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12/17 12:47:25
Name 성상우
Subject [일반] 시대전망(3) (수정됨)
시대전망(3)

어릴적에 시대를 많이 전망해봤다. 그리고 살아오면서 중간 중간마다 시대를 전망해봤고 지금도 여유있고 시간날때마다 시대를 전망하고 있다. 내가 계속적으로 시대를 전망하는 이유는 성공에 대한 강한 바램때문이었다. 시대를 정확하게 전망해야 거기에 따라서 적합한 해법을 마련할수가 있고 그 적합한 해법을 현실에 적용하면 좋은 성과와 업적을 얻고 자연스럽게 성공이 따라온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학창시절에 유행하던 미국드라마가 있었다. 리처드 딘 앤더슨주연의 '맥가이버'인데 나는 '맥가이버'라는 미국드라마를 통해서 많은 것을 배웠다. 그때 당시에 '맥가이버'와 함께 '에어울프'와 '전격 Z작전'등 많은 미국드라마들이 인기를 얻고 있었다. 미국드라마는 미국인의 실용적이고 합리적이고 건전한 정신을 잘 나타내고 있어 많은 학생들이 시청을 하고 있었다.

그당시에 유행하던 미국드라마에는 꿈과 희망이 있었고 열정을 불어넣는 강한 자극과 동기부여가 있었다. 미국드라마를 시청하는 많은 학생들이 학업을 위해 공부하러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와서는 쉬는 시간과 점심시간에 '맥가이버'등 여러 미국드라마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또 학생들은 미국드라마를 통해 한국의 미래에 대해서 걱정하기도 하고 우리도 다른 나라들보다 앞서 나가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러니까 미국드라마를 통해 한국학생들이 용기를 가지고 지혜를 얻고 도덕적인 가치관을 배우고 그리고 일본이나 중국이나 다른 나라들과의 경쟁에서 승리해야겠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던 것이다. '맥가이버'등 미국드라마의 처음에 시작할때의 드라마음악과 미국드라마의 극중 클라이막스에 등장하는 음악은 지금도 귓가에 들릴정도로 인상적이었다.

또 '맥가이버'등과 같은 미국드라마는 인생에서 많은 교훈점을 주었다. 미국드라마인 '맥가이버'의 주인공인 맥가이버는 당구장에서 당구를 칠때 당구를 단순한 스포츠로 보는 것이 아니라 수학의 기하학문제로 이해했다. 그래서 수학적원리를 당구에 적용하여 당구를 쳐서 상대를 이겼다. 이처럼 미국드라마인 '맥가이버'의 주인공인 맥가이버는 인생의 모든 것을 학문적으로 이해했고 드라마내에서의 모든 문제들을 과학적으로 해결해나갔다.

또 미국드라마인 '맥가이버'의 주인공인 맥가이버는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인물이었다. 주인공 맥가이버는 남자라면 첫째 인격을 갖추어야하고 둘째 정의로와야하고 셋째 실력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해주었다. 그렇게 해야지만 국가와 사회와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고 훌륭한 시민과 진정한 신앙인으로 존경받는다는 것을 드라마내에서 보여주었다.

그리고 미국드라마 '맥가이버'에서 주인공 맥가이버는 지식인이 어떤 존재라는 것과 지식인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을 잘 보여주었다. 미국드라마인 '맥가이버'의 주인공인 맥가이버는 너무 대단했고 학창시절에 나는 맥가이버를 볼때마다 존경심이 들었고 지금도 너무 훌륭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내가 미국드라마가 유행하던 학창시절에 했었던 생각도 그렇고 지금도 동일하게 가지고 있는 생각은 한가지이다. 이것은 일관되게 견지하고 있는 시대전망으로 지금의 시대에서는 꾸준히 노력하고 열심히 살면 세상의 문제들이 어렵지 않게 풀리고 결국에는 반드시 성공할수 있다는 것이다.

학생들이나 보통 사람들이 생각하거나 예상하는 것만큼 세상의 난이도는 그다지 어렵지 않다. 어릴적에 오락실게임을 하면 난이도가 세가지가 나오는데 쉬움(Easy), 보통(Normal), 어려움(Hard)이다. 이러한 기준에 비추어 세상의 난이도를 생각해보면 꾸준히 노력만 하면 쉽게 성공할수 있는 정도의 난이도인 쉬움(Easy)이다.

