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08/10/02 00:22:47
Name The xian
Subject [일반] [쓴소리] 이명박 정부의 모순(矛盾)
다들 아시다시피 종부세는 정부에서 말한 '원안'대로 한나라당이 수용하기로 작정한 상태입니다.
민주당이 막는다고 버텨보고 있지만, 소위 말하는 '쪽수'로 밀어붙인다면 사실 길이 없는 상태이기는 하죠.

선거로 과반수 거대여당을 만들어놨겠다. 대통령과 위정자들이 자기 멋대로 하겠다고 밝혔겠다 했으니
저는 이것이 국민이 과반수 이상 반대하고 야당이 반대한다고 해서 국민의 뜻대로 철회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자기 세금이 깎여서 혜택을 보는 고소영 강부자 위정자들이 이것을 그대로 놔둘 리도 만무하고요.

종부세가 원안대로 통과되면 당장 내년부터 종부세와 재산세의 과세표준이 공시가격에서
공정시장시장가액으로 변경되고, 이럴 경우 최소 과표를 적용해도 재산세의 과표적용률은 60%로 올라간다고 합니다.
(관련기사 : 종부세 감면의 대가는?…'재산세 인상' 불가피)

과표가 올라가게 되면, 세금을 내지 않던 직장인도 재산세를 내게 되고, 세금을 내던 직장인들의 세금은 올라갑니다.
한마디로 부자를 위한 십시일반이 되어버리는 셈이죠.


이런 뉴스가 방송 및 신문 등을 통해 보도되고 불만이 거세지자 행정안전부는 부랴부랴 언론에 종부세가 완화되더라도 서민들의 세 부담은
전혀 늘어나지 않는 쪽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들의 말에 의하면 재산세의 과표가 재산세 과세표준이 달라지면서
적용률이 올라간다고 해도, 재산세율 자체가 낮아지기 때문에 세 부담이 낮아진다는 이야기이죠.
(관련기사 : "종부세 개편하더라도 재산세 인상 없다")

그러나 부랴부랴 사태를 진화하기 위해 내놓은 이 말도 소용이 없는 상태입니다. 감세란 말은 그저 허울과 구실에 불과했다는 증거는
여기저기서 속속들이 드러나고 있으며 무엇보다 그 말을 꺼낸 행정안전부조차 종부세 개악으로 발생하는 부족한 세수를 메울 수 있는
대책조차 없이 그런 말을 한 것이라 신빙성이 없습니다. 거기에 물가는 5% 이상으로 올랐고 특히 우유값이 거의 20% 가까이 올라서
서민들의 삶은 고통받고 있는 상황에 정부가 급한 불을 끄겠다고 저런 말을 한들 서민들 귀에 들어올 리가 없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상식적으로 종부세 개악이 부자들의 세금을 깎아주는 것인데, 그만한 세금을 다른 곳에서 거둔다면 결국 서민들 외에는 없는 셈이죠.


리만(MB Lee - 강만수) 브라더스의 경제 말아먹기는 가속화되고 있고 달러를 가지고 있어야 할 마당에 달러보유고는 나날이 텅텅 빕니다.
조석래 전경련 회장 같은 사람이 경제위기가 노무현 전 대통령 탓이라는 식으로 또 설거지론을 들이밀었지만
이제 설거지론도 그 대출 이용해먹다가 약발 떨어진 사람들이나 찾는 식상한 금융상품이 된 상황인지라 그저 우스울 뿐이고요.


이렇게 어지러운 상황에서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가 한 다음의 말은 많은 것을 시사하게 만듭니다.

"우리는 부자들을 위하여, 또 경제의 활력을 회복하기 위해서 감세 정책을 쓰는 것이다."

