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3/12 21:56:41
Name 훈수둘팔자
Subject [일반] 유럽이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에 있어 어려움을 겪나 봅니다. (수정됨)
https://news.v.daum.net/v/20200312060603378

1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유럽 전역에서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재택근무 시행을 고려하고 있으나 경험이 없어 쉽지 녹록지 않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초고속 인터넷 보급이 미흡한 점도 문제 중 하나다.

(중략)

--------------------------------------------------------

oecd 국가 기준 유럽에서 재택근무 경험이 없는 노동자의 비율이

이탈리아 67%
독일 69%
프랑스 59%

이고, 이 국가들이 초고속 인터넷 보급이 취약한 국가군이라고 하네요.

반면 영국과 미국은 재택근무 경혐이 없는 노동자 비율이 각각 50% 이하, 10% 정도.



재택근무를 위한 노트북, 패드 지원은 전체 기업 중 2/3 정도가 가능하다고 하지만,

문제는 유럽 내에서 직원수가 10명 이상인 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인데

유럽 내 사업체 90%가 10명 미만의 초소형기업이라 더 난감하다고 하네요.



한국은 네트워크 인프라가 그나마 사전에 잘 구축되어 다행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3/12 22:01
수정 아이콘
지금 기세대로 가면 프랑스, 스페인은 우리 나라 확진자수를 추월할 거 같더군요.
하얀소파
20/03/12 22:06
수정 아이콘
노르웨이는 본격적으로 재택근무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오늘 주요도시내 학교와 유치원, 어린이집을 닫는다는 결정이 내려졌고요. 다른 유럽국가들의 재택근무 비율이 저렇게 낮은줄은 몰랐네요.
Lord Be Goja
20/03/12 22:19
수정 아이콘
노르웨이는 인구밀도도 낮은데 재택근무까지 본격적으로 하면 감염율이 많이 낮아지겠네요
하얀소파
20/03/12 22:34
수정 아이콘
지금 총리 기자 회견중인데, 모든 학교에 휴교령이 내려졌네요. 앞으로 이주간은 최소한도로 움직여야 한다고 결정됐습니다.
김유라
20/03/12 22:16
수정 아이콘
이해가 가기는 합니다. 나름 수도라는 국가에서도 조금만 교외로 빠지면 2G가 터지는 곳이 유럽이라...
인터넷망이 잘깔려있을거란 기대가 전혀 안되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0/03/12 22:20
수정 아이콘
한국수준으로 유무선 전부를 초고속통신망을 깔아놓는 나라가 별로 없죠 뭐...
20/03/12 22:25
수정 아이콘
이번 사건이 지나면 네트워망, 재택 등 인식이 좀 생길거라 생각은 하는데..
타츠야
20/03/12 22:41
수정 아이콘
업무용으로 쓰는 핸디의 사업자인 보다폰이 사무실에서 안 터져서(전파가 잘 안 잡힐 이유도 없는 건물과 위치) 본문 글에 이해가 갑니다.
IT쪽은 그래도 최근에 Home office를 회사의 benefit으로 제공하는 회사들이 많은데 그 밖의 업종은 적용이 쉽지는 않을 겁니다.
루트에리노
20/03/12 22:47
수정 아이콘
어째 보면 그동안 그럴 필요가 없었다는 거죠. 우리나라는 이런 점에선 참 대단하긴 합니다. 막상 재택근무는...
병장오지환
20/03/12 22:52
수정 아이콘
재택근무 할 수 있는 인프라 다 갖춰놓고도 윗분이 대면보고 받고 싶어서 그런 거 안 하는 회사도 있는데 ( ' ')
김유라
20/03/12 23:45
수정 아이콘
저희 회사네요 크크크

재택근무자들 기숙사 와서 일하라고 3일에 한 번 꼴로 물어봅니다.
20/03/12 22:52
수정 아이콘
근데 한국도 재특근무가 많지 않을텐데... 인프라가 그래도 잘 되어있으니 적응도 어렵지는 않은가 보네요. 경제방송 들어보니 재택근무를 해도 생각보다 기업이 무리없이 잘돌아가서 사옥유지등에 들어가는 불필요한 비용과 인력등을 잘 모니터링하고 있을거라고... 코로나 사태 이후 구조조정이 있을수도 있다고 하던데... 코로나 충격이 경제에도 큰 영향을 주고 또 앞으로도 줄 거 같네요.
-안군-
20/03/12 22:55
수정 아이콘
여러 기업들이, 굳이 사원들을 출근시키지 않아도 생각보다 회사가 잘 돌아간다는 걸 체험중이죠...
DownTeamisDown
20/03/12 22:57
수정 아이콘
한국은 인프라도 되어있고 나름 사원들도 교육이 잘 되어있는편인데 고정관념때문에 안한거라서
-안군-
20/03/12 23:06
수정 아이콘
인프라는 세팅해놨지만 실질적으로 돌려볼 기회가 없었죠. 이참에 돌려보고 있는거고..
Lord Be Goja
20/03/12 23:45
수정 아이콘
사람이 그렇게 많이 필요하지 않았구나,밀도 있게 시키면 되는거였네 하고 생각하는분들 계실까봐 겁나긴 합니다..
마도로스배
20/03/12 22:56
수정 아이콘
재택근무가 진작에 가능했지만 윤허하지 않았다
전부수개표
20/03/12 23:12
수정 아이콘
지금 폴란드에 교환학생왔는데. 여기도 확진자 16명인가때부터 엄청 심각하게 다루기시작하네요. 지금은 한 60명되는데, 워낙 옆나라들이 초반대응 실패해서 코로나로 뚜드려 맞는 걸 보고나서 그런지, 확진자 20명 언저리였던 어제부터 전국 초중고 대학교 싹다 문닫았습니다. 지금은 정부에서 이 사태 위기 경보를 어느정도로할 지 결정하고 있는것으로 보이고요..
유럽마니아
20/03/12 23:14
수정 아이콘
유럽 교환학생.. 꿈이었는데 부럽습니다. ㅠㅜ모쪼록 별일없이 학업 잘 마치시길 기원합니다.
전부수개표
20/03/13 10:44
수정 아이콘
아이고 감사합니다.. 근데 현실은 유럽도착 한달만에 코로나.. 지금 폴란드에서는 아무것도 못합니다. 강제조치가 있는건 아니여서 다른 외국인 친구들은 잘 놀러다니긴 하는데, 한국에서 온 친구들은 한국에서 어느확진자가 어딜돌아다녔고 권고를 무시했네 뭐네 하는 이야기를 뉴스를 통해서 하도 들어서 그런지 알아서 다들 기숙사에만 머무네요.. 지금 벌써 3명은 한국 돌아간다고 하고 제 캐나다인 룸메도 캐나다로 돌아간다고 하네요..
아기상어
20/03/13 00:07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빌게이츠한테 감사해야...크크