그러므로 낙담하거나 좌절해서는 안된다. 왜 꾸준히 노력을 하지 않느냐하면 세상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오해 때문이다. 어떤 사람이든지 열심히하고 잘할려고하고 노력을 할려고 하는데 너무 생각속으로 세상을 어려워하고 두려워하고 걱정하기 때문에 포기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알고보면 세상은 꾸준히 노력하다보면 눈으로 성과가 보이고 확실하게 성공할수 있을 정도의 난이도로서 산수문제정도이다.

예를 들어서 지금의 시대의 난이도는 산수문제인 사칙연산정도인데, 사칙연산(四則演算)은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네종류의 계산법을 말한다. 어릴적에 학교에서 처음 배우는 것중의 하나는 덧셈과 뺄셈이고 이것을 익혀서 다음 단계로 조금 더 나아가면 곱셈과 나눗셈을 배운다.

인생에서 덧셈은 좋은 것과 장점을 더하고 뺄셈은 나쁜 것과 단점을 빼나가는 것이다. 그리고 인생에서 곱셈은 좋은 것과 장점을 배가시켜나가는 것이고 나눗셈은 나쁜 것과 단점을 매우 효과적으로 없애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의 시대에서는 이러한 산수의 사칙연산을 삶에 적용시키면 인생의 성공자가 될수가 있다.

일본에서 소프트뱅크그룹(SoftBank Group Corp.)의 손정의(孫正義)회장은 병성(兵聖) 손무의 손자병법을 재해석하여 제곱병법을 만들기도 했다. 일본의 소프트뱅크그룹의 손정의회장은 지금의 시대에서 어떠한 이익을 제곱으로 키워나가는 방법으로 자신의 손자병법의 해석 즉 제곱병법을 적용하였는데 내가 개인적으로 생각할때는 산수의 사칙연산으로도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지금의 시대는 시대의 난이도를 생각해볼때 너무 쉽기 때문에 산수의 사칙연산으로 충분하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그 증거로서 일본에서 어떤 한가지 일에 꾸준히 노력하고 경지에 도달하여 업적을 쌓으면 전문가로 인정해주고 많은 혜택을 주는 것을 예로 들수가 있다. 즉 지금의 시대는 꾸준함만 있으면 충분히 성공할수 있는 시대이고 꾸준함이 시대를 관통하는 단어이다.

@위에 글은 제가 고민하고 구상해서 쓴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성상우
19/12/17 20: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삼국지'의 조조는 전쟁에서는 실리적인 전략을 사용하고, 정치에서는 신상필벌의 법치주의로 큰 성과와 큰 업적을 거두었습니다. 이 두가지를 합

친다면 실용주의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조조가 행군중인 군사들에게 말하기를 "수확을 앞둔 보리밭을 훼손하는 자는 사형에 처하겠다."라고 명령을 내립

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조조의 말이 비둘기에 놀라 보리밭을 쑥대밭으로 만듭니다. 조조는 자신의 죄를 행군주부에게 논의하게 하였는데 행군주부가 난

감해했습니다. 그러자 조조는 칼을 빼어서 자신의 목을 치려고 하는데 참모인 곽가가 '춘추'를 예로 들어서 말립니다. 조조는 칼을 들고 자신의 머리카락

을 베어서 법의 엄함을 나타내었다고 합니다. 삼국지의 조조는 비록 '춘추'에 따라 죽음을 면하고 머리카락을 베었지만 자신이 내린 법령을 스스로 지킨 위

대한 영웅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뒤로 누구도 군령을 어기려들지 못하였고 대군이 지나가도 보리 한포기 꺽이는 일이 없었다고 합니다. 앞의 내용은 이문열

의 '삼국지'에 나온 조조의 예화를 참고하여 쓴 글입니다. 제가 쓴 글들을 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coconutpineapple
20/05/25 17:13
수정 아이콘
지금 학생들이 그렇게 되면 도와주시길 간절히 바라는 무언가를 늘 좋은 약은 피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차분히 가라앉은 다음 여러 관심과 지적 감사드립니다
고양이맛다시다
19/12/18 03:42
수정 아이콘
시대전망(3)