한나라당을 툭하면 '부자당'이라고 하는데 도대체 그 이유를 모르겠다"

박희태 대표의 말 속에 답은 이미 있습니다. 부자들을 위해 감세 정책을 하니까 국민들이 한나라당을 부자당이라 하는 것입니다.
이게 대한민국 여당 대표의 소통 수준입니다. 자기가 말해놓고 그 이유를 모르겠다니 우습기 짝이 없습니다.
대통령이 국민과 소통 안 하고 밀고나가니 그 밑을 따르는 자들은 자기 자신과의 소통도 안 되는 사람인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하도 빤히 보이는 거짓말에 앞뒤가 맞지 않는 말만 하는 이유는, 그들 스스로의 행동이 앞뒤가 맞지 않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앞서 말한 종부세 개악 - 서민 세수 부담 증가와 관련된 부분의 정부 시책이 앞뒤가 맞지 않는 것처럼 말이죠.
행동이 그러니 말에서도 드러나는 법입니다. 무엇보다 한나라당과 정부 위정자들에게는 이제 그것을 숨길 만한 능력도 없고요.

의아한 것은, 최근 미국의 경제위기 사태에서 미국의 구제금융안이 하원에서 왜 부결되었으며,
미국 시민들이 구제금융안을 부자들에게 백지수표 주라는 식의 행동이라는 것으로 마땅찮게 생각하게 된 원인에 대해
대통령부터 시작해서 위정자들까지 형님 형님 하면서 떠받드는 미국의 사례는 왜 보고 배울 생각을 안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렇게 "미국을 믿어라" 하던 사람들이 말이죠. (그래서 글 제목이 모순(矛盾)인 것입니다.)


- The xian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꼬마산적
08/10/02 00:28
수정 아이콘
미국을 믿어라 도 거짓입니다
다만 그것을 믿는 사람들을 홀리는것이죠
아직도 미국하면 은인이요 말안들으면 혼난다 라고 생각하는 사람들 많거든요
자기들 이득을 지키려면 그것보다 더 좋은 거짓은 없습니다
닥터블링크
08/10/02 00:29
수정 아이콘
박희태 아저씨도 저 나이먹고 이제 소신껏 한마디 해도 괜찮을 거 같은데.
6선인가 해드시지 않으셨나요? 가물가물하네요.

이정도 했으면 이제 쓴 소리도 하고 대립각도 좀 세우면서 마이웨이 나가셔야 다음 대선 후보 레이스에서 차별화를 시도하지 않을까요.
지금은 뭐.. 홍준표 씨와 더불어 아주 얼굴마담 바지저고리 노릇하는 거 보려니 좀 민망합니다.
대통령 눈치 보느라 이건 뭐 애널x킹한다고 놀릴 수 밖에 없는 것 같아요 후우;
信主NISSI
08/10/02 00:30
수정 아이콘
이만큼 속이 환하게 보이는 사람도 없는 것 같습니다. 그저 자기 욕심만을 위해 움직이고 있죠. 국민들의 뒤통수를 치는건, 어느정도 먹고 떨어질 줄 알았는데, 죽자고 달려들어서겠죠...

잃어버린 10년동안 국민들이 '발전'이라고 생각했던 것들을 저들은 '역행'이라 생각했던 모양입니다. 그래서 부랴부랴 '발전'하려다보니, 빠른속도로 '역행'하고 있네요...

도쿄 인구가 1200만이라지만, 도쿄는 시가 아니라 '도'고... 경기도까지 감안하면 2000만이 있는 수도권... 도쿄는 그나마 1/10의 인구가 모인거라지만, 1/2가 모여있는 건...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책들 하고는...
Vacant Rain
08/10/02 01:11
수정 아이콘
소위 말하는 당의 얼굴마담들이 할말 다 했으면 재선도 힘들지 않았을까요? 요즘은 국민의 소리에 입다물고 귀 닫고있으면 오히려 표받기가 수월해보여서;; 괜히 한마디 했다가 여기 저기 구설수에 휘말리다 표 잃죠.

그냥 썩어도 권력에 애널X킹해서 살아남는자만이 그 다음대선도 노려볼수있는 어지럽고 혼탁한 세상이죠. 원참;;


대통령 꿈인 한 아이에게는 벌써부터 도둑질하는법을 배우려고하느냐는 할머니의 꾸짖음이.
국회의원을 꿈꾸는 한 학생에게는 잘 부탁한다며 비웃음 섞인 선생의 장난이.
바른정치를 꿈꾸는 한 청년에게는 빨간나라의 촛불좀비라는 더러운 정치가들의 술수가.