재택근무하고싶어도 프린트를해야해서 엄두도못내네요 ㅜ ㅜ
20/03/13 00:43
수정 아이콘
이번 코로나 사태이후로 인터넷 관련 기업들 주가는 엄청나게 뛸겁니다.
마요라
20/03/13 02:05
수정 아이콘
선생님 저두 부탁드리겠습니다
친절겸손미소
20/03/13 08:06
수정 아이콘
크크 저도 어딘지 얘기해주실 수 있나요?
20/03/13 08:44
수정 아이콘
귀한말씀 부탁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5748 [일반] 여러분은 정상인이신가요? (feat. 혐오의 시대) [44] 세종대왕14244 20/04/18 14244 50
85039 [일반] 유럽이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에 있어 어려움을 겪나 봅니다. [25] 훈수둘팔자11379 20/03/12 11379 0
84834 [일반] oecd기준(PPP기준)한국이 일본을 1인당 gdp에서 넘었네요. [103] 후마니무스14384 20/03/02 14384 8
83487 [정치] 궁금해서 찾아본 국민과의 대화 내용 요약 [160] 껀후이18376 19/11/21 18376 0
83438 [정치] 건강보험공단이 올해 3.2조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132] Daniel Plainview19528 19/11/15 19528 0
83379 [일반] 한국의 이미 높고, 앞으로 더 높아질 평균수명에 대해 [63] 데브레첸15170 19/11/09 15170 4
83365 [일반] 한국 저출산의 미래, 영향 그리고 대책. [519] 아리쑤리랑49085 19/11/06 49085 136
83328 [일반] 지금이 업무 시스템을 바꿀 마지막 기회 [126] 노리16353 19/11/06 16353 41
83322 [일반] 한국의 복지는 과소할까? [121] CapitalismHO15506 19/11/04 15506 23
82509 [일반] 대학교 입시제도는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 [81] 아유9687 19/09/01 9687 2
82501 [일반] 가볍게 적어보는 출산율 관련 생각.. [85] 유목민11440 19/08/31 11440 6
82002 [정치] 트럼프, WTO에 개도국 우대체계 시정압박…韓도 거론 [74] 나디아 연대기13654 19/07/27 13654 1
81761 [일반] 사회가 감내할 수 있는 적정비용을 찾아서 [41] Danial10476 19/07/10 10476 46
81578 [정치] 2019 추경안을 통해서 보는 경기 체감. [74] kien12345 19/06/24 12345 5
81527 [정치] 이랬다가 저랬다가 트위스트 추면서~ [10] chilling6986 19/06/19 6986 23
81300 [일반] 페미니스트 비난의 도구로서의 악의적인 편집과 피카츄 배 [312] 작란17595 19/05/27 17595 66
81298 [일반] oecd에서 배리나 씨는 무슨 말을 했을까? [22] Bemanner9354 19/05/27 9354 6
81280 [일반] 정부가 배리나를 oecd 대표로 보냈다!! [200] 동굴곰23962 19/05/26 23962 9
81229 [일반] 최저임금실책을 쉴드칠려고 이제는 이런 짓도 하네요.(feat 기재부) [182] 차오루20094 19/05/22 20094 37
81228 [일반] 당신의 유감이 오히려 유감스럽습니다. [58] chilling10748 19/05/22 10748 10
81141 [일반] PGR에서의 경제 토론이 비아냥으로 끝나는 이유들. [222] kien19042 19/05/15 19042 124
80728 [일반] 세계 내수시장 국가 랭킹.jpg (스압) [17] 홍승식10893 19/04/10 10893 16
80722 [일반] '친환경' LNG발전소의 배신…알고보니 유해물질 대량배출 [32] LanceloT10451 19/04/09 10451 1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