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2/12 15:12:31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기생충의 또 다른 숨은 공신, 바로크 음악

이번에 아카데미 4관왕을 한 영화 기생충에 또 한 가지 인상적인 점 있다면 음악입니다. 


특히 "믿음의 벨트"라는 곡이 유튜브에서 핫한데, 

얼핏 들으면 바로크 시대 명곡을 차용한 것처럼 들리지만

실제로는 정재일 씨가 직접 "작곡"한 오리지널 곡이더군요.

정재일 씨는 인터뷰에서 "야매 바로크 음악" 하나 만들었다고 했는데,

도저히 야매수준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크크


어떤 댓글에서는 "한국영화가 서양음악을 할리우드보다 훨씬 잘 활용한다"며 아주 칭찬하더라구요. 

 

언제부터인지 모르겠지만, 우리나라 영화에서 부쩍 바로크 음악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박찬욱이 이 분야 선두주자인데요, 

올드보이와 친절한 금자씨 모두 꽤나 인상적인 OST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올드보이에서는 실제로 비발디의 겨울이 적절히 활용되었고,

오리지널 곡인 Last Waltz라는 곡도 아주 훌륭했지요. 

 

바로크란 본래 17~18세기에 유행한 흐름으로, 건축물과 미술 및 음악에 큰 족적을 남겼습니다. 

이 시대는 르네상스에서 절대왕정 그리고 계몽시대로 이행하는 시대였고

우리가 아는 유럽의 화려한 귀족문화와 고상한 취미 등은 이때 다수 만들어졌습니다. 

 

절대왕정의 상징 루이14세의 치세는 바로크 음악의 전성기로도 알려져있습니다. 

그의 궁정 음악가는 장 밥티스트 륄리라는 피렌체 출신 이탈리아인이었는데, 

그는 왕의 위엄과 궁정의 화려함을 자랑하는 곡을 다수 남겼습니다. 

그리고 루이14세 본인 또한 대단한 발레리노였고, 태양신 아폴로로 분장해서 

륄리의 곡 흐름에 맞춰 스스로 춤을 추곤 했답니다. 

 

사실 이에 대한 영화도 있으니 한 번 보시는 것도 추천합니다. 

제목은 "Le Roi Danse (왕이 춤을 추다)" 입니다. 젊은 시절의 루이14세와 그의 음악가 륄리의 관계를 다룬 영화입니다. 프랑스 예술영화 답게 재미가 없지만 (...) 나름 그 시대의 화려함과 문화를 잘 감상할 수 있습니다 

 

