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3/26 03:58:57
Name 쿠키고기
Subject [일반] 지지율이 올라가고 있는 트럼프 와 서방국가 지도자들
많은 전문가들에게 강하게 비판을 받고 있는 트럼프 행정부지만
예상과는 다르게 지지율이 올라가고 있습니다.

3/24일 갤럽 조사에 의하면
지지율은 44%에서 49%로 올라갔고
트럼프의 코로나 대처에 60%가 긍정적으로 본다고 합니다.
공화당이야 임기기간동안 항상 90% 이상의 지지율을 꾸준히 보여줬으니 별 의미 없고
민주당과 무당 쪽 지지율이 6%, 8%씩 올라갔습니다.

갤럽왈 보통 나라가 위협을 당할 때 대통령 지지율이 올라간다고 하네요.
2차 대전의 FDR부터 부시까지 최소 10점씩은 지지율이 올라갔다고 합니다.

https://news.gallup.com/poll/298313/president-trump-job-approval-rating.aspx


그래서 다른 나라 대통령/수상/총리등의 지지율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영국의 보리스 존슨도 20% 상승해서 34%에서 55%로 상승했고
프랑스의 마크롱도 13%가 올라가서 51%의 지지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https://www.afr.com/world/europe/brits-back-boris-on-lockdown-even-as-recession-looms-over-europe-20200325-p54dkd
이태리의 Conte도 44%에서 71%로 올라갔고요.
https://twitter.com/giodiamanti/status/1240621153808416778/photo/1
독일은 못 찾겠네요.


흥미로운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각 나라의 행정부들이 안일하게 대처를 해서
현 사태가 벌어진 영향도 분명히 있을텐데 이럴 때 결국 지도자 뒤에 결집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꽤 신기합니다.
특히 이태리 같은 경우 중국 다음으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상황인데도 불구하고요.

이런 "rally"는 그렇게 오래 가지 않는다고 하는 분석도 있지만
현재까지의 코로나 문제 가지고 트럼프의 재선에 영향이 있을 것 같진 않습니다.

오히려 경제가 어떻게 풀리느냐에 따라서 그것이 트럼프의 재선에 더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하는데
문젠 아무리 경제가 침체로 넘어가도 이건 또 코로나라는 원인이 있어서 과연 여론이 트럼프에게 책임을 전가할 것인가? 라는 의문도 듭니다.

마지막으로 538의 Nate Silver은 트럼프의 지지율이 반등 했으나 다른 대통령의 케이스와 비교했을 때 아주 소폭이기에 (부시 같은 경우 911 사태 이후 51% 에서 86%)
https://fivethirtyeight.com/features/trumps-reelection-may-hinge-on-the-economy-and-coronavirus/
정말 큰 의미가 있을 까라는 분석도 했습니다.