도대체 우리나라에서 정치란 무엇인가요?
펠릭스~
08/10/02 02:38
수정 아이콘
감세안의 근거가 되는것이 리퍼곡선일 겁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감세가 그리 경제활성화와 큰 관계가 없다는 것이죠.

세금이 주요요인이였다면 스웨덴 핀란드 노르웨이는 망했게요..
기업활동이 잘 안되느냐.. 글세요 발전하는 나라거든요..

하지만 감세로 인한 국가의 집행력이 떨어지는건 확연합니다.
재정적자는 또 빚으로 메꾸고 악순환이죠..

그렇더라도 종부세는 잘못 설계된 세금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 부가가치에 연결되는 세금이 아니거든요...
누가 세금을 내어야 하느냐에 대한 대답이 아니고 최대치를 설정해 두지 않는다면 문제가 있습니다.
그리고 공급 부족이 제도적인 이유인데 세금적인 해법으로 접근한다는게 잘못이라고 보구요.

하지만 국세인 종부세가 재산세보다는 바람직하며
한나라당에서 폐지의 근거로 내새우는 감세로 인한 활성화는
저소득 계층에서 이루어질때 의미가 있는 것이지 부유층을 대상으로 이루어질때는
의미가 없었습니다. 종부세가 일반적인 세제와 비슷하게 운영되는 것은 문제가 있고
세금이 아닌 다른 이유로 인한 공급부족이 원인인데 세금으로 접근하는 것은
미봉책일 뿐이라고 봅니다...

여기서 조금 생각해 볼 것이 있는데 정말 사치스런 거대 평수에 저택을 가진 사람과
강남에 집을 가진 사람이 평가된 가격에 따라서만 매기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보며..
좀더 개정해서라도 사치세와 비슷한 성격으로 운영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강남의 비싸주택에 사는 사람들 보다는 강북에 저택에 사는 사람들이 더 부자거든요.

실제로 강남이란 지역에 대해서는 가격지표가 공급 부족임을 인정해야 한다고 봅니다.
현재 과표방식으로는 이런 부분에 대해서 왜곡을 가져올수 있거든요..
하지만 저택이나 별장에 대해서는 사치세를 강화해야 한다고 봅니다.
이런것들이 더 문제가 되겠지요...

종부세가 문제가 되는것은 과표 기준이 가격이 주요요인이라서 문제가 아닌가 싶습니다.
주먹들어가는
08/10/02 05:01
수정 아이콘
종부세는잘못 설계된 세금이 아니고 집행시 디테일한부분을 보완할 필요가 있는 세금이 아닐까요?

최근 이준구 교수의 종부세에 대한 글을볼때 종부세의 성격은 재산과세를 통해 소득과세의 미비한점을 보완하는 세금이다... 또 우리 사회의 왜곡된 부분을 보완하는 교정과세성격이다....뭐 이런정도로 파악이 되더군요.

세금이라는 것 자체가 선악의 기준으로 매겨지는 것이 아니라 각 나라마다 처한 역사, 시대적 경제적상황, 사회적 합의 이런 것들에 의해 부과되는것이 아닐까요?

강남북을 막론하고 기준금액 이상의 종합적인 부동산에 세금이 부과되는데 굳이 강남북을 나눠서 잘못 설계되었다고 할 수 는 없을 것 같구요, 종부세라는 것을 통해 왜곡되고 비정상적인 강남 선호를 막는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해 볼만 하지 않았었나 생각합니다. 종부세가 강남에 몰리는 것으로 보이기는 합니다만 그것은 강남의 지나친 지가 상승으로 인한 것이겠죠.