나는 시대를 전망하는 것을 좋아하고 전망하고 싶다.
나는 맥가이버를 좋아한다.
열심히 살면 성공할 수 있다.
세상은 쉽다. 비교하자면 산수문제일 뿐이다.
장점은 더하고 단점은 빼라. 그럼 성공한다.
손정의는 더 복잡한걸 고안했지만 내 생각엔 이정도로 충분하다.
꾸준히 노력해주는 사람은 일본에서도 인정해준다. 그게 증거다.
messmaster
19/12/18 04:33
수정 아이콘
여러 관심과 지적 감사드립니다
성상우
19/12/18 14:54
수정 아이콘
여러 관심과 지적에 감사드립니다. 제가 쓴 글을 잘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조금 더 글을 쓰는 것이 연습이 되고 글쓰기실력이 쌓이면 좀더 세부적으로

문단나누기와 뼈대를 세워서 글을 쓰려고 하고 있습니다. 정리를 너무 깔끔하게 잘 해주셔서 저는 몇번을 읽어 보게 됩니다. 글쓰기에 대해서 새로운 자극

이 되어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독서를 열심히 하고 있는데 글의 수준을 높이려고 많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기존에 글을 쓸때 일정하게 사용하는 부분들이

있는데 그것들도 어느정도 시간이 흐르면 새롭고 더 나은 것으로 바꾸도록 하겠습니다. 의견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coconutpineapple
20/05/22 23:44
수정 아이콘
소녀시대라떼가 맛있다는 이야기를 들으면서 자라왔습니다. 베이비복스가루 또한 함께 제공할 수 있는 곳이 강릉에 생긴다면 좋은 뜻을 이어나갈 전략과 이론이 풍부한 테닛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라는 의견을 드리고 싶습니다. 정말로 마음속부터 발끝까지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3775 [일반] 시대전망(3) [6] 성상우5978 19/12/17 5978 2
83746 [일반] 한국(KOREA)형 커피모델(3) [6] 성상우6085 19/12/14 6085 2
83732 [일반] 한국(KOREA)형 음식모델(7) [7] 성상우6091 19/12/13 6091 2
83719 [일반] 작은 세력이 성공하는 비결 [3] 성상우6915 19/12/12 6915 2
83704 [일반] 승리의 방식 [8] 성상우6827 19/12/11 6827 2
83690 [일반] 중국전통사상의 결과 [6] 성상우6761 19/12/10 6761 2
83679 [일반] 차별화전략 [10] 성상우7483 19/12/09 7483 2
83674 [일반] 한국(KOREA)형 음식모델(6) [8] 성상우6549 19/12/08 6549 3
83667 [일반] 솔로몬의 지혜 [3] 성상우6536 19/12/08 6536 2
83661 [일반] 조조의 인생학 [16] 성상우8571 19/12/07 8571 3
83649 [일반] 한국(KOREA)형 커피모델(2) [28] 성상우7276 19/12/05 7276 2
83620 [일반] 전략의 3요소(2) [10] 성상우6219 19/12/03 6219 2
83594 [일반] 인생의 비결(2) [22] 성상우8396 19/11/30 8396 2
83587 [일반] 한국(KOREA)형 주류모델(4) [7] 성상우5960 19/11/29 5960 2
83575 [일반] 한국(KOREA)형 주식투자법 [26] 성상우7257 19/11/28 7257 3
83559 [일반] 한국(KOREA)형 커피모델 [16] 성상우7329 19/11/27 7329 3
83532 [일반] 한국(KOREA)에서의 생존법(4) [10] 성상우6599 19/11/25 6599 2
83509 [일반] 창세기의 전략 [22] 성상우7445 19/11/22 7445 3
83496 [일반] 전략의 3요소 [13] 성상우6644 19/11/22 6644 2
83475 [일반] 한략(韓略) (2) [33] 성상우6673 19/11/20 6673 3
83470 [일반] 한국(KOREA)의 정통성 [36] 성상우8381 19/11/19 8381 3
83460 [일반] 한국(KOREA)형 음식모델(5) [20] 성상우7700 19/11/18 7700 2
83457 [일반] 한국(KOREA)형 음식모델(4) [8] 성상우7272 19/11/17 7272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