향후 미국의 코로나 사태가 본격화 되고 경제가 어떻게 풀리느냐에 따라서 지지율이 어떻게 변하는지도 관찰하면 흥미로울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류지나
20/03/26 04:35
수정 아이콘
큰일에 맞닥드리면 시시비비를 가리는 것보다 일단 지도자에게 결집해서 사건을 마무리하는게 효율적이라는 것을 인간은 역사에서부터 각인이 된 듯 합니다. 바로 그 효과를 노리고 이승만도 전쟁중에 대통령 선거를 감행했었던 걸 생각하면 새삼스러운 일도 아닌거 같습니다.
Foxwhite
20/03/26 08:46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위기상황에서는 정부신뢰도가 중요하죠. 성향이 다르고 어쩌고 해도 일단은 강력한 리더십으로 위기부터 해결되고나서 싸워야...
소금사탕
20/03/26 04:56
수정 아이콘
트럼프는 입여는거 한번이라도 들으면 토나올 지경인데
지지율이 어떻게 오르는거죠
거의 현대판 고려장을 하려는 것같은데 (genocide)
달포르스
20/03/26 10:36
수정 아이콘
그래도 페미는 아니죠
동네형
20/03/26 11:11
수정 아이콘
갑자기요?
공사랑
20/03/26 12:26
수정 아이콘
급발진 무섭네요
덕후삼촌
20/03/27 20:08
수정 아이콘
표가 되면 무지개 깃발도 자주 흔들던 사람입니다. 언제 갑자기 나는 뼛속까지 페미라고 해도 안이상할 사람임
오프 더 레코드
20/03/26 05:08
수정 아이콘
전염병같은 재난이 닥쳤을떄, 지도자들이 강력한 대응을하면
재난으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피해 입고있는 국민들이 정부를 중심으로 신뢰를 보내고 통합하자는 의미에서 지지하는거라고 봅니다.
20/03/26 05:53
수정 아이콘
이미 바이든이 압도적으로 유리한 선거죠.
20/03/26 06:55
수정 아이콘
원래 국가의 목적이 이런 사회적 재난으로부터 개개인을 보호하는 것이니까요. 개인이 생존을 위해서라도 국가 시스템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도 당연한 거겠죠.
나른한날
20/03/26 08:28
수정 아이콘
메르스때는 떨어졌었는데..
가라한
20/03/26 11:48
수정 아이콘
트럼프가 초기에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대응을 거의 안 하다 시피 한게 문제지만 지금은 방역이나 경제 쪽에서 그런대로 무난하게 대응을 잘 하는 거 같네요.
메르스때는 계속해서 삽질의 연속에 사태가 악화 되기만 해서..... 컨틀로 타워가 무능한지는 알았지만 설마 강남 아줌마인지 그 때는 아무도 상상을 못했죠.
다람쥐룰루
20/03/26 08:50
수정 아이콘
재난이 닥치면 뭐라도 하는 정부를 보면서 그걸 도저히 반대할 수가 없잖아요...크크크크
우리나라가 진짜 이상한거죠...뭐만 하면 안된대 죄다 보건의학 전문의들이야 아주그냥...
키노모토 사쿠라
20/03/26 12:03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에는 전문가들이 많죠. 확인을 못할뿐
Dancewater
20/03/26 09:03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진짜 동조 잘해주는거죠. 국민들이야 의견이 많은건 당연한거고
정치인들도 뭐든 하라고하지 하지 말라고 막지는 않잖아요.
20/03/26 09:21
수정 아이콘
전시에 준하는 위기상황이니까 그러려니 하는데,
지금 유럽과 미국의 상황이 이렇게까지 악화된 건 정치적 리스크를 따지면서 미온적으로 반응한 정치인들 책임이라고 봅니다.
루트에리노
20/03/26 09:39
수정 아이콘
트럼프가 자기를 "전시 대통령" 이라고 한데에는 그동안 미국이 전시에 대통령을 연임시켜왔던 것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나라에도 비슷한 효과가 있겠죠.
아스날
20/03/26 09:58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대처를 잘하니 올라가고 있는데..
유럽쪽은 왜 올라가는지 모르겠네요.
잠만보
20/03/26 17:47
수정 아이콘
말아먹는 수준(=없는게 나은 수준)이 아니면

있는 지도자에게 뭉쳐서 위기를 극복하는게

새로 지도자 뽑는 혼란기를 거치는것보다 더 효율적이니까요
독수리가아니라닭
20/03/26 10:06
수정 아이콘
흐흐 우리는 일단 뭐 터지면 위부터 까고 보는데 쟤들은 그래도 일단 믿어줘야지...하는 식인가 보네요
앙겔루스 노부스
20/03/26 10:16
수정 아이콘
한국이야기하면 선거게시판으로 밀려날 거 같아 진지하게 이야기는 못하겠습니다만, 한국에서 저랬다간 진짜 지지율 반토막 났었을 거 같습니다. 문화차이라고 해 줘야 하려나...--
저격수
20/03/26 10:47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재난이 발생하면 국민 개개인이 본인이 잘해서 막은 거지 정치인들과 관료들은 멍청하게 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언론이 그걸 부추깁니다.
루트에리노
20/03/26 11:13
수정 아이콘
명백히 그랬던 적이 실제로 있죠
cienbuss
20/03/26 11:56
수정 아이콘
정부 얘기는 하면 선게행이니 제외하면. 확실히 언론은 도움이 안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왜곡된 정보의 정정을 하기 보다 퍼뜨리는 주체에 가까워 보이고.