아 물론 종부세의 효용이 떨어지고 사회적으로 사치세 개념을 도입할 여건이 무르익는다면 변화도 가능하겠죠.. 그렇지만 시행 1년도 안된 세금을 국민적 합의와 동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훼손하는 이 정부의 정책은 도저히 답이 안나오는 상황같습니다.
펠쨩~(염통)
08/10/02 07:12
수정 아이콘
종부세가 재산세 보다 훌륭한건 국세를 걷어서 지방세로 쓴다는 점입니다.
재산세로 종부세 효과를 보려면 세입은 전부 고가주택지역에 쓰이며 이것은 부의 악순환을 불러옵니다.
세입이 많은 강남지역은 지역복지나 환경에 더 많은 투자를 하고 이런 환경이 더 많은 부유층을 불러모으면서
타 지역이 도태되고 슬럼화 되는 걸 재산세로는 막지를 못합니다.
반면 현재의 종부세는 전부 지방 교부금으로 쓰고 있습니다. 재정 자립도가 낮은 지방재정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됩니다.

18세기 사람들은 소득에 대해 세금을 거둔다는 개념에 경악을 했었습니다.
그 시대 사람들에게 소득세란 완전히 날강도 짓이지요.
지금 대한민국에서는 자신의 소득에 대해서 심지어 30%가 넘는 세금을 내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에반해 종부세의 세율은 사실 그렇게 높은것은 아닙니다.
이준구 교수의 말대로 종부세는 참여정부가 해서 망하는 법이 아닌가 싶습니다.
토지공개념을 도입한 것은 노태우 시절이었고 국민건강보험을 만든건 전두환 시절이었고 금융실명제를 한 것은 김영삼 시절이었습니다.
요즘보다 훨씬 좌파적인 법안이라도 우파에서 만들면 반대가 없어서 잘 시행되거든요.
이라크 파병을 지난 정부에서 나름 쉽게 통과시킨 것 처럼 말이죠.
펠릭스~
08/10/02 08:39
수정 아이콘
주먹들어가는 입님//
종부세가 잘못 설게되었다는것은 조금 오버한 감이 있네요..
세금에 총 량이 조단위가 넘어가는 세수라면 문제가 있을수 있다는 의미였는데..
그래도 원칙적으로 이윤이 창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세금을 메기는 것은 잘못이고
사치세 같은 식으로 목적과세 였던가 교정과세 였던가 이것을 확실히 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이번에도 폭을 줄이면서 아예 세율 자체를 낮춰 버리는 식으로 법을 약화 시키는 것이
법률의 유 목적성을 확실히 하지 않아서 였다고 봅니다.

그리고 강남 선호 현상은 잘못이 아니라고 봅니다.
외려 가격을 신호로 받아들이고 공급을 늘리는 것이 강남에 대한 해결책이 아닐까요??
단순히 평가가격을 기준으로 세금을 메긴다면
강남의 높게 되어진 평가 가치는 그곳에 살고있던 저소득층과 중산층에게 절대적으로 불리합니다.
역설적이게도 세금의 결과는 강남은 정말 부유층들만 살 수 있는 곳으로 바뀌게 되죠.
세금이 진입장벽이 되는 셈이니까요.또한 그냥 그곳에 살고 있던 다른 계층들을
쫒아내는 철거반 역활도 하게 되는 것이구요..

단순히 가격으로만 메긴다면 강남이 아닌곳이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예상되는 현상은 계층분리의 가속화라고 보는 것이 옳습니다

계층이 분리된 상황에서 그렇다고 특정지역 발전이(강남) 다른 곳으로 돌려진다고 여기는 것이
타당할까요?? 아닙니다 오히려 부유층 유입이 늘어나고 격차는 심해집니다.

강남이 좋은 여건?? 이라는 것을 먼저 인정한다면..
그 혜택을 누리는 사람이 줄어들며 그것은 고소득층이 된다는 역설적인 현상이 생길겁니다.
그리고 지가도 무언가 애매하게 작용할꺼 같구요

좋은 환경이라면 그 혜택을 누리는 사람도 많아지게 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옳치
단순 가격기준 과세라는 접근으로는 제도적인 모순을 누적시킨다고 봅니다.
펠릭스~
08/10/02 09:15
수정 아이콘
펠쨩~(염통)님//
뭔가 오해가 있는데
정통 보수라고 취급되는 부류는 국가주의 였습니다.