le roi danse 이미지 검색결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금적신
20/02/12 15:34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유료도로당
20/02/12 15:44
수정 아이콘
정재일은 정말 뮤지션들의 뮤지션으로 추앙받던데.. 동세대 최고레벨의 재능인것같습니다
20/02/12 15:59
수정 아이콘
믿음의벨트는 저도 멜론에서 계속 반복중이고, 본문처럼 올드보이 OST류들도 좋아하는데, 장르명을 몰라서 왈츠류인가... 막연히 생각만 했었거든요. 장르명을 드디어 알아가네요 ^^;
녹차김밥
20/02/12 16:09
수정 아이콘
영화야 빠져들어서 봤었는데, 다시 들어보니 OST가 정말 좋네요. 음악이 아카데미 예비후보로 올라갔을 땐 다들 의아해했는데, 이해가 됩니다. 본후보 노미네이션에 실패해서 안타깝네요. 소개 감사합니다.
vanillabean
20/02/12 16:20
수정 아이콘
와, 진짜 바로크 시대 곡 같아요.
20/02/12 16:35
수정 아이콘
영화 아가씨에서도 르와예였는지 라모였는지 하프시코드 곡이 삽입되어 있더라고요.
20/02/12 17:32
수정 아이콘
야매 바로크음악 크크 좋네요 정재일씨는 타악그룹 푸리 공연때 객원 멤버로 처음 봤는데 4살땐가 레퀴엠 듣고 눈물을 흘렸다는 소개가 인상적이었더랬네요. 동서양음악 모두 밸런스 잘 잡힌 인재 같아서 항상 멋있습니다
퍼플레임
20/02/12 18:47
수정 아이콘
왕의 춤 재미없다뇨
전 매우 재미있게 봤습니다
aurelius
20/02/14 14:17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사실 저도 재미있게 보긴 했습니다만 아내랑 다시 같이 보려고 했는데 아내가 한 20분 보고 나중에 저 혼자 보라고 .... ㅠㅠㅠ
미나사나모모
20/02/13 09:32
수정 아이콘
패러사이트 딱 울려퍼지고 믿음의 벨트 나오는데 소름이 쫙....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4409 [일반] 스토브리그 - 그럼에도, 우리는 드라마를 원한다. [19] 꿀꿀꾸잉12074 20/02/16 12074 53
84408 [일반] [팝송] 펫 샵 보이즈 새 앨범 "Hotspot" [12] 김치찌개5498 20/02/16 5498 5
84407 [일반] 직장인의 삶이란 [35] 무색취10123 20/02/15 10123 16
84405 [일반] 우리가 '그' 크루즈를 받아야 하지 않을까 -> 필요 없네요. [111] 아이군15870 20/02/15 15870 0
84404 [일반] 다시 진정한 공산주의(?)로 회귀하려 하는 중국 [29] 훈수둘팔자13372 20/02/15 13372 2
84402 [일반] 일본 크루즈선 슈마이 도시락 4000개 행방불명 [77] 키리기리17306 20/02/15 17306 0
84400 [일반] 아마존 파이어 태블릿 HD 2019 후기 [43] 잠잘까23229 20/02/15 23229 3
84399 [일반] 유튜브 알고리즘이 인도해준 농학생들의 현실. [9] kien10787 20/02/15 10787 9
84398 [일반] 브레이브 건(Brave Gun)의 해설 [8] 성상우11955 20/02/14 11955 0
84396 [일반] [역사] 18세기 중국이 러시아에 파견한 사신단 [14] aurelius8411 20/02/14 8411 13
84395 [일반] 5년전 발렌타인데이 때 차인 이야기 (Feat. 결혼정보업체) [25] BK_Zju15472 20/02/14 15472 25
84389 [일반] 어머니는 고기가 싫다고 하셨어요 [27] 이부키8432 20/02/14 8432 14
84388 [일반] 작은 아씨들 후기(스포) [18] aDayInTheLife6890 20/02/14 6890 0
84387 [정치] 선게 오픈을 맞아 해보는 2016년 20대 총선 여론조사 복기 [23] bifrost13872 20/02/13 13872 0
84385 [일반] 조던 피터슨 근황 [26] Volha15501 20/02/13 15501 2
84384 [일반] [코로나19] 점점 악화되는 일본의 문제 [134] 오프 더 레코드19109 20/02/13 19109 4
84383 [일반] 일하다가 성질이 뻗치는 요즘입니다 [9] 비타에듀7987 20/02/13 7987 1
84381 [일반] ....... [37] 삭제됨12977 20/02/13 12977 0
84380 [일반] 선거게시판 오픈 및 모바일 제한 안내 [15] jjohny=쿠마7874 20/02/13 7874 4
84379 [정치] 손학규때문에 깨질 위기인 바른미래, 민평,대안신당 통합작업 [42] 강가딘9772 20/02/13 9772 0
84378 [정치] 선관위, `안철수신당` 이어 `국민당`도 사용 불허 [85] 강가딘12521 20/02/13 12521 0
84377 [정치] 미래한국당과 미래한국통합신당, 미래통합당 [33] 유료도로당7940 20/02/13 7940 0
84376 [일반] [역사] 만주족의 세계질서 [8] aurelius8211 20/02/13 8211 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