우리나라 지도층이 개돼지 소리 할 만큼 대중보다 낫다고는 별로 생각 안 하고, 굳이 따지자면 우리나라는 중간관리층이 일 제일 잘 하는 편이라 보긴 하는데. 위기 시 지도층이 런하고 민중이 나라를 살린다는 프레임은 대중의 스스로에 대한 과대평가인 것 같습니다. 후진국 시절에도 소위 시민의식 같은 게 다른 후진국보다는 나았기에 여기까지 왓다고는 보지만, 그런 프레임을 과도하게 미는 개개인들은 스스로를 과대평가 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보이던데. 당장 의병들만 봐도 걍 농민들 하드캐리 라기에는 결집하고 이끈 향반들의 지분을 무시 할 수 없죠.
Supervenience
20/03/26 13:29
수정 아이콘
그런 착각이 사실 도움이 되기도 하니까요 반작용도 있지만
트롤이라도 안하면 뭐 한타라도 해볼순 있으니 긍정적이기도 합니다
만수르
20/03/26 13:40
수정 아이콘
사실이죠.
의료진들 갈아넣고 31번 이후로 국민 스스로 조심하니 이 정도라도 막고 있는거죠. 유럽만 봐도 비교가 안됩니다.
20/03/26 13:44
수정 아이콘
의료진이 자진해서 갈리고 종교시설 이나 핼스장들은 스스로 문을 닫았겠죠?
만수르
20/03/26 13:57
수정 아이콘
종교 헬스장 관리는 3월이나 되서나 강제 했는데요.
무엇보다 님 댓글 읽으면 자원봉사 한다고 자진해서 대구 내려가 자진해서 갈린 의료진들 섭섭하겠네요.
20/03/26 14:05
수정 아이콘
자원 봉사하시는 의료진 분들의 힘만으로 오롯히 지금같은 체계를 구축하는 건 불가능합니다.

자원봉사조차 규모가 커지면 행정적인 도움이 필요한데 정부의 역할을 기를 쓰고 깎아 내리는 건 대체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네요
만수르
20/03/26 14:07
수정 아이콘
깎아내린적 없는데요. 저 쪽보다 이쪽 공이 커보인다 의견입니다.
네아님은 여기선 정부 공이 더 크다 주장하시면 되는 거고요.
20/03/26 14:40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재난이 발생하면 국민 개개인이 본인이 잘해서 막은 거지 정치인들과 관료들은 멍청하게 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언론이 그걸 부추깁니다. <- 이걸 사실이라고 하셨잖아요.

정치인과 관료들이 멍청하게 군다라는 말에 동의하셨는데 깎아 내린게 아니면 뭔가요?
만수르
20/03/26 14:52
수정 아이콘
네 깎아내렸다고 하죠. 됐습니까?
20/03/26 15:21
수정 아이콘
왜 깎아내리시는 건지 궁금하긴 한데 일단 알겠습니다.
만수르
20/03/26 15:45
수정 아이콘
네야 님// 피곤한건 피해가자는 주의라서요.
날아라 코딱지
20/03/26 13:53
수정 아이콘
그렇죠
그래서 질본은 정시퇴근 딱딱하고
드라이브스루 이하 검역소들은 모두 주 52시간 근무철저준수하고
신천지이하 종교집단은 모두 자발적 예배철회 모임금지를 했군요
만수르
20/03/26 13:58
수정 아이콘
정부가 아무것도 안했다고 한것도 아닌데 국민 덕이 크다가 불편하신가요?
20/03/26 19:07
수정 아이콘
관료주의의 폐혜 알고 계신가요? 무슨 일 터지면 서로 자기소관 아니라고 계속 책임회피하는거요. 그때 교통정리 하는게 정부의 일입니다
cienbuss
20/03/26 11:50
수정 아이콘
트럼프가 그래도 평소 때 CDC 밀어주고 그랬으면 삽질 좀 했어도 지지율 올라가는 게 이해됐을텐데. 대응체계를 망가뜨린 다음 혈세로 쇼하면서 대중의 판단력을 흐리는 부정확한 정보도 계속 전달하고 있는데. 발등에 불 떨어지니 과격한 조치하고 매일 브리핑 한다는 것만으로 지지율 오른다는 게 정말 이해가 안 갑니다.

굳이 따지면 트럼프가 지지층의 요구 중 반이민, 내부갈등조장, 고립주의 노선에는 어느정도 부응했다고 보지만. 막연한 기득권과 시민단체에 대한 거부감에 대해서는 한 번씩 입 털은거 빼고 한 것도 없는데 참 신기합니다. 부임 전에는 월가 까더니 절친처럼 지내던데.
안수 파티
20/03/26 12:43
수정 아이콘
저학력, 저소득층 미국인들이 그런 합리적인 분석을 할 줄 알았다면 애초에 트럼프가 당선될 일이 없었겠죠....
20/03/26 12:20
수정 아이콘
유럽, 미국, 남미 지도자들 지지율 상승은 나중에 비싼 청구서로 돌아올 거죠. 저 쪽 관점에서야 외부(또는 중국)의 침공이란 성격이 강하니 외적에 맞서는 지도자가 되는거지만 그렇다고 저 모양이 된 원인인 내부문제가 사라진 것도 아니고, 경제위기는 아직 시작도 안한 단계잖아요. 정치가 청구서를 외면할 수록 전세계의 위기가 올 겁니다...