국가와 사회의 역활을 강화시키는 것이 옳다고 보는 부류였습니다.
한국의 정통 보수가 그리 우파적이지 않았다는게 문제였고
출신으로 따져도 기득권층은 아니였죠...
오히려 야당이라고 하던 부류가 출신이나(지방유지) 재산으로 따지면
기득권층이라고 보는것이 옳았습니다.
고속도로로 대표되든 국가발전이라는 헤게머니 싸움을 했던것이 60~70년대 역사였죠
70년대 이후로 경제개발이 가시화되면서 명암이 엇갈렷지만.

정통 보수는 속성상 농업->산업->정보화 그리고 국가적으로는 계획적인
사회발전을 꿈꾸는 비 기득권 출신에 엘리트 집단이였죠..
권력을 유지하는 방법을 보면 더 명확해 지는데
정통성이 부족한 그들이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좀더 낳은 국가라는 것을
추구할수 밖에 없었습니다. 진보랑 매우 비슷하죠...

그러기에 개인주의와 탈 국가주의를 부르짖는 뉴라이트를 정통보수로 보는것은 잘못 입니다.
그것이 보수로 분류되는 박근혜 계파와 이명박 계파의 차이인데
정책적으로만 따지고 보면 정통보수류가 더 사회주의 적입니다.(국가주의라고 볼수도 있구요)

하지만 한국의 경우 노무현으로 대표되는 진보들이
국가주의를 틀린것으로 단정하고 탈 국가주의를 외치면서
미국식 자본주의를 해법으로 여기고
새로운 시스템(FTA같은)으로 개혁을 추구한것이 모순이라고 봅니다.

정통보수가 독일 시스템을 바람직하게 여겼던것을 잘못이라고 주장하다 보니
미국시스템이 대안이 대었는데 자기 자신들은 진보라고 착각한거죠...
글쎄 전 미국 시스템은 절대 진보가 아니라고 봅니다.

그러기에 따지고 보면 노무현으로 대표되는 정치계에 386부류들이
한국을 미국식 자본주의체제로 변혁시키고 있죠...
이명박 보다도 심한 주주자본주의를 추구했으니까요
(이명박은 주주자본주의 보다는 약한 기업주의입니다. 기업주의와 주주자본주의
약탈성을 보면 주주 자본주의가 더 강합니다.)

더 웃긴건 정책적으론 친 중국 조공..
물탄푹설
08/10/02 09:35
수정 아이콘
결국은 또 노무현 ....대단하다고 밖에는...
The xian
08/10/02 11:13
수정 아이콘
어떻게 하든 노무현이 관여하고 있다는 식으로 리플을 산으로 가버리게 만드니 글을 쓴 사람으로서 허탈함을 느낍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나 그 계열 정치인들을 진보라고 착각하고 있는 건 그들 자신이 아니라 펠릭스님 자신입니다.
더 크게는 수구언론과 한나라당이지만 그들은 님처럼 착각이 아니라 좌우 대립으로 몰고 가기 위해 이용한 것이죠.

그리고 주주자본주의의 약탈성이 기업주의보다 더하다고 말했는데, 문제는 그 성격의 약탈성에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 약탈성을 해소시킬 제동장치가 있느냐는 거죠.

의료보험 민영화 및 영리병원 논의가 있었지만 참여정부 때에는 그것을 견제할 내부비판자 및 세력이라도 있었습니다.
기업의 불법, 탈법, 편법증여가 있었지만 참여정부 때에는 그것을 처벌할 기준이라도 있었습니다. 제동장치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의 정권은 내부비판자나 세력도 없습니다. 머리부터 썩어들어가는 생선입니다.
상속세 및 법인세 완화는 물론 금산분리 철폐 및 신문방송법 개정으로 재벌의 고삐를 풀어놓고 있습니다. 제동장치가 없습니다.

