기 [51] 즈브11436 20/07/17 11436 4
87229 [일반] 케이스 이야기 ─ 당신의 컴퓨터는 고기압입니까? [24] 카페알파10607 20/07/13 10607 2
87126 [일반] 한국형 전투기 KFX에 관한 소개 2 [22] 가라한14796 20/07/08 14796 33
87105 [일반] 에어버스 쪼렙 시절 손을 뻗어준 귀인이 있었으니 [19] 우주전쟁10551 20/07/06 10551 25
87104 [일반] [개미사육기] 화무십일홍 (멘탈 없어요) [27] ArthurMorgan7438 20/07/06 7438 19
87091 [일반] 야 고생했고 앞으로도 잘부탁해! [72] 차기백수10981 20/07/06 10981 22
87084 [일반] [F1] F1 2020 개막전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후기 + 감상 (개꿀잼 레이스) [40] 항즐이9254 20/07/06 9254 9
87075 [일반] 무엇이 보잉 737 MAX 8을 추락시켰나? [40] 우주전쟁11666 20/07/05 11666 52
87052 [일반] 에어버스의 실패작(?) A380 [42] 우주전쟁11889 20/07/03 11889 24
86998 [일반] 소비자시민모임에서 무선이어폰 17종을 조사했습니다 [89] Leeka13295 20/06/30 13295 4
86950 [일반] 조종사를 대하는 철학의 차이 (보잉 vs 에어버스) [31] 우주전쟁11165 20/06/27 11165 27
86912 [일반] 20년 가까이 쓴 애플에 진짜 이제 진절머리 나네요(AS후기). [55] 고요12504 20/06/25 12504 27
86831 [일반] [일상글] 결혼하고 변해버린 삶 [75] Hammuzzi12482 20/06/21 12482 42
86801 [일반] 그동안 산 가전제품중 가장 뻘짓한 것들 [73] 프란넬10883 20/06/19 10883 1
86772 [일반] 벽걸이 에어컨을 설치했습니다 [19] boslex9610 20/06/18 9610 2
86750 [일반] 창문형 에어컨(세로형!!)을 샀습니다. [42] 40년모솔탈출8944 20/06/17 8944 0
86711 [일반] 창문형 에어컨 설치 후기 [22] 길갈12585 20/06/13 12585 8
86674 [일반] [자작] 뻥튀기를 만드는 마이스터를 위한 안내서 2# ~만화보다 소설에 조금 더 가까운 이야기~ [4] 태양연어5549 20/06/11 5549 1
86668 [일반] [F1] 스포츠, 경쟁, 불균형, 공정성 - F1의 문제와 시도 [40] 항즐이9021 20/06/11 9021 1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