아시아 민주주의 국가 보면 대만은 지지율이란 청구서는 받았지만 잘 지불하는 모습이고, 한국은 어느정도 선불 해서 청구서가 크지 않아 보입니다. 일본은 여기서도 여전히 모르겠네요.
20/03/26 12:25
수정 아이콘
이재명 효과 같은거죠. 트럼프, 보리스, 아베 같은 지도자의 공통점이 전문 포퓰리스트들이라 정세를 잘 이용하는거죠.
-안군-
20/03/26 14:51
수정 아이콘
대중은 생각보다 이성적이고 합리적이지 않습니다. 그리고 그런 면이 오히려 이런 위기상황에선 도움이 되죠.
20/03/26 17:23
수정 아이콘
하다못해 크킹에서도 외부랑 전쟁하면 봉신들 호감도가 오르니...
일단 헤쳐모여! 집결! 이런 느낌이네요.
Supervenience
20/03/26 19:41
수정 아이콘
멕시코 장벽이 옳았다 불법이민자 추방이 필요했다 그게 안되어서 지금 중국인들에게 코로나가 옮았다 뭐 그런 흐름이려나..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5448 [일반] 이번 긴급재난지원금 산정 기준의 함정(?) [166] 로빈19492 20/03/30 19492 6
85447 [일반] 신형 제네시스 G80이 공개되었습니다. [104] 산밑의왕14164 20/03/30 14164 1
85446 [일반] [토막글] 요시다 쇼인이 옥중에서 쓴 서신 [5] aurelius8526 20/03/30 8526 0
85445 [일반] 주관적 해외드라마 베스트 추천드립니다. [51] 아돌11140 20/03/30 11140 5
85444 [일반] [스연][(여자)아이들] "I trust" Concept Preview / 4월 6일 컴백 관련 소식들 [2] 피디빈6435 20/03/30 6435 0
85443 [일반] 제 PC,언제쯤 바꿔야 하나요? (현 시점에서의 포괄적 답변) [177] 토니파커13801 20/03/30 13801 3
85442 [일반] 소득 하위 70% 1400만 가구에 4인가족 기준 100만원 지급 [321] 손금불산입22612 20/03/30 22612 1
85441 [일반] [스연] 김병만과 시무라켄 [4] 어강됴리12138 20/03/30 12138 1
85440 [일반] 재택근무하는 와중 꼭 봐야 하는 미드 몇 편 추천합니다. [62] This-Plus13350 20/03/30 13350 1
85439 [일반] 기록적인 유가 폭락에 투자를 검토하시는 분들에 대한 참고 [47] 맥스훼인11825 20/03/30 11825 5
85436 [일반] [스연] [보건] 일본 게닌 ( 개그맨) 시무라 켄 사망 [46] 아라가키유이14172 20/03/30 14172 1
85435 [일반] 사스나 메르스와 조금 다른 코로나 [26] 밀물썰물14793 20/03/30 14793 0
85434 [일반] [코로나] 독일 Hessen주의 재무 장관 자살 [24] 타츠야14760 20/03/30 14760 1
85433 [일반] [스연] 이번 코로나 바이러스로 다시 주목받은 영화 [13] Croove14614 20/03/30 14614 2
85432 [일반] [스연] 2020년 현재 중고등학생인 여자아이돌들 [20] VictoryFood17002 20/03/29 17002 0
85431 [일반] 요즘 맥주에 새우깡먹는게 취미네요.. [37] 무우도사11539 20/03/29 11539 0
85430 [일반] [스연][러블리즈] 지수랑 예인이 때문에 창피해서 고개를 못드는 지애.jpgif [11] 나의 연인8996 20/03/29 8996 1
85429 [일반] 코로나19 관련해서 시뮬레이션 싸이트 하나 소개합니다. [5] 마우스질럿8566 20/03/29 8566 1
85428 [일반] [스연] 2020년 3월 다섯째주 D-차트 : ITZY 2주 연속 1위! 세정 6위 진입 Davi4ever6239 20/03/29 6239 0
85426 [일반] [스연] '화양연화' 포스터 & 티저 예고편 [23] 빨간당근11195 20/03/29 11195 0
85425 [일반] [보건] 대한민국 행정구역별 코로나-19 확진자수 그래프 [26] worcester15198 20/03/29 15198 20
85424 [일반] 中 "기존 IP체계를 비롯한 인터넷 표준을 뉴IP로 개편하자" [59] Demanon15175 20/03/29 15175 0
85423 [일반] [단상] n번방, 다크웹 - 디지털 시대의 지하세계 [24] aurelius14139 20/03/29 14139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