상속세 및 법인세 완화를 예고하고 공기업 선진화라는 이름아래 나라살림까지 고삐를 풀어놓는 이명박 정부의 해악이 덜하다고요.
펠릭스님의 말은 묶여 있는 불독과 묶이지 않고 사람 물고다니는 도사견 중 묶여 있는 불독이 더 위험하다고 하는 격입니다.
도사견이 지금도 사람들을 물어서 병원으로 실려가게 만들고 때로는 죽이기까지 하는데도 말이죠.

누가 브레이크 고장난 람보르기니를 저에게 돈까지 싸들고 와서 갖다주며 그걸로 시속 100km까지 밟아보라고 해도,
저는 브레이크 고장난 람보르기니를 타고 싶지는 않습니다. 죽을 게 뻔하니까요.
펠릭스~
08/10/02 12:33
수정 아이콘
The xian님// 노무현은 좌파가 아니죠
적어도 그가 실행한 정책은 그렇습니다.

주주자본주의를 강화한 것을 비롯해서
많은 개혁들이 그러합니다.
사실 전 진보나 좌파라고 생각했었습니다. 그래서
노무현을 지지한적이 있었구요

그런데 아니더군요
노무현이야 말로 자기는 자신이 가진자를 위해 열씸히 일하는지도 모르면서
사회를 가진자와 강자들에 세상으로 만든 사람이죠..
그 결과가 1년 1만명 자살이였다고 봅니다.

전 세계 적인 호황기에 수출 대박난 상태였는데
그런 상황에서 그렇케 만든것이야 말로 무능의 결과였죠
결론적으로는 노무현때 생활고로 자살한 사람이
전두환 박정희가 죽인 사람에 10배 정도는 될겁니다.
다른 의미에서 살인자고 그가 준비한 FTA는 아예 핵이죠..
The xian
08/10/02 12:53
수정 아이콘
펠릭스~님//

다시 말합니다.

님은 노무현 전 대통령과 그 세력들이 자기 자신을 진보로 착각하고 있었다고 말했지만,
노무현 전 대통령이나 그 계열 정치인들을 진보라고 착각하고 있는 건 그들 자신이 아니라 펠릭스님 자신입니다.
아니, 착각이라기보단 싸우자고 편가르기하는 수구언론과 한나라당 같은 세력들처럼 분란을 만들기 위해
그들을 서술하는 데에 진보란 표현을 이용하고 있지요. 윗 리플에서는 "노무현으로 대표되는 진보들이"라고 하면서 이번에는
"사실 전 진보나 좌파라고 생각했었습니다."라니. 진심이 무엇인지 알기도 어렵고 도저히 종잡을 수가 없군요.


1년에 1만명 자살자까지 들먹이면서 어떻게든 참여정부의 무능을 이야기하려 하면서 살인자라는 극언을 사용하시는데,
정말 비열한 표현입니다. 무엇보다 사실을 허위로 적시한 행동이라는 점에서 명예훼손과 모욕죄에 해당합니다.
그 자살자들에 대해 노무현 전 대통령이 자살을 방조했다는 증거라도 있다는 이야기인가요.

과거에 비해 자살자가 적었다는 이유로 박정희, 전두환과 비교하는 서술은 논리 오류라고 말하기도 어줍잖은 소리이며
무엇보다 자살이 정치 경제와 같은 요인으로만 일어난다고 생각하는 것은 노무현 깎아내리기에 혈안이 되어 있느라
님이 자살이라는 것의 본질을 호도한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자살이라는 사안은 지극히 개인적이면서도 복합적인 요소가 작용하는
사회 문제라는 양면성과 다면성을 띠고 있으며 그렇게 비열하게 이용해도 될 만큼 가벼운 사안이나 단순한 사안이 아닙니다.
님의 어줍잖은 논리로 따지면 이명박 대통령이 안재환, 최진실 씨 자살에 책임이 있다는 망령된 소리도 성립이 됩니다.


자꾸 브레이크 있는 자동차와 브레이크 없는 자동차 중 브레이크 없는 자동차가 덜 위험하다고 하시면서
제가 브레이크 없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없음을 강조하니 님은 브레이크 있는 자동차가 사고 낸 것
(실제로 님이 주장하는 사고를 다 냈는지도 의문스럽지만)만 강조하시는데,
그렇다 해도 브레이크 없는 자동차와 위험을 비교할 바는 못 됩니다.


브레이크 없는 자동차는 님만 타시면 됩니다.
dopeLgangER
08/10/02 13:21
수정 아이콘
자살과 경제상황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나요? 물론 IMF직후같은 특이케이스는 논외로 하고요...관련 통계자료가 있다면 좀 보고싶네요.
전세계 자살률 상위권에 노르웨이 스웨덴같은 복지국가들이 껴있는건(한때 1위였지만 지금은 많이 떨어지긴 했죠...) 어떻게 설명할수 있을까요?
그리고 경제성장률같은경우 우리나라정도의 경제규모와 수준에서 4퍼센트 후반찍었으면 선방한거 아닌가요? 인도,중국같은 저개발국가의 성장률과 비교하는건 좀 무리가 있을거같네요...우리와 비슷한 경제수준의 다른국가와 비교하면 양호한 실적인거같은데요
유대현
08/10/02 13:42
수정 아이콘
종부세를 폐지 하면서 생기는 부족분을 매울 생각조차 없다는거야 뭐 이미 예상했던 일이죠. 꼴에 '서민정당'이라고 자기 최면이라도 걸려면 재산세를 올릴 수가 없겠죠. 계획상으로는 예산이 상당부분 증액될 예정이던데 그 구멍은 어디서 매우려나~

p.s 노무현 이야기는 그만 했으면 좋겠군요. 무슨 글만 있으면 모든게 노무현 탓으로 몰아가서 리플이 산으로 가는 것좀 그만 봤으면 좋겠습니다.
국토순례자
08/10/02 15:18
수정 아이콘
저분 아이디 볼때마다 진짜 노무현 대통령 불러서 한번 면담이라도 시켜주고싶네요. 능력만 된다면
주먹들어가는
08/10/02 16:53
수정 아이콘
펠릭스 님

공급을 늘리는 것이 해법이라는 것다라는 의견을 계속 개진하고 계시는데요.

부동산의 특성상 공급을 늘리기에 한계가 많죠. 강남의 기존 지가가 새롭게 분양하는 아파트를 지을 수 있느냐는 것은 차치하고라도 님의 말대로 강남의 혜택을 많은 사람들이 누리게 하기위해 서민 임대주택을 짓고자 해도 반대하고 난리 나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렇게 임대주택공급과 종부세를 통해 공급과 수요억제 두 측면에서 지역간격차해소와 왜곡된 부동산버블을잡아 보자는것이 원래의 의도였던 것으로 보이나 일부 언론의 보도가 종부세 세금으로 강남때려잡기라는 잘못된 논리를 하도 전파하니 공급측면의 정책도 있음을 간과하신게 아닌가 합니다.

세금으로 더욱 진입장벽이 높아진다는 점은 그렇게 볼 수도 있겠습니다만 강남버블이 연착륙하고 지가가 어느 정도 현실화되고 난 후에는 진입장벽이 낮아질 수도 있으리라 보기때문에 동의하기 힘듭니다.
08/10/02 17:16
수정 아이콘
전 정권이 무능했건 아니건, 그 전의 정권과 비교해서 좋건 나쁘건 하는걸 따지고 드는건 아무 의미가 없지 않습니까?
노무현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경제를 살리고, 빈부격차를 줄이고, 고성장을 이룩하겠습니다.'라고 공약했습니까?
근데, 이명박 대통령의 공약은 바로 그거였죠? '7% 성장과, 종합주가지수 3000선, 양극화 해소' 근데 못하고 있잖습니까?
오히려 성장률은 떨어지고, 경상수지는 날로 악화되고, 외환보유고는 동이 나고, 양극화는 심화되고, 주가도 떨어지고, 물가는 오릅니다.
뭐, 아직 정권이 바뀐지 1년도 안된 상황이라, 전 정권이 다 해먹은 뒤치닥거리를 하느라 그런거라고 한다면 할 수 없죠.

딱 2년 후에, 이명박 대통령이 위에서 말한 내용들을 다 이뤄놓는다면, 역사에 남을 성군이 될지도 모르죠.
만약 하나라도 제대로 이뤄놓지 못한다면, 전 국민들의 욕을 다 먹어도 할 말이 없고요.

뭐, 저는 이기적인 인간이라 이 나라의 미래 같은거엔 별로 관심이 없습니다만,
지금 정부가 하는 꼴을 보고 있으면, 저 여파가 저에게 바로 미칠 것 같아서 두려울 뿐입니다.
당장 펀드때문에 꽤나 손해를 봤고, 경기가 나빠져서 회사 실적이 안좋아지고, 물가가 올라서 살림이 힘들어지는게
몸으로 느껴지기 때문이죠. 근데, 또 세금까지 올린다잖습니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811 [일반] 이명박 검찰. [16] 애국보수6487 08/12/15 6487 2
9711 [일반] 한국경제위기에 대한 이명박 대통령의 책임(일본경제지 인용) [26] 戰國時代5275 08/12/08 5275 1
9391 [일반] 이명박, 노무현 그리고 김대중. [48] 애국보수6135 08/11/20 6135 3
9027 [일반] 이명박 대통령을 뽑은 건 옳은 선택이었습니다. [45] 어둠팬더5617 08/10/28 5617 1
9008 [일반] 참여정부의 경제정책, 이명박정부의 경제정책. [50] 펠쨩~(염통)5627 08/10/27 5627 5
8855 [일반] 이명박 대통령이 강만수 장관을 자르지 못하는 진짜 이유. [15] 펠쨩~(염통)7280 08/10/18 7280 2
8605 [일반] [쓴소리] 이명박 정부의 모순(矛盾) [18] The xian3912 08/10/02 3912 2
8502 [일반] 부시의 길, 이명박의 길 [32] 戰國時代5543 08/09/24 5543 3
8282 [일반] 이명박 대통령 국민과의 대화. 불판이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206] 양념반후라이6093 08/09/09 6093 0
8032 [일반] 이명박대통령 이게 웬 국제 망신입니까? [46] 보름달8146 08/08/25 8146 0
7881 [일반] [쓴소리] 거듭되는 소고기 핑계 - 이명박 대통령의 존재 자체가 대한민국의 재앙입니다. [22] The xian5292 08/08/13 5292 21
7826 [일반] 이명박 대통령의 국기사랑(?) [72] 순수나라6842 08/08/09 6842 0
7761 [일반] 이명박 대통령께서 사고를 치신건지..부시가 사고를 친건지 [66] higher templar6015 08/08/06 6015 0
7557 [일반] 신자유주의자 이명박, 신자유주의자 노무현. [96] 펠쨩~(염통)5428 08/07/27 5428 4
7333 [일반] 요미우리 신문 - 이명박 대통령은 기다려 달라고 했다. [85] 라이디스6694 08/07/15 6694 0
7240 [일반] 이명박 대통령을 암살시도하려 한 까페에 관한 웃긴 이야기 [7] 분수5571 08/07/08 5571 0
7115 [일반] 제가 이명박정권을 지지 하지 않는 이유. -1 [41] 매너플토5146 08/07/02 5146 5
7087 [일반] 이명박 정부는 나쁘지 않습니다 [57] 말코비치7165 08/07/01 7165 5
6998 [일반] 주성영 의원 - 이명박은 부시의 개 인정 (?) [18] 스타벨5442 08/06/27 5442 0
6959 [일반] 왜 저소득층과 중산층은 이명박 대통령을 대통령으로 뽑았을까? [39] 웅컁컁4398 08/06/25 4398 0
6914 [일반] 보수논객 이상돈 "이명박 위기, 하야(下野)직전" [17] sunrise5066 08/06/22 5066 0
6768 [일반] 이명박 정부와 감사원, 그리고 성판매 [21] 진리탐구자5165 08/06/16 5165 0
6758 [일반] 오늘의 이명박대통령 [14] 최기석4936 08/06/15